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침출차 선택속성 및 소비행동 연구 = Selection Attributes of Leached Teas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and Consumption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8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demand for health teas increases worldwide, the tea market is growing steadily each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leached teas in the domestic tea-product market and to analyze the different selection attributes of leached tea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s. The results of a cluster analysis examining food-related lifestyles produced three distinct clusters: a gourmet and convenience oriented group (cluster 1), a health and safety oriented group (cluster 2), and a low involvement group (cluster 3). Cluster 1 perceived all selection attributes as more important than cluster 3 did, but cluster 2 had higher values than cluster 1 for all attributes with the exception of marketing attributes. Cluster 2 appears to be the most demanding consumer, perceiving all selection attributes of leached tea to be highly important, with a special emphasis on sensory and safety attributes. Cluster 3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groups across all selection attributes. Furthermore, all three clusters were highly aware of different levels of sensory attribution, thought to be the fundamental selection attribute for tea. Whereas cluster 1 and 2 we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afety attributes, these attributes were not ranked as highly by cluster 3.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in developing leached tea products to expand the tea market.
      번역하기

      As demand for health teas increases worldwide, the tea market is growing steadily each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leached teas in the domestic tea-product market and to analyze the dif...

      As demand for health teas increases worldwide, the tea market is growing steadily each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leached teas in the domestic tea-product market and to analyze the different selection attributes of leached tea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s. The results of a cluster analysis examining food-related lifestyles produced three distinct clusters: a gourmet and convenience oriented group (cluster 1), a health and safety oriented group (cluster 2), and a low involvement group (cluster 3). Cluster 1 perceived all selection attributes as more important than cluster 3 did, but cluster 2 had higher values than cluster 1 for all attributes with the exception of marketing attributes. Cluster 2 appears to be the most demanding consumer, perceiving all selection attributes of leached tea to be highly important, with a special emphasis on sensory and safety attributes. Cluster 3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groups across all selection attributes. Furthermore, all three clusters were highly aware of different levels of sensory attribution, thought to be the fundamental selection attribute for tea. Whereas cluster 1 and 2 we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afety attributes, these attributes were not ranked as highly by cluster 3.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in developing leached tea products to expand the tea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침출차 주음용 소비자의 소비 행동을 조사한 결과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해보았을 때 아직 시장 세분화의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판단된다. 평균 구매금액은 5,000원 이상~20,000원 미만이고 차 음용을 통해 추구하는 주된 건강편익은 ‘기분전환과 스트레스 완화’로 나타났다. 이는 가장 많이 음용하는 환경이 ‘집 또는 사무실’, 주요 음용 상황인 ‘휴식/업무나 공부 중에 음용’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군집분석을 통해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3개 군집으로 도출하여 건강・안전추구, 미식・편의추구, 저관여 집단으로 명명하고, 침출차 선택속성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건강・안전추구 고관여 집단은 모든 선택속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침출차를 소비하는 집단 중에서도 가장 고관여이면서 까다로운 소비자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맛, 향, 조직감 특성으로 설명되는 관능속성의 경우 3개 집단 모두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나 침출차 범주에서 매우 중요한 선택속성임을 알 수 있었다. 안전속성의 경우엔 3개 집단 모두가 통계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건강・안전추구 집단이 제품의 안전성에 대해 가장 높게 인지하였고, 그다음이 미식・유행추구 집단, 마지막으로 저관여 집단은 가장 낮게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는 찻잎이나 허브, 곡물 등 원물을 그대로 물에 우려 마시는 차의 유형이기 때문에 원료, 생산, 포장 등 안전성에 관한 관심이 높게 인식되고 있으며, 건강과도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건강・안전추구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선택속성 전체의 평균과 비교해보았을 때 저관여 집단의 건강속성과 마케팅요소의 중요도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대다수의 차 소비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녹차 또는 외식 메뉴로서의 차 음료에 대한 소비행동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3~4년 사이 국내 차 시장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다양한 혼합차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어 차 소비행동의 연구를 제조・유통 관점의 분류인 침출차로 확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대(20대~50대)의 침출차 소비자 대상의 실증적 연구로서 현시점에서의 국내 차 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시장 및 제품전략을 수립하는 데 현실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침출차의 음용 동기 및 구매 행태에서도 비교적 획일화된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아직 국내 침출차 시장은 고객을 세분화하기에는 시장규모나 차 문화가 미성숙된 시장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향후 국내 침출차 시장의 확대와 국내 제조 경쟁력을 높이고 시장다각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제품개발 전략에 반영되어야 할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시장성숙도에 따른 침출차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침출차 주음용 소비자의 소비 행동을 조사한 결과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해보았을 때 아직 시장 세분화의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판단된다. 평균 구매금액은 5,000원 이상~20,000원 ...

      침출차 주음용 소비자의 소비 행동을 조사한 결과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해보았을 때 아직 시장 세분화의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판단된다. 평균 구매금액은 5,000원 이상~20,000원 미만이고 차 음용을 통해 추구하는 주된 건강편익은 ‘기분전환과 스트레스 완화’로 나타났다. 이는 가장 많이 음용하는 환경이 ‘집 또는 사무실’, 주요 음용 상황인 ‘휴식/업무나 공부 중에 음용’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군집분석을 통해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3개 군집으로 도출하여 건강・안전추구, 미식・편의추구, 저관여 집단으로 명명하고, 침출차 선택속성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건강・안전추구 고관여 집단은 모든 선택속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침출차를 소비하는 집단 중에서도 가장 고관여이면서 까다로운 소비자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맛, 향, 조직감 특성으로 설명되는 관능속성의 경우 3개 집단 모두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나 침출차 범주에서 매우 중요한 선택속성임을 알 수 있었다. 안전속성의 경우엔 3개 집단 모두가 통계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건강・안전추구 집단이 제품의 안전성에 대해 가장 높게 인지하였고, 그다음이 미식・유행추구 집단, 마지막으로 저관여 집단은 가장 낮게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는 찻잎이나 허브, 곡물 등 원물을 그대로 물에 우려 마시는 차의 유형이기 때문에 원료, 생산, 포장 등 안전성에 관한 관심이 높게 인식되고 있으며, 건강과도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건강・안전추구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선택속성 전체의 평균과 비교해보았을 때 저관여 집단의 건강속성과 마케팅요소의 중요도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대다수의 차 소비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녹차 또는 외식 메뉴로서의 차 음료에 대한 소비행동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3~4년 사이 국내 차 시장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다양한 혼합차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어 차 소비행동의 연구를 제조・유통 관점의 분류인 침출차로 확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대(20대~50대)의 침출차 소비자 대상의 실증적 연구로서 현시점에서의 국내 차 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시장 및 제품전략을 수립하는 데 현실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침출차의 음용 동기 및 구매 행태에서도 비교적 획일화된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아직 국내 침출차 시장은 고객을 세분화하기에는 시장규모나 차 문화가 미성숙된 시장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향후 국내 침출차 시장의 확대와 국내 제조 경쟁력을 높이고 시장다각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제품개발 전략에 반영되어야 할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시장성숙도에 따른 침출차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은진, "홍콩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 소비실태와 제품개발 요구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6 (46): 876-885, 2017

      2 서영주, "허브를 활용한 혼합허브티의 선호도 분석과 허브티 이용 확대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3

      3 이청천, "한국·중국 녹차소비자의 구매동기와 선택속성의 관계" 한국외식경영학회 18 (18): 191-213, 2015

      4 유수미, "청소년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음료 소비 행동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7 (47): 649-656, 2018

      5 김경희, "차(茶)소비자의 구매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한국차학회 16 (16): 1-12, 2010

      6 양영민, "차(茶) 음료 구매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127-140, 2019

      7 이효진, "차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289-307, 2013

      8 김미라, "주부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추장 소비 형태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1-8, 2009

      9 김아영, "어머니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어린이용 한식 메뉴에 대한 인식 분석: 중국인 및 베트남인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7 (47): 65-76, 2018

      10 이지선, "안티폴루션 화장품의 소비자인식 및 선택속성"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6 (16): 465-476, 2018

      1 백은진, "홍콩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 소비실태와 제품개발 요구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6 (46): 876-885, 2017

      2 서영주, "허브를 활용한 혼합허브티의 선호도 분석과 허브티 이용 확대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3

      3 이청천, "한국·중국 녹차소비자의 구매동기와 선택속성의 관계" 한국외식경영학회 18 (18): 191-213, 2015

      4 유수미, "청소년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음료 소비 행동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7 (47): 649-656, 2018

      5 김경희, "차(茶)소비자의 구매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한국차학회 16 (16): 1-12, 2010

      6 양영민, "차(茶) 음료 구매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127-140, 2019

      7 이효진, "차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289-307, 2013

      8 김미라, "주부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추장 소비 형태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1-8, 2009

      9 김아영, "어머니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어린이용 한식 메뉴에 대한 인식 분석: 중국인 및 베트남인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7 (47): 65-76, 2018

      10 이지선, "안티폴루션 화장품의 소비자인식 및 선택속성"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6 (16): 465-476, 2018

      11 김보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차(茶) 이용행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7 (17): 237-255, 2015

      12 박선우, "소비자의 웰빙인식과 차(茶) 선택속성간의 관계" 한국외식경영학회 20 (20): 259-280, 2017

      13 이청천, "먹는샘물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선택속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한·중 소비자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20 (20): 7-31, 2017

      14 정순희, "라이프스타일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소비문화학회 5 (5): 5-128, 2002

      15 김미정, "대학생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210-217, 2007

      16 김경희, "녹차소비자의 추구편익과 선택속성의 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2 (22): 327-339, 2011

      17 Chang K, "World tea production and trade current and future development"

      18 De Boer M, "The influence of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beliefs about convenience food on the demand for convenience foods in the Irish market" 15 : 155-165, 2004

      19 Kim J, "The impact of tea-consumers’ lifestyle on the sense of personal well-being and selection attribute of the tea" Kyunghee University 2015

      20 Uhl JW, "The art and craft of tea: an enthusiast’s guide to selecting, brewing, and serving exquisite tea" Quarto Publishing Group 19-, 2015

      21 권영학, "TV 건강프로그램 시청경험은 어떻게 건강증진행동으로 이어지는가?: 건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8 (58): 350-370, 2014

      22 Wycherley A, "Speciality food orientation of food related lifestyle(FRL)segments in Great Britain" 19 : 498-510, 2008

      23 Bolton D, "Market research reflects and predicts growth"

      24 Kozup JC, "Making healthful food choices : the influence of health claims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consumers’ evaluations of packaged food products and restaurant menu items" 67 : 19-34, 2003

      25 Krishnan J, "Lifestyle-A tool for understanding buyer behavior" 5 : 283-298, 2011

      26 Nie C, "Lifestyle segmentation of US food shoppers to examine organic and local food consumption" 57 : 28-37, 2011

      2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28 Bandura A, "Health promotion by social cognitive means" 31 : 143-164, 2004

      29 FAO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Global tea consumption and production driven by robust demand in China and India"

      30 Jang YJ, "Generation Y consumers’ selection attributes and behavioral intentions concerning green restaurants" 30 : 803-811, 2011

      31 Brunsǿ K,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cross-culturally valid instrument : food-related life style" 22 : 475-480, 1995

      32 Einöther SJ, "Acute effects of tea consumption on attention and mood" 98 : 1700S-1708S, 2013

      33 Ko JY, "A study on the selection attribute of coffee consumer’s" 8 : 23-41, 2009

      34 Korean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8 Current status of segmented processed food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