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Recent Advances in Cancer Diagnosis: On an Overview of Diagnostic Cytopathologic Modalities and Ancillary Techniq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91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말과 20세기초에 각각 비르효와 파파니콜로에 의해 명료하게 된 세포 병리학과 탈락세포학의 개념에서 오늘날의 암진단의 일차적인 방법이 발전해 왔다. 파파니콜로의 탈락세포학의 ...

      19세기말과 20세기초에 각각 비르효와 파파니콜로에 의해 명료하게 된 세포 병리학과 탈락세포학의 개념에서 오늘날의 암진단의 일차적인 방법이 발전해 왔다. 파파니콜로의 탈락세포학의 개념에서 1960년대 초반에 세침흡인 세포검사가 개발되었다. 이 세침흡인 세포검사는 주된 진단방법이 되어져, 절개생검을 감소하게 하고 의료비용의 효과적인 이용에 공헌하였다. 1980년대에는 면역생화학적 기술들이 암 진단에 보충역활을 하게 되었다. 단 클론 항체를 이용하는 면역과산화효소법이 먼저 암의 본성을 밝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쓰여졌다. 특정 단클론 항체들이 이용가능하게 되어 세포산물이나 표면 표지자들을 인지하는 것을 훨씬 용이하게 하였다. 예를 들면 중간세사에 대한 항체들이 분화가 나쁜 종양의 조직기원을 결정하는데 가치가 있는 것이 증명되었다. 종양표지자들은 종양존재의 생화학적 표시자로 이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종양표지자들은 혈장이나 다른 체액들에서 검출할 수 있다. 이 종양표지자들을 농출한 것을 진단적 검사에 이용하여 이미 진단된 암의 임상 경과를 추적하고 암 발생의 위험이 있는 집단에서 특정 종양을 발견해 내기 위한 선별검사로써 이용할 수 있다. 유세포 검사는 백혈병이나 림프종 세포들의 면역표현형을 알아내고, 종양세포들의 DNA함유량을 알아내며, 세포증식율을 알아내는 등의 몇가지의 세포의 특성을 분류해내는데 유용한 도구이다. 분자생물학적 방법들은, 암 환자를 진료하는데 있어 진단, 예후평가 및 치료 등의 분야에서 일보 전진하게 하였다. 핵산교잡법이 Southern blots, Nothern blot, Dot blot 및 in situ hybridization으로 이용된다. 분자생물학 및 그 기술이 암종 생물학을 이해하고 유전자 조작을 기초로한 치료법을 계획하는데 밝은 새로운 지평선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concepts of cellular pathology and of exfoliative cytology, as elucidated by Virchow and Papanicolaou respectivel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have evolved the primary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cancer today. From Papanicolaou'...

      From the concepts of cellular pathology and of exfoliative cytology, as elucidated by Virchow and Papanicolaou respectivel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have evolved the primary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cancer today. From Papanicolaou's concept of exfoliative cytology developed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in the early 1960's, this has become a major diagnostic procedure and has contribut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open biopsies and, therefore, to medical cost-effectiveness immunobiochemical techniques provided us with a supplement to cancer diagnosis in the 1980's. The immunoperoxidase method, using monoclonal antibodies, is applied primarily as an ancillary measure to elucidate the nature of cancers The availability of 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has greatly facilitated the identification of cell products or surface markers. For example, antibodies directed against intermediate filaments have proved to be of value in determining the histogenesis oi poorly differentiated neoplasms. Tumor markers may serve as biochemical indicators of the presence of a neoplasm. They can be detected In plasma and other body fluids. Their concentration can be applied as a diagnostic test, for monitoring the clinical course of known cancer, and as a screening measure to detect certain cancers in a population at risk. Flow cytometry is a useful tool for distinguishing several cel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mmunophenotype of leukemia-lymphoma cells, the DNA content of neoplastic cells, and cell proliferation rate. Molecular biologic techniques provided a giant step for the management of cancer patients encompassing diagnosis, prognostic evaluation, and therapy. Nucleic acid hybridization techniques are utilized as Southern, Northern, and dot blots and in situ hybridization. Molecular biology and its techniques may bring a blight new horizon for understanding cancer biology and in designing therapy on the basis of gene manipul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