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여성독립 운동가의 보훈예우 현황에 관한 분석 = A Study on Benefits Given to Korean Women Involved wit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8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multilaterally analyze benefits given to Korean women involved wit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to suggest remedial measures against the patriot act policy. In this regard, there is the need to analyze the actual circumstances of 226 Korean women who have been recognized as of 2013 as independence patriots. The preliminary step is to exactly define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next step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riot act policy and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The actual circumstances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erit ratings, birthplaces, movements and recognition days, on the basis of materials provided from Korea’s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he classifications were additionally analyzed in order that in-depth results might be produced, wherein respective features were observ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omen’s independent movement was in the same vein wit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reality, however, is that many women have not been recognized as independent activists due to insufficient evidences, the government’s lacing the will to collect evidences, public indifference. Nevertheless, studies on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have been made based on Korean women’s patriotism, and connote national respect for patriots that may lead to national unity.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multilaterally analyze benefits given to Korean women involved wit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to suggest remedial measures against the patriot act policy. In this regard, there is the need to analyze the actual circ...

      This study is to multilaterally analyze benefits given to Korean women involved wit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to suggest remedial measures against the patriot act policy. In this regard, there is the need to analyze the actual circumstances of 226 Korean women who have been recognized as of 2013 as independence patriots. The preliminary step is to exactly define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next step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riot act policy and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The actual circumstances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erit ratings, birthplaces, movements and recognition days, on the basis of materials provided from Korea’s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he classifications were additionally analyzed in order that in-depth results might be produced, wherein respective features were observ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omen’s independent movement was in the same vein wit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reality, however, is that many women have not been recognized as independent activists due to insufficient evidences, the government’s lacing the will to collect evidences, public indifference. Nevertheless, studies on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have been made based on Korean women’s patriotism, and connote national respect for patriots that may lead to national 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여성독립 운동가의 보훈예우 현황을 여러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훈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의 분석은 2013년 현재 국가로부터 인정받은 226명의 여성 독립 유공자의 실태를 파악하며 이 부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 일환으로 한국 여성독립 유공자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인 주요 과제라고 보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과제수행에 앞서 개념 정의가 되어 있지 않은 한국 여성 독립운동의 개념을 먼저 제시했고, 흐름 및 연구경향을 토대로 국가보훈과 여성 독립운동가의 상관성을 파악했다. 전반적인 여성 독립 운동가의 보훈 예우현황에 대한 분석은 국가보훈처로부터 제공받은 기초자료를 토대로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유형별 내용에 대해 추가분석을 함으로써 심층적 결과도출에 노력하였다. 즉, 보훈대상자를 훈격별, 출생지별, 운동계열별, 대상 인정시기별로 구분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각 부문별 특이사항이 파악되었고, 여성 독립운동의 동향이 한국 독립운동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성 독립유공자에 대한 인정 문제는 활동 입증자료의 부족, 정부의 발굴의지 부족, 정부와 국민의 무관심, 비인기 연구 분야라는 점에서 현실적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여성 독립운동은 여성의 구국정신과 민족 독립의지가 자발적으로 발휘된 것으로서 국가보훈 정신이 함축된 국민통합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여성독립 운동가의 보훈예우 현황을 여러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훈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의 분석은 2013년 현재 국가로부터 인정받은 226명의 여성 독...

      본 연구는 한국 여성독립 운동가의 보훈예우 현황을 여러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훈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의 분석은 2013년 현재 국가로부터 인정받은 226명의 여성 독립 유공자의 실태를 파악하며 이 부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 일환으로 한국 여성독립 유공자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인 주요 과제라고 보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과제수행에 앞서 개념 정의가 되어 있지 않은 한국 여성 독립운동의 개념을 먼저 제시했고, 흐름 및 연구경향을 토대로 국가보훈과 여성 독립운동가의 상관성을 파악했다. 전반적인 여성 독립 운동가의 보훈 예우현황에 대한 분석은 국가보훈처로부터 제공받은 기초자료를 토대로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유형별 내용에 대해 추가분석을 함으로써 심층적 결과도출에 노력하였다. 즉, 보훈대상자를 훈격별, 출생지별, 운동계열별, 대상 인정시기별로 구분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각 부문별 특이사항이 파악되었고, 여성 독립운동의 동향이 한국 독립운동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성 독립유공자에 대한 인정 문제는 활동 입증자료의 부족, 정부의 발굴의지 부족, 정부와 국민의 무관심, 비인기 연구 분야라는 점에서 현실적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여성 독립운동은 여성의 구국정신과 민족 독립의지가 자발적으로 발휘된 것으로서 국가보훈 정신이 함축된 국민통합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강녕, "한국인의 호국정신과 국난극복" 한국민족사상학회 5 (5): 209-255, 2011

      2 심옥주, "한국여성독립운동의 연구동향과 현대여성의 역할" 한국민족사상학회 5 (5): 203-227, 2011

      3 박용옥, "한국여성독립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4 박용옥, "한국여성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지식산업사 2001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43-국권회복운동" 국사편찬위원회 1999

      6 김종성, "한국보훈정책론" 일진사 2005

      7 이윤희, "한국민족주의와 여성운동" 신서원 1995

      8 김동성, "한국민족주의연구" 도서출판 오름 1995

      9 이송희, "한국 근대 여성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여성사학회 6 (6): 51-101, 2007

      10 심옥주, "제3장 국가보훈과 민족독립운동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1 (11): 71-102, 2011

      1 김강녕, "한국인의 호국정신과 국난극복" 한국민족사상학회 5 (5): 209-255, 2011

      2 심옥주, "한국여성독립운동의 연구동향과 현대여성의 역할" 한국민족사상학회 5 (5): 203-227, 2011

      3 박용옥, "한국여성독립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4 박용옥, "한국여성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지식산업사 2001

      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43-국권회복운동" 국사편찬위원회 1999

      6 김종성, "한국보훈정책론" 일진사 2005

      7 이윤희, "한국민족주의와 여성운동" 신서원 1995

      8 김동성, "한국민족주의연구" 도서출판 오름 1995

      9 이송희, "한국 근대 여성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여성사학회 6 (6): 51-101, 2007

      10 심옥주, "제3장 국가보훈과 민족독립운동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1 (11): 71-102, 2011

      11 정윤재, "일제강점기 민족생존의 정치사상" 4 (4): 2004

      12 변해정, "여성, 여성학"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6

      13 유영옥, "남북 화해ㆍ통일을 지향하는 국가보훈정책의 방향.”『한국보훈의식 제고를위한 정책방향" 한국보훈학회 2007

      14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공훈록"

      15 심옥주, "국가보훈정신과 민족통합: 의병운동과 독립운동의 나라사랑정신을 중심으로" 1 (1): 1-38, 2012

      16 정숙경, "국가보훈의식과 보훈정책의 새로운 방향, In 호국보훈의식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한국보훈학회 2007

      17 형시형, "국가보훈의 환경변화에 따른 미래지향적 보훈정책 전망, In 행정복지거버넌스 그리고 삶의 질" 한국거버넌스학회 2010

      18 유영옥, "국가보훈과 국민통합, In 이명박 정부 보훈정책의 방향과 그 과제" 한국보훈학회 2009

      19 박용옥, "구한말의 여성교육" (21) : 1969

      20 姜在彦, "韓國近代史硏究" 도서출판 한울 1982

      21 金雲泰, "日本帝國主義의 韓國政治" 박영사 1988

      22 의암학회, "尹熙順義士資料集" 도서출판 산책 2008

      23 "Research Center for Asian Women, Women in Yi-Dynas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86

      24 George Lichtheim, "Imperialisn, Commentary, April, 1970"

      25 A. won Martin, "Gesellschaft und staat, sonderdruck aus; Handbuch fur Sozialknde Berlin"

      26 이윤희, "3.1운동과 여성의 역할" 천안대학교 유관순연구소 (창간호) : 2002

      27 신용하, "3.1獨立運動."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7-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Patriots And Veterns Affairs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for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Studies KCI등재후보
      2018-07-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the Republic Korea -> Journal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the Republic of Korea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0.51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