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변영만: 식민지 시기 한국의 대안적 근대성을 모색하다 = Byeon Yeongman: Colonial Korea’s Alternative Moder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31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근대 초기 한국에서 서양적 근대성에 대해 가장 날카로운 비판을 제기했다고 인정받는 비평가이자 뛰어난 문인이었던 변영만(1889~1954)을 다루고 있다.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그는 전통적인 한문과 서양 학문에 모두 능숙했다. 그러나 세상을 떠난 뒤 그는 남한 학계에서 거의 외면받았는데, 이는 변영만이 스스로 당대 정치 문화 중심부의 바깥에 위치하였고 결과적으로 중심부에서 소외되었기 때문이었다. 변영만은 우파 “문화 민족주의자”들로부터 괴짜 취급을 받으며 “장난으로 글쓰기를 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또한 그는 부를 재분배하자는 평등주의적 방식에 대해 명백한 지지를 보냈음에도, 좌파 공산주의자와 무정부주의자들로부터도 철저히 무시당했다. 그렇지만, 그는 니체의 사상과 고대 유학 전통의 “도덕적 개인주의”와 연결된 태도, 그리고 일종의 “정신적 개인주의”로 설명될 수 있는 입장에서 근대적 삶을 비판하는 일관된 논리를 발전시켜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근대 초기 한국에서 서양적 근대성에 대해 가장 날카로운 비판을 제기했다고 인정받는 비평가이자 뛰어난 문인이었던 변영만(1889~1954)을 다루고 있다.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그는 ...

      이 논문은 근대 초기 한국에서 서양적 근대성에 대해 가장 날카로운 비판을 제기했다고 인정받는 비평가이자 뛰어난 문인이었던 변영만(1889~1954)을 다루고 있다.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그는 전통적인 한문과 서양 학문에 모두 능숙했다. 그러나 세상을 떠난 뒤 그는 남한 학계에서 거의 외면받았는데, 이는 변영만이 스스로 당대 정치 문화 중심부의 바깥에 위치하였고 결과적으로 중심부에서 소외되었기 때문이었다. 변영만은 우파 “문화 민족주의자”들로부터 괴짜 취급을 받으며 “장난으로 글쓰기를 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또한 그는 부를 재분배하자는 평등주의적 방식에 대해 명백한 지지를 보냈음에도, 좌파 공산주의자와 무정부주의자들로부터도 철저히 무시당했다. 그렇지만, 그는 니체의 사상과 고대 유학 전통의 “도덕적 개인주의”와 연결된 태도, 그리고 일종의 “정신적 개인주의”로 설명될 수 있는 입장에서 근대적 삶을 비판하는 일관된 논리를 발전시켜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노준, "흘러간 星座" 국제문화사 1966

      2 황원구, "한국사 시민강좌" 일조각 1996

      3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4 오미일, "한국근대자본가연구" 한울아카데미 2002

      5 김병철, "한국근대서양문학이입사연구(총 2책)" 을유문화사 1980

      6 이광수, "이광수전집" 삼정당 1962

      7 한관일, "신채호의 교육사상 연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 : 2001

      8 實是學舍 고전문학연구회, "변영만전집 총 3책"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6

      9 김진균, "변영만의 비판적 근대정신과 문예추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10 강영주, "벽초 홍명희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9

      1 박노준, "흘러간 星座" 국제문화사 1966

      2 황원구, "한국사 시민강좌" 일조각 1996

      3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4 오미일, "한국근대자본가연구" 한울아카데미 2002

      5 김병철, "한국근대서양문학이입사연구(총 2책)" 을유문화사 1980

      6 이광수, "이광수전집" 삼정당 1962

      7 한관일, "신채호의 교육사상 연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 : 2001

      8 實是學舍 고전문학연구회, "변영만전집 총 3책"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6

      9 김진균, "변영만의 비판적 근대정신과 문예추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10 강영주, "벽초 홍명희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9

      11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단재신채호전집(총 4책)" 螢雪出版社 1987

      12 신익철, "근대문학 형성기 변영만의 사상적 지향과 문학세계" 한국한문학회 32 : 2003

      13 한영규, "근대문명과 산강 변영만; 변영만의 근대문명 비판 - 관생록(觀生錄) 을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55 : 2006

      14 이기준, "韓末西歐經濟學導入史硏究" 일조각 1985

      15 신일철, "申采浩의 歷史思想硏究" 고려대학교출판부 1981

      16 최남선, "獻身的 情神" 1 : 1906

      17 국사편찬위원회, "大韓帝國官員履歷書" 國史編纂委員會 1972

      18 김봉렬, "兪吉濬 開化思想의 硏究"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19 Reinsch, Paul. S., "World politics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s influenced by the oriental situation" Macmillan 1900

      20 Erdman, David V., "The Complete Poetry and Prose of William Blake" Doubleday 1988

      21 Lee, Peter H., "Sourcebook of Korean Civiliz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22 Chan, Joseph, "Moral Autonomy, Civil Liberties, and Confucian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52 (52): 2002

      23 류영익, "Korean perceptions of the United states : a history of their origins and formation" 지문당 2006

      24 최기영, "1910년대 卞榮晩의 해외행적" 대동문화연구원 (55) : 191-225, 2006

      25 박성진, "(韓末~日帝下) 사회진화론과 식민지사회사상" 선인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탈락(현장점검) (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문학보 -> 漢文學報
      외국어명 : 미등록 -> Han Mun Hak Bo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