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포학습 후의 편도체 불활성화가 조건공포와 능동회피반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Amygdala Inactivation on Conditioned Fear and Active Avoid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4668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편도체 불활성화가 조건공포와 능동회피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캐뉼라 이식수술을 하고 동물에게 능동회피훈련을 시킨 후 조건공포와 능동회피반응...

      본 연구는 편도체 불활성화가 조건공포와 능동회피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캐뉼라 이식수술을 하고 동물에게 능동회피훈련을 시킨 후 조건공포와 능동회피반응을 검사하기 직전에 약물주입을 하였다. 그 결과 muscimol 주입진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활동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나타난 반면, 능동회피반응에서는 두 집단이 다르지 않았다. 즉 편도체 불활성화가 조건공포는 손상시키면서 능동회피반응은 손상시키지 않았다. 이 결과는 편도체의 역할에 대한 상반된 견해인 기억저장견해와 기억조절견해 모두가 부분적으로 옳으며, 두견해간의 불일치는 부분적으로 과제차이에 기인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편도체는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의 연합이 일어나는 장소이면서, 동시에 운동기억이 편도체 이외의 장소에 응고화 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조건공포와 능동회피반응을 매개하는 신경학적인 메커니즘이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mygdala inactivation on conditioned fear and active avoidance. Rats, with chronic cannula placed bilaterally in the amygdala, were trained in an active avoidance task and 1 or 2 days later tested for both condi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mygdala inactivation on conditioned fear and active avoidance. Rats, with chronic cannula placed bilaterally in the amygdala, were trained in an active avoidance task and 1 or 2 days later tested for both conditioned fear and active aviodance immediately afger muscimol or buffer injection. As a result, activity to the CS in the amygkala inactivation group was larger than that of controls while performance of active avoidance was not different. In other words, amygdala inactivation impaired conditioned fear but not active avoidance. Thes findings suggest that both memory storage and memeory modulation, different view about the role of amygdala, are correct in part and this discrepancy stem from the task difference in part. Thus, amygdala seems to be the locus of cs-us association and, at the same time, moduates memory consolidation in other brain regions. It means that neural mechanisms for the conditioned fear and active avoidance are not the sa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국문초록) = ⅳ
      • 서론 = 1
      • 방법 = 5
      • 1. 피험동물 = 5
      • 목차 = ⅰ
      • (국문초록) = ⅳ
      • 서론 = 1
      • 방법 = 5
      • 1. 피험동물 = 5
      • 2. 실험기구 및 장치 = 5
      • 가. 왕복상자(shuttle box) = 5
      • 나. 활동성 측정기구 = 6
      • 3. 실험절차 = 7
      • 가. 적응기간 및 손에 길들이기(handling) = 8
      • 나. 수술 = 8
      • 다. 약물과 약물주입 = 9
      • 라. 양방향 능동회피학습 = 9
      • 마. 활동성 검사 = 10
      • 바. 양방향 능동회피검사 = 11
      • 4. 조직학(Histology) = 11
      • 결과 = 12
      • 1. 조직학 = 12
      • 2. 편도체 불활성화에 따른 활동성 = 13
      • 3. 편도체 불활성화에 따른 능동회피반응 = 15
      • 논의 = 17
      • 참고문헌 = 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