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생활 문화" 단원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내용 분석 = Analysi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of the Chapter "Family Life Culture"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n Korean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452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국은 정보화 및 세계화에 따라 다국적 이주민이 증가하여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문화, 계층, 인종, 종교 등 편견과 차이에서 비롯되는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다문화 시대를 살아갈 모든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으로 집필된 기술ㆍ가정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 내용이 어떻게 반영이 되어있는지 분석하고자 문헌 고찰을 통해 정체성ㆍ다양성ㆍ평등성ㆍ협력의 네 가지 분석틀을 구안하였고,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교과서 6종의 ``가정생활 문화`` 단원에서 다문화 교육 내용이 교과서별ㆍ주제별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교육 내용을 교과서별로 분석해 보면 정체성 영역에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것은 B교과서였고, 다양성 영역은 F교과서, 평등성 영역은 B와 E교과서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협력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E교과서였다. 주제별로 분석해보면 평균적으로 6종의 기술ㆍ가정 교과서에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영역은 다양성이며, 그 다음이 정체성, 협력의 순서였고, 평등성에 대한 내용은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향후 개발되는 교과서는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 및 외국인 노동자 등 소수자에게 향하는 편견과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평등성을 보완하여 집필될 것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현재 한국은 정보화 및 세계화에 따라 다국적 이주민이 증가하여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문화, 계층, 인종, 종교 등 편견과 차이에서 비롯되...

      현재 한국은 정보화 및 세계화에 따라 다국적 이주민이 증가하여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문화, 계층, 인종, 종교 등 편견과 차이에서 비롯되는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다문화 시대를 살아갈 모든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으로 집필된 기술ㆍ가정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 내용이 어떻게 반영이 되어있는지 분석하고자 문헌 고찰을 통해 정체성ㆍ다양성ㆍ평등성ㆍ협력의 네 가지 분석틀을 구안하였고,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교과서 6종의 ``가정생활 문화`` 단원에서 다문화 교육 내용이 교과서별ㆍ주제별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교육 내용을 교과서별로 분석해 보면 정체성 영역에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것은 B교과서였고, 다양성 영역은 F교과서, 평등성 영역은 B와 E교과서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협력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E교과서였다. 주제별로 분석해보면 평균적으로 6종의 기술ㆍ가정 교과서에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영역은 다양성이며, 그 다음이 정체성, 협력의 순서였고, 평등성에 대한 내용은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향후 개발되는 교과서는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 및 외국인 노동자 등 소수자에게 향하는 편견과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평등성을 보완하여 집필될 것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flected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using four different frames: identity, diversity, equality and collaboration. It analyzes how six different textbooks reflec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ir ``family life culture`` uni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six different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textbook B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llowed by textbook E and A by a narrow margin and textbook C has the lowest frequency. Second, diversity shows the highest frequency in terms of the themes of the contents, followed by identity, collaboration and diversity, with equality showing the lowest frequency. Textbook B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identity, textbook F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diversity, textbook B and E have the highest frequency of equality and textbook E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collaborati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deal with ``living culture`` as the embodiment of human life and they also deal with ``living cultures of family, consumption, food, clothing, and housing``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family life. For this reas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are appropriate to educate the majority of people ``who are facing multicultural families`` on equality and collaboration as well as the issue of inequality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flected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using four different frames: identity, diversity, equality and collaboration. It analyzes how six different textbooks reflect mult...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flected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using four different frames: identity, diversity, equality and collaboration. It analyzes how six different textbooks reflec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ir ``family life culture`` uni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six different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textbook B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llowed by textbook E and A by a narrow margin and textbook C has the lowest frequency. Second, diversity shows the highest frequency in terms of the themes of the contents, followed by identity, collaboration and diversity, with equality showing the lowest frequency. Textbook B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identity, textbook F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diversity, textbook B and E have the highest frequency of equality and textbook E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collaborati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deal with ``living culture`` as the embodiment of human life and they also deal with ``living cultures of family, consumption, food, clothing, and housing``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family life. For this reas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are appropriate to educate the majority of people ``who are facing multicultural families`` on equality and collaboration as well as the issue of inequality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신,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다문화 개념 분석 - 2007개정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적용 관점에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5-22, 2008

      2 박윤경, "초등 사회과 다문화 교육과정 및 수업안 개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57-90, 2011

      3 조영달, "초ㆍ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적 요소 분석을 통한 개정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4 조성운, "중등학교 전통문화 교육의 실제" 5 : 67-81, 2006

      5 교육인적자원부, "실과(기술ㆍ가정)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고시 2007-79호(별책10)"

      6 설규주,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31-54, 2004

      7 지영숙, "생활문화의 이해-현대가족의 생활양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8

      8 조수동, "문화의 이해" 이문출판사 2002

      9 배영주, "다문화성인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始論)" 한국문화교육학회 8 (8): 47-70, 2013

      10 오영훈, "다문화교육으로서 상호문화교육 -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5 (15): 27-44, 2009

      1 김용신,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다문화 개념 분석 - 2007개정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적용 관점에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5-22, 2008

      2 박윤경, "초등 사회과 다문화 교육과정 및 수업안 개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57-90, 2011

      3 조영달, "초ㆍ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적 요소 분석을 통한 개정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4 조성운, "중등학교 전통문화 교육의 실제" 5 : 67-81, 2006

      5 교육인적자원부, "실과(기술ㆍ가정)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고시 2007-79호(별책10)"

      6 설규주,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31-54, 2004

      7 지영숙, "생활문화의 이해-현대가족의 생활양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8

      8 조수동, "문화의 이해" 이문출판사 2002

      9 배영주, "다문화성인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始論)" 한국문화교육학회 8 (8): 47-70, 2013

      10 오영훈, "다문화교육으로서 상호문화교육 -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을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5 (15): 27-44, 2009

      11 구정화, "다문화 시민성을 위한 초등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1-18, 2012

      12 최숙기, "다문화 시대의 국어교과서 구성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James A. Banks, "다문화 교육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14 김선미, "다문화 교육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8

      15 최충옥, "다문화 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0

      16 백옥련, "다문화 교육에 대한 기술ㆍ가정과 교사의 인식도 분석 모형개발-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3 (3): 25-50, 2012

      17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해설.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2007-79호"

      18 김영순,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의 질적 분석 -‘사회·문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57-80, 2008

      19 김서현,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서(가정 영역)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73-86, 2011

      20 김영순, "고등학교 7차 사회문화 교과서에 나타난 전통문화교육 내용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1-23, 2010

      21 최충옥, "경기도 다문화교육센터" 양서원 2009

      22 김성희,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가족교육에 대한 인식"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