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孔子의 敎育思想 = A Study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Confuci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049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孔子, 이름은 丘, 字는 仲尼, 春秋末葉 魯나라 사람으로, 周靈王 21년(기원전 551년)에 태어나 周 敬王 41년(기원전 479)에 죽음으로써 73년의 생을 마쳤다. 孔子의 조상은 원래 송나라 귀족이었...

      孔子, 이름은 丘, 字는 仲尼, 春秋末葉 魯나라 사람으로, 周靈王 21년(기원전 551년)에 태어나 周 敬王 41년(기원전 479)에 죽음으로써 73년의 생을 마쳤다. 孔子의 조상은 원래 송나라 귀족이었는데 후에 노나라로 피난해 도망갔다. 그는 3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17살 때 어머니마저 여의었으며, 어려서 가난한 생활을 했다. 그는 일찌기 노나라 귀족 季氏 문하에서 소와 양 창고를 관리하는 작은 벼슬을 했었던 적이 있다 그는 15세 때부터 학문탐구(求學)에 뜻을 세워 열심히 공부하였고, 즐겨 가르침을 구하였으며(求敎), 詩書禮樂을 널리 배워, 후에 '六禮'에 정통하게 되었다 그는 일찌기 정치에 종사하는 벼슬아치가 되려고 뜻을 세웠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의 교육활동은 30세 전후에 시작되었는데 고향에서 私學을 세워 장장 40여 년간 가르치는 것에 임하는데 있어, 일생동안 즐거이 여기며 싫증내지 않았다 이 사이에 그는 두 차례 학생들을 거느리고 여러 나라를 周遊했는데 연이어 주, 제, 위, 진, 조, 송, 정, 채, 초 나라에 갔다. 여러 곳을 돌아다니는 중에 그는 한편으로는 학생들을 가르쳤고, 한편으로는 자신의 정치주장을 선전하였다 그때 각 나라의 제후들은 모두 한마음으로 패권을 다투어 이기려 하였으므로 당연히 孔子가 제기한 '仁義政治' 주장을 받아 들일 수 없었으며, 동시에 孔子의 이 '아름다운 玉'을 알아주지 않았다. 孔子는 자신의 정치주장을 펼쳐 보이는 것에는 이미 희망이 없다는 것을 느끼고는, 다시 노나라로 돌아가 전심 전력하여 교육과 저술 작업에 종사했다 만년에 그는 학생을 지도하고 학문을 연구했으며, 대대적으로 고대의 문헌과 서적을 수집하고 정리해서 시경, 상서, 예기, 역경, 악경, 춘추 등 육경을 편찬했다
      孔子는 중국역사상 처음으로 필생을 교육사업에 종사한 사람으로, 중국고대교육에 큰 공헌을 했다.
      孔子는 중국 역사상 최초로 私學을 설립한 敎育家이다. 중국민족의 문화지식 소양을 보급시키고 끌어올리기 위해서 '有敎無類(누구에게나 차별 없이 교육을 실시하다)'라는 기치를 세워 등급이 삼엄한 층층의 울타리를 깨고 家廟朝廷에 꼭 갇힌 '官府之學'을 보통 사람들에게 열어주어 '四夷之學'으로 만들었으며, 각각의 사람이 모두 교육을 받고 기초지식을 배울 기회와 권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길을 열었다 그는 일생동안 40여 년을 敎學 활동에 종사하여, 문하생이 천하에 가득하였으며 가르침이 전국에 널리 퍼졌다 그가 배출해낸 학생은 3000여명에 달하며 그 중에 수재자는 72명으로 "72賢能"이라 추앙되었다. 이 가운데 덕행 방면의 수재자는 안연·민자츰, 염백우·중궁이, 정치 방면의 수재자에는 염유·자로가, 언어 방면의 수재자에는 재아·자공이, 문학방면의 수재자에는 자유·자하등이 있었다. 이러한 걸출한 인물들은 후에 모두 先秦時期 '百家爭嗚'의 중심인물이 되었으며, 또 그들이 중심이 되어 儒家學派를 형성했다. 孔子는 中國古代의 敎育思想, 敎育理論의 기초를 다진 사람(창시자)이다 그는 교육대상, 교육역할,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수방법, 도덕교육등 많은 영역을 포함하여 완벽한 교육이론을 제기하였다.
      본고에서는 《論語》에서 敎育에 관한 章과 節에서 孔子 교육사상이 반영된 것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