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공간배제적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합동 자료(Pooled Data)를 구축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57943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9-73(25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공간배제적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합동 자료(Pooled Data)를 구축하...
본 논문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공간배제적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합동 자료(Pooled Data)를 구축하여 다층 순서형로짓모형(Multi-level Ordered Logistic Model)을 활용해 실증분석했다. 분석결과, 공간배제적 주거이동에는 가구의 주거비 부담능력 등 가구특성뿐만 아니라다양한 지역차원의 요인들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거주지역의 주택 시세, 아파트비율과 같은 주택시장 특성, 공공임대주택 재고, 소형주택 의무공급과 같은 정책 시행, 커뮤니티 측면에서 사회적 기업의 활동, 도시개발 등의 영향력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의 높은 공간적 포용성이 공간배제적 주거이동을 완화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의 결과는 공간배제적주거이동의 완화를 위한 지역차원의 정책적 노력이유효함을 시사한다. 공공임대주택의 지속적 공급, 주택유형의 다양성 확보, 정비사업 시행 시 원주민재정착을 위한 저렴주택 공급, 지역별 차별화된 정책의 시행 등을 통해 지역의 공간적 포용성을 제고하여 사회적 약자의 공간적 배제를 완화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influential factors of such ‘Spatially Exclusionary Residential Mobility’ (SERM) in Korean large cities. Based on pooled 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MOLIT) Korean Housing Survey, we analyz...
This study analyzes influential factors of such ‘Spatially Exclusionary Residential Mobility’ (SERM) in Korean large cities. Based on pooled 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MOLIT) Korean Housing Survey, we analyz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SERM through a multi-level ordered logistic model. The study finds that various regional factors as well as household characteristics influence SERM. Specifically, the study confirms the influence of regional mean of housing prices, apartment share,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small-scale housing supply obligations, and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s. The results show that a high level of spatial openness for low-income households has a positive effect in mitigating SER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alls for a continuous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a greater variety of housing types, more affordable housing for residents displaced by redevelopment projects, and the implementation of mitigation policies differentiated by reg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선강,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93-114, 2014
2 권은선, "주택재개발에 따른 비자발적 주거이동이 세입자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서울시 뉴타운지구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2 (12): 41-60, 2011
3 김다윤, "주거지 상업화 젠트리피케이션이 빈곤밀집지역에 끼치는 영향 - 동자동 쪽방촌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8 (18): 159-175, 2017
4 전성애, "인구구조 및 가구특성 변화를 고려한 주택수요의 예측"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191-208, 2012
5 김민정, "인구고령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0 (30): 27-34, 2014
6 김안나, "유럽연합 사회적 배제개념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유럽학회 25 (25): 351-379, 2007
7 주희선, "수도권 저소득 가구의 주거이동 패턴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147-163, 2016
8 최막중, "소형의무비율에 의한 주거복지정책의 실효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69-79, 2004
9 홍성조, "소득계층별 주거이동과정에 관한 연구 - 수도권내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91-100, 2011
10 김부성, "세종시로의 주거이동 및 주거만족도 요인 분석" 한국부동산연구원 25 (25): 21-32, 2015
1 고선강,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93-114, 2014
2 권은선, "주택재개발에 따른 비자발적 주거이동이 세입자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서울시 뉴타운지구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2 (12): 41-60, 2011
3 김다윤, "주거지 상업화 젠트리피케이션이 빈곤밀집지역에 끼치는 영향 - 동자동 쪽방촌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8 (18): 159-175, 2017
4 전성애, "인구구조 및 가구특성 변화를 고려한 주택수요의 예측"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191-208, 2012
5 김민정, "인구고령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30 (30): 27-34, 2014
6 김안나, "유럽연합 사회적 배제개념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유럽학회 25 (25): 351-379, 2007
7 주희선, "수도권 저소득 가구의 주거이동 패턴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147-163, 2016
8 최막중, "소형의무비율에 의한 주거복지정책의 실효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69-79, 2004
9 홍성조, "소득계층별 주거이동과정에 관한 연구 - 수도권내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91-100, 2011
10 김부성, "세종시로의 주거이동 및 주거만족도 요인 분석" 한국부동산연구원 25 (25): 21-32, 2015
11 장인수, "서울시민들의 주관적 건강 행복지수 결정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85-118, 2016
12 오근상, "서울시 소득계층별 주거 상⋅하향이동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127-144, 2013
13 김교성, "서울시 가구 빈곤의 원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215-240, 2010
14 김미영,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구조고도화와 주변지역 거주동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안재섭, "서울디지털 산업단지 주변지역의 형성과 변화" 한국사진지리학회 18 (18): 11-20, 2008
16 정희수, "생애주기가 주택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12 (12): 5-25, 2004
17 배경완, "상수원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에 있어서 중・장기계획의중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75-86, 2015
18 이용규, "비자발적 이주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세종시 이주민에 대한 다집단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5 (25): 173-199, 2013
19 "부동산뱅크"
20 이성우, "로짓・프라빗모형 응용" 박영사 2005
21 진미윤, "도시근로자 가구의 주거비 지불능력에 관한연구" 6 (6): 33-60, 1998
22 박인권,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 한국의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하여" 한국공간환경학회 26 (26): 109-158, 2016
23 김교성, "근로계층의 빈곤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19-142, 2006
24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25 "국가통계포털"
26 장한두, "가족생애주기에 따른 신도시 주거환경의 평가 - 분당신도시를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 26 (26): 45-56, 2010
27 Rossi, P. H., "Why Families Move: A study in the social psychology of urban residential mobility" Free Press 1955
28 Wright, E. O, "The “triadic” model of society in somers’ genealogies of citizenship" 9 (9): 405-418, 2011
29 Speare, A, "Residential satisfaction as an intervening variable in residential mobility" 11 (11): 173-188, 1974
30 Sharkey, P, "Residential mobility and the reproduction of unequal neighborhoods" 14 (14): 9-31, 2012
31 Kan, K., "Residential mobility and social capital" 61 (61): 436-457, 2007
32 Pickvance, C. G., "Life-cycle, housing tenure and intra-urban residential mobility: A causal model" 21 (21): 279-297, 1973
33 Clark, W. A., "Life cycle and housing adjustment as explanations of residential mobility" 20 (20): 47-57, 1983
34 "KB부동산 Liiv ON"
35 Spicker, P., "Housing and Social Exclusion" Shelter Scotland 1998
36 Baker, E., "Housing affordability and residential mobility as drivers of locational inequality" 72 : 65-75, 2016
37 Raudenbush, S. W,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Sage 2002
38 Whitehead, C. M, "From need to affordability: An analysis of UK housing objectives" 28 (28): 871-887, 1991
39 Landale, N. S., "Constraints,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mobility: Speare’s model reconsidered" 22 (22): 199-222, 1985
40 O’Connell, A. A., "An Illustration of Multilevel Models For Ordinal Response Data" 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2010
41 Kingsley, G. T., "Addressing residential instability: Options for cities and community initiatives" 14 (14): 161-184, 2012
국가하천 친수지구 공간관리를 위한 통신 빅데이터 활용성 검토: 자료검증과 이용지표 선정
노후 저층주거지 관리를 위한 중간지원조직 연구 : 시흥시 동네관리소 사례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6-1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국토연구외국어명 :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0.9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3 | 0.85 | 1.24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