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문화외교의 지평과 전망 = New Horizons and Perspectives of 21st Cultural diplom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30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st a foresight on the cultural diplomacy of the 21st century, which is widely named as the century of culture. Still, the diplomatic policies to support its namesake, can be hardly called anything but poor. Cultural 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st a foresight on the cultural diplomacy
      of the 21st century, which is widely named as the century of culture. Still,
      the diplomatic policies to support its namesake, can be hardly called anything
      but poor.
      Cultural diplomacy of the past has been focusing on protection and
      propaganda of the own national culture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exchange. Under the given accent of globalization, however, the focus can
      not be set on the interest of nation states anymore. It has to be moved on
      to global issues, which do not only regard the overall enhancement of human
      welfare, but also the sustainability of the world eco-system.
      In order to cope with these changes and to state an example, we will first
      have a look at the cultural diplomacy of post-WWII Germany, which will
      provide an overview how Germany overcame the bequeathment of the Naziregime
      and managed to unify a divided nation within the influences of surrounding cultural policies.
      Further, in order to enhanc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 suppose
      an alternative approach to diplomacy, which is not based on the nation state
      as the main actor, but concentrates on the diplomatic effects of People-to-People or inter-people diplomacy through private and regional institutions.
      Contrary to traditional views on international politics, inter-people diplomacy
      is based on the triad of world-state-region and hence moves the subject of
      diplomatic activity from institutional central agencies towards the citizens.
      Even under the signs of globalizatio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cannot be separated from national interest. Nonetheless, the influence of
      private and regional actors in the realization of concrete programmes is
      doubtlessly rising. This is not restricted to a specific field or area but a global
      phenomenon.
      Regarding this change of paradigm, and for the sake of our own country,
      the need for an enhanced engagement in people-to-people diplomacy along
      with a developed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has never
      been more urgent than at this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21세기의 대외 정책의 방향을 문화라는 지평을 통해 제시하고자 함이다. 이미 그 표현이 진부해질 정도로‘문화의 세기’라는 말 은 각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으나, 정작 대...

      본 논문의 목적은 21세기의 대외 정책의 방향을 문화라는 지평을 통해
      제시하고자 함이다. 이미 그 표현이 진부해질 정도로‘문화의 세기’라는 말
      은 각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으나, 정작 대외정책의 차원에서 그 구체적인
      내용은 빈곤하기 짝이 없다. 특히 이제까지 문화정책은 국제 교류 속에서
      자국의 문화를 보호하고 그 우월성을 알리고자 하는 편협한 관점에서 강조
      되었다. 이것은 국민국가 시대의 문화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
      날과 같이 세계화가 강조되는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국민국가가 아니라 국
      가 사이의 협력관계이며, 따라서 문화정책 역시 새롭게 대두된 여러 가지
      세계적 문제를 인류전체뿐 아니라 생태계 전반의 복지향상·생존유지를 위
      해 해결해낼 수 있는 정책이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를 위해 우리는 우선 전후 독일의 대외문화정책을 살펴보고
      자 한다. 민족사회주의(나치즘)의 극복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국제적인
      문화정책의 추세를 나름대로 잘 소화해 내면서 분단을 극복해 낸 독일의 사
      례는 우리에게도 좋은 참조가 될 수 있나아가 국제문화교류의 활성화를 위하여 국제문화교류의 기본 정책 방향
      과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반성을 촉구하는 의미에서 필자는 국가를 단위
      로 한 문화교류가 아니라 민간과 지방정부를 주체로 한 문화교류를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입각한 외교적 개념이 다름 아닌 민제외교
      (民際外交, People to People/Internpeople Diplomacy)이다. 민제외
      교란 전통적인 국제정치관과 대치하면서, 국제관계를 세계-국가-지역이라는
      3중 구조로 포착하면서, 국가에 얽매인 국가 중심의 외교가 아니라, 시민을
      핵으로 교류를 강조하는 개념이다.
      세계화의 시대라지만 여전히 국제문화교류는 외교상의 이익 및 국익 증
      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실시에서는
      민간 부문의 참여가 차츰 확대되고 있는바, 이는 하나의 전 세계적 추세이
      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세계적 추세를 참고하면서 새로운 국제문화
      교류에 대한 인식을 높여 가는 동시에 민제외교적 성격을 강화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 작업이 시급히 요청된다고 아니할 수 없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2 안 멜리센, "신공공외교:국제관계와 소프트 파워" 인간사랑 2008

      3 허권, "문화다양성의 보호"

      4 히라노 겐이치로, "국제문화론" 풀빛 2004

      5 臼井久和, "民際外交の硏究" 三嶺書房 1997

      6 西川長夫, "地球時代の民族=文化理論" 新曜社 1995

      7 平野健一郞, "國際關係における文化交流 in 國際關係における文化交流" 日本國際問題硏究所 1984

      8 Korten, D. C., "teps toward People-centered Development"

      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Allianc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and Cultural Exchabge ed., International Exchange Locator"

      10 "Mutual Educational and Cultural Exchange Program"

      1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2 안 멜리센, "신공공외교:국제관계와 소프트 파워" 인간사랑 2008

      3 허권, "문화다양성의 보호"

      4 히라노 겐이치로, "국제문화론" 풀빛 2004

      5 臼井久和, "民際外交の硏究" 三嶺書房 1997

      6 西川長夫, "地球時代の民族=文化理論" 新曜社 1995

      7 平野健一郞, "國際關係における文化交流 in 國際關係における文化交流" 日本國際問題硏究所 1984

      8 Korten, D. C., "teps toward People-centered Development"

      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Allianc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and Cultural Exchabge ed., International Exchange Locator"

      10 "Mutual Educational and Cultural Exchange Program"

      11 Arnold, Hans, "Kulturexport als Politik?:Aspekte ausw¨artiger Kulturpolitik, T¨ubingen·Basel" Horst Erdmann Verlag 1976

      12 Mead, Margaret, "Culture and Commitment" Doubleday 1970

      13 Arnold, Hans, "Ausw¨artige Kulturpoitik:Ein ¨Uberblick aus deutscher Sicht, M¨unchen·Wien" Carl Hanser Verlag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
      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