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ag 개방식 장치를 이용한 이성분계 혼합물의 최소인화점 현상의 측정 및 예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32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ethylbenzene + n-butanol 및 ethylbenzene + n-hexanol 계의 인화점을 Tag 개방식 장치(ASTM D1310-86)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성분계 혼합물은 “최소인화점 현상”(minimun flash point behavior)을 ...

      본 연구에서는 ethylbenzene + n-butanol 및 ethylbenzene + n-hexanol 계의 인화점을 Tag 개방식 장치(ASTM D1310-86)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성분계 혼합물은 “최소인화점 현상”(minimun flash point behavior)을 보였다. 실험값은 Raoult의 법칙, UNIQUAC 모델식과 NRTL 모델식에 의해 계산된 값들과 비교 하였다. 그 결과, UNIQUAC 모델식과 NRTL 모델식에 의한 예측값이 Rauolt의 법칙에 의한 예측값 보다 실험값에 더욱 근접하였다. 이는 ethylbenzene + n-butanol 및 ethylbenzene + n-hexanol 계와 같은 비이상 용액의 활동도 계수값을, UNIQUAC 및 NRTL 모델식이 Raoult의 법칙보다 정확하게 계산하기 때문이다. 또한, NRTL 모델식의 실험값에 대한 모사성이 UNIQUAC 모델식의 그것 보다 우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lash points for the systems, ethlybenzene + n-butanol and ethlybenzene + n-hexanol, were measured by using Tag open-cup tester (ASTM D1310-86). These binary mixtures exhibited MFPB (minimum flash point behavior), which leads to the minimum on the...

      The flash points for the systems, ethlybenzene + n-butanol and ethlybenzene + n-hexanol, were measured by using Tag open-cup tester (ASTM D1310-86). These binary mixtures exhibited MFPB (minimum flash point behavior), which leads to the minimum on the flash point vs composition curve. The experimental data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Raoults law, the UNIQUAC equation and the NRTL equation. The calculated values based on the UNIQUAC and NRTL equations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those based on the Raoults law. It was concluded that the UNIQUAC and NRTL equation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Raoult’ law at describing the activity coefficients for nonideal solution such as the ethlybenzene+n-butanol and ethlybenzene + n-hexanol systems. And the predictive curve of the flash point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NRTL equation described the experimentally-derived data more effectively than was the case when the prediction model was based upon the UNIQUAC eq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실험
      • III. 이성분계 가연성 혼합물의 인화점 계산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실험
      • III. 이성분계 가연성 혼합물의 인화점 계산
      • IV. 결과 및 고찰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동명, "개방식 장치를 이용한 water+2-propanol 계의 인화점 측정 및 예측" 한국화재소방학회 21 (21): 48-53, 2007

      2 Gmehing, J.,, "Vapor-Liquid Equilibrium Data Collection"

      3 Reid, C.R.,, "The Properties of Gases and Liquids"

      4 Lee, S.J., "The Lower Flash Points of Binary Systems Containing Non-Flammable Component" 20 (20): 799-802, 2003

      5 하동명, "Tag식 개방계 장치를 이용한 가연성 이성분계 혼합물의 인화점 측정 및 예측" 한국화학공학회 43 (43): 181-185, 2005

      6 Ha, D.M., "Study on Explosive Limits of Flammable Materials" 16 (16): 103-108, 2001

      7 Vidal, M.,, "Prediction of Minimum Flash Point Behaviour for Binary Mixtures" 84 : 1-9, 2006

      8 Satyanarayana, K., "Note : Correlation of Flash Points" 21 : 277-282, 1997

      9 Satyanarayana, K., "Note : Correlation of Flash Points" 15 : 97-102, 1991

      10 Ha, D.M., "Measurement of Fire Point and Flash Point for Alcohols Using Tag Open-Cup Apparatus" 19 (19): 69-73, 2004

      1 하동명, "개방식 장치를 이용한 water+2-propanol 계의 인화점 측정 및 예측" 한국화재소방학회 21 (21): 48-53, 2007

      2 Gmehing, J.,, "Vapor-Liquid Equilibrium Data Collection"

      3 Reid, C.R.,, "The Properties of Gases and Liquids"

      4 Lee, S.J., "The Lower Flash Points of Binary Systems Containing Non-Flammable Component" 20 (20): 799-802, 2003

      5 하동명, "Tag식 개방계 장치를 이용한 가연성 이성분계 혼합물의 인화점 측정 및 예측" 한국화학공학회 43 (43): 181-185, 2005

      6 Ha, D.M., "Study on Explosive Limits of Flammable Materials" 16 (16): 103-108, 2001

      7 Vidal, M.,, "Prediction of Minimum Flash Point Behaviour for Binary Mixtures" 84 : 1-9, 2006

      8 Satyanarayana, K., "Note : Correlation of Flash Points" 21 : 277-282, 1997

      9 Satyanarayana, K., "Note : Correlation of Flash Points" 15 : 97-102, 1991

      10 Ha, D.M., "Measurement of Fire Point and Flash Point for Alcohols Using Tag Open-Cup Apparatus" 19 (19): 69-73, 2004

      11 Dong-Myeong Ha, "Measurement and estimation of the lower flash points for the flammable binary systems using a Tag open cup tester" 한국화학공학회 24 (24): 551-555, 2007

      12 Ha, D.M.,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Lower Flash Point for n-Propanol + n-Decane System Using the Tag Open-Cup Tester" 20 (20): 162-168, 2005

      13 Affens W.A., "Flammability Properties of Hydrocarbon Solutions in Air" 17 (17): 482-488, 1972

      14 Le Chatelier,, "Esimation of Firedamp by Flammability limits" 19 : 388-392, 1891

      15 Patil, G.S., "Eatimation of Flash Point" 12 : 127-132, 1988

      16 Meyer, E., "Chemistry of Hazardous Material"

      17 Lee S.K., "Chemical Engineering Safety Engineering" Dong-hwagisul Press 1997

      18 Liaw, H.J.,, "A Mathemat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Flash Point of Binary Solutions" 15 : 429-438,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4 0.60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