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국가위기관리 체계에 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85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현재까지 국가의 존폐를 위협하는 사건들은 늘 존재하여왔다. 이러한 국가의 위기사항은 국가와 국가 간의 갈등이 원인이거나 국가 내의 정치적 혼란에 의한 경우에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현재까지 국가의 존폐를 위협하는 사건들은 늘 존재하여왔다. 이러한 국가의 위기사항은 국가와 국가 간의 갈등이 원인이거나 국가 내의 정치적 혼란에 의한 경우에는 전쟁 또는 쿠데타의 발생으로 위기상황이 표출되었다. 또한, 전통 적인 국가위기로는 전염병의 창궐, 지진이나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의 원인으로 국가의 위기와 맞서기도 한다. 하지만, 어떠한 원인으로 발생한 위기일지라도 현대사회에서는 경제적인 문제와 직결되어 1차 원인의 위기가 배가되는 것이 현실이라는 것이다. 중국의 경우 유구한 역사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광활한 영토와 다양한 민족의 풍속 으로 인하여 내부적 갈등이 빈번하였음은 물론, 지진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로 인하여 작금으로 많은 손실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와서는 SARS와 같은 전염병의 발생이나 신장위구르자치구와 같은 특정지역의 분쟁사태, 지진이나 홍수로 인한 자연재해, 무엇보다도 대만과의 지역갈등을 비롯하여, 국제사회에서의 테러에 대 하여 안전문제도 최근에 발생하는 국가위기의 유형으로 부상하였다. 이에 중국은 국가 위기상황의 경험을 기초로 하여 각종 위기상황 유형에 따른 법률을 마련하고, 이에 신속히 대처함으로써 중국인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지난 한국의 MERS 사태에서 우리는 중국의 SARS 사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문제 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입법의 부재와 시행착오로 인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였다. 이처럼 한국과 중국의 지역적 특성과 유사 한 문화권에 속해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한국의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중국의 국가위기 관련 법률을 검토함으로써, 국가위기 발생 시에 신속한 대응 조치가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하에서는 중국법률상 국가위기의 개념과 유형별 발생현황을 검토하고, 각 유형별 관련 법률을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중국의 국가위기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검토함으로써 앞으로 중국의 위기관련 법률의 발전 을 전망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의 국가위기 발생시 한중간의 협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accidents have always threatened the existence of nations across all ages and nations. Such a national crisis is caused by conflicts between nations or wars or coups derived from political turmoil in a nation. In addition, many nations also face ...

      Many accidents have always threatened the existence of nations across all ages and nations. Such a national crisis is caused by conflicts between nations or wars or coups derived from political turmoil in a nation. In addition, many nations also face traditional national crises such as epidemic outbreak and natural disasters including earthquakes and storms. However, even the crises caused by a reason are directly related with economic problems in the modern society, so the first crises are actually doubled. From the long history of China, it can be found that inner conflicts have often occurred due to its wide territory and various customs of different ethnic groups, and that much loss has been resulted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and floods. In particular, new types of national crises recently appear: occurrences of epidemic such as SARS; disputes in a specific region like the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natural disasters due to earthquakes or floods; and above all, regional conflicts with Taiwan, as well as international terrorism. Thus, China has enacted many laws according to all kinds of crises and also tried to protect people’s lives and properties by quickly copping with such crises. Although Korea struggled to resolve the MERS crisis by reflecting on Chinese SARS crisis, people’s lives and properties were seriously damaged due to lack of legislations and trial and error. It may be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national crises in Korea by reviewing laws regarding Chinese national crisis, given high level of Korean trade dependency on China, reg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nations and the fact that two nations belong to the same cultural area. From such a perspective, it examines the concept of national crisis and occurrences by type of it, on Chinese laws and analyzes the related laws by the type. Moreover, it also presupposes the development of Chinese crisis management in the future, by reviewing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the laws regarding Chinese national crisis, based on such an analysis. Thus, such developments are thought to contribute to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when Korean national crisis occu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시작하며
      • Ⅱ. 국가위기관리의 개념과 중국의 현황
      • Ⅲ. 국가위기 유형별 관련 법제분석
      • Ⅳ. 국가위기 관리체계와 입법적 문제점 및 전망
      • Ⅴ. 맺으며
      • Ⅰ. 시작하며
      • Ⅱ. 국가위기관리의 개념과 중국의 현황
      • Ⅲ. 국가위기 유형별 관련 법제분석
      • Ⅳ. 국가위기 관리체계와 입법적 문제점 및 전망
      • Ⅴ. 맺으며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朴宗根, "중국 반테러주의 입법의 현황, 문제점과 향후과제" 한중법학회 28 : 57-84, 2016

      2 王艳茹, "震后恢复重建工程资金评估方法研究" 中國地震局工程力學研究所 2010

      3 张郁, "论社会转型时期我国政府危机管理及其体系建构" 华中师范大学 2006

      4 胡耀華, "論我國公共危機管理的立法完善" 華中科技大學 2009

      5 莫紀宏, "紧急状态法学" 中国人民公安大学出版社 1992

      6 李效东, "现代国际安全理论精要" 军事科学出版社 2015

      7 王伟光, "恐怖主义·国家安全与反恐战略" 时事出版社 2011

      8 阿兰, "当代安全研究" 2013

      9 潘光, "当代国际危机研究"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989

      10 赵子聿, "国际安全危机管理析论" 国防大学出版社 2014

      1 朴宗根, "중국 반테러주의 입법의 현황, 문제점과 향후과제" 한중법학회 28 : 57-84, 2016

      2 王艳茹, "震后恢复重建工程资金评估方法研究" 中國地震局工程力學研究所 2010

      3 张郁, "论社会转型时期我国政府危机管理及其体系建构" 华中师范大学 2006

      4 胡耀華, "論我國公共危機管理的立法完善" 華中科技大學 2009

      5 莫紀宏, "紧急状态法学" 中国人民公安大学出版社 1992

      6 李效东, "现代国际安全理论精要" 军事科学出版社 2015

      7 王伟光, "恐怖主义·国家安全与反恐战略" 时事出版社 2011

      8 阿兰, "当代安全研究" 2013

      9 潘光, "当代国际危机研究"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989

      10 赵子聿, "国际安全危机管理析论" 国防大学出版社 2014

      11 杨洁勉, "国际危机泛化与中美共同应对" 时事出版社 2010

      12 刘胜湘, "国家安全:理论、体制与战略"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5

      13 杨毅, "国家安全战略研究" 国防大学出版社 2007

      14 蒋银华, "国家义务论-以人权保障为视角-" 中国政法大学出版社 2012

      15 李景治, "反恐战争与世界格局的发展变化" 当代世界出版社 2009

      16 詹姆斯, "争论中的国际关系理论" 世界知识出版社 2003

      17 Oran R. Young., "The Inermediaries: Third Parties in International Cris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7

      18 薛澜, "SARS事件与中国危机管理体系建设" (4) : 2003

      19 Peter Mangold., "National Securi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Routlege 1990

      20 Ian I. Mitroff., "Managing Crisis Before They Happen"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2001

      21 Coral Bell., "Crisis Diplomacy: Strategic Thought in the Nuclear Age" John Hopkins 1979

      22 Charles F. Hermann., "Cries in Foreign Policy: A Simulation Analysis" Bobbs-Merrill 1969

      23 Ureil Rosenthal, "Coping with Crisis: The Mangement of Disasters. Riots and Terrorism" Charles C. Thomas 1989

      24 JE Dougherty, "Contending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 comprehensive survey" Harper & Row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