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의 고찰 = A Study on the Theory of Relig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은 중국식 종교이론의 결정판으로서 중국의 종교에 대한 정치적 이론과 실천의 총합이다. 그것은 현재와 미래에 있어서 중국의 종교와 문화가 어떤 모습을 지니...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은 중국식 종교이론의 결정판으로서 중국의 종교에 대한 정치적 이론과 실천의 총합이다. 그것은 현재와 미래에 있어서 중국의 종교와 문화가 어떤 모습을 지니게 될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본고는 이러한 중국적 종교이론의 형성과정과 핵심내용 및 비판적 논의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의 형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그 내용적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것이 상호 이질적인 요소들, 즉 마르크스주의 종교관과 중국종교의 현실, 종교의 원리와 중국의 역사문화적 토양, 나아가 보장과 통제, 자유와 구속이 결합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법률적 미비성 비판, 종교법 제정의 필요성 주장, 수정본 종교사무조례 비판, 정상적 종교행위를 종교극단주의로 해석하는 정부시선의 부당성에 대한 항의, 정상적 종교활동에 대한 비법적 강제조치에 대한 비판, 종교사무국의 부처이기주의의 위험성에 대한 지적, 종교 세속화 요구의 부당성 비판, 교육현장에서 행해지는 이중삼중의 종교탄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ory of relig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an be seen as the ultimate work of the Chinese-type religious theory. This theory unites the historical experience on the religion management of the country therefore is the criterion f...

      The theory of relig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an be seen as the ultimate work of the Chinese-type religious theory. This theory unites the historical experience on the religion management of the country therefore is the criterion for figuring out the current and the future of the China’s religion. The contemplation on this topic is as follows. Firstly, the formation of the theory of relig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has been examined in an historical perspective. This theory is in line with the political selection of the communist party for settlement of the urgent problems, by which the Chinese society is facing. In turn, the features of the contents have been contemplated. As a result, the feature has been found to be the combination of heterogenous elements. That is to say, the theory of relig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re featured with combinations of the realities of the Marxism and Chinese religions, principles of religion, historical and cultural foundations of China, assurance and control. Further, the critical discussions on the relig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examined. For this, the discourse on the legal incompleteness has been figured out. Then, the argument that the revised version of Regulation on Religious Affairs, which is the legislative expression of this has the unconstitutional power, has been examined. In addition, the criticisms on the conspiracy of the communist government for reinforcement of leadership as well as the department selfishness have been mentioned. Further, there are strong criticisms on the enforcement of the independence policy, which is for complete blockage of the external influences on religion. Moreover, there are criticisms on the clauses for requesting execution of the core value of the socialism. This means that religions must not be forced for secularization. Furthermore, there are many criticisms on the dual and triple restrictions on the religious activi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reason is that such action violates the freedom for religion a lot as well as the education act. Through this contemplation, we can figure out the fact that the Chinese political parties and the government are operating the national Church for the goal of the country, which is the rich China. That is to say, even the non-secular competence of the religion must be integrated into such national Chu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서론
      • 2.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의 형성
      • 3.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의 핵심 내용
      • 4.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에 대한 비판
      • 초록
      • 1. 서론
      • 2.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의 형성
      • 3.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의 핵심 내용
      • 4.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에 대한 비판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법률우위의 원칙과 법률유보의 원칙 (행정법총론)"

      2 胡錦濤, "高舉中國特色社會主義偉大旗幟, 爲奪取全面建設小康社會新勝利而奮鬥――在中國共産黨第十七次全國代表大會上的報告" 中国共产党新闻網

      3 "關于我國社會主義時期宗教問題的基本觀點和基本政策" 正保法律敎育網

      4 張聖隆, "關于宗教事務條例修訂草案(送審稿)的公民意見"

      5 何 玲, "鄧小平理論在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中的地位及其影響" 2005

      6 王作安, "鄧小平對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的開創之功" 2014

      7 邢福增, "踐行社會主義核心價值觀是宗教信仰的核心價值嗎" 立場新聞

      8 蔡少琪, "讓政府行政部門牢牢掌握宗教工作主動權: 宗教事務條例修訂草案(送審稿) 與2005年的宗教事務條例的不同" 時代論壇

      9 龔學增, "試論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體系" (207) : 2008

      10 王作安, "行穩致遠久久爲功堅持我國宗教中國化方向" 鳳凰網佛教

      1 "법률우위의 원칙과 법률유보의 원칙 (행정법총론)"

      2 胡錦濤, "高舉中國特色社會主義偉大旗幟, 爲奪取全面建設小康社會新勝利而奮鬥――在中國共産黨第十七次全國代表大會上的報告" 中国共产党新闻網

      3 "關于我國社會主義時期宗教問題的基本觀點和基本政策" 正保法律敎育網

      4 張聖隆, "關于宗教事務條例修訂草案(送審稿)的公民意見"

      5 何 玲, "鄧小平理論在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中的地位及其影響" 2005

      6 王作安, "鄧小平對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的開創之功" 2014

      7 邢福增, "踐行社會主義核心價值觀是宗教信仰的核心價值嗎" 立場新聞

      8 蔡少琪, "讓政府行政部門牢牢掌握宗教工作主動權: 宗教事務條例修訂草案(送審稿) 與2005年的宗教事務條例的不同" 時代論壇

      9 龔學增, "試論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體系" (207) : 2008

      10 王作安, "行穩致遠久久爲功堅持我國宗教中國化方向" 鳳凰網佛教

      11 杜玉芳, "當代中國的宗敎狀況和宗敎政策(360doc)"

      12 俞學明, "現在立宗教基本法可能弊大于利" 鳳凰網佛教

      13 劉 澎, "法治是解決宗教問題的唯一選擇" 普世社會科學研究網

      14 "江澤民總書記關于宗教工作的“四句話" 中國共産黨新聞網

      15 王 怡, "我对新宗教事务条例的五个立场" 维权网

      16 徐玉成, "從一份行政訴訟判決書看宗教事務條例在行政訴訟中的法律地位" 普世社會科學研究網

      17 張祝平, "對宗教堅持中國化方向的幾點思考來源" 道教之音

      18 刘 澎, "宗教领域不能成为管理部门利益自留地" 財新網

      19 邢福增, "再思強拆十字架" 香港中文大學基督教研究中心暨基督教中國宗教文化研究社通訊 2015

      20 習近平, "全面提高新形勢下宗教工作水平" 新華網

      21 加潤國, "全球信教人口數據" 中國社會科學網

      22 習近平, "全國宗教工作會議上的講話, 發展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全面提高新形勢下宗教工作水平" 人民網

      23 "二十四位公民(律師、教牧、學者、信衆)關于解釋憲法第36、89條的建議書" 成都基督徒小站

      24 劉 澎, "中國的宗教與法治"

      25 劉 澎, "中國的宗教與法治" 歷史之家

      26 劉 澎, "中國的宗教與法治" 歷史之家

      27 孫軼煒, "中國當代人宗敎信仰調査"

      28 劉曉玉, "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的新成果―十八大以來習近平關于宗教問題系列講話精神解讀" 2017

      29 國家宗教事務局黨組理論學習中心組, "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學習讀本" 宗教文化出版社 2013

      30 陳宗榮, "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堅持和發展" 2016

      31 胡志堅, "中國特色社會主義宗教理論初探" (1) : 2004

      32 王作安, "中國宗敎狀況的新變化" (3) : 2008

      33 "中共中央辦公廳印發關于培育和踐行社會主義核心價值觀的意見" 中國共産黨新聞

      34 趙志恩, "三自愛國運動的神學意義" 1996

      35 丁光訓, "三自愛國運動的發展和充實" 2000

      36 鄭汝铨, "三自愛國運動的回首與展望"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43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