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능기가 도입된 산화철 자성나노입자(γ-Fe2O3)를 이용한 Tris(2,2'-bipyridyl)ruthenium(II) 전기화학발광센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306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lectrochemical behavior and electrogenerated chemiluminescence(ECL) of Ru(bpy)32+(tris(2,2'-bipyridyl)ruthenium(II)) immobilized in the multilayers of poly(3-thiopheneacetic acid)-stbilized magnetic nanoparticles(γ-Fe2O3) coated on a Pt electrode have been investigated. The multilayers of poly(3-thiopheneacetic acid)-stbilized magnetic nanoparticles(γ-Fe2O3) can be easily formed on a Pt electrode by an external magnet. Ru(bpy)32+ can be immobilized in those multilayers through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Ru(bpy)32+ and carboxylate of 3-thiopheneacetic acid(3TA) at pH 7.0. However, Ru(bpy)32+ was not stably bound to the films because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Ru(bpy)32+ and -COO- of 3TA is not so strong as Nafion widely used for the immobilization of Ru(bpy)32+. In order to overcome this shortcoming, the same amount of Ru(bpy)32+ has been re-immobilized at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under the identical condition even though the multilayers-modified electrode surface already contains Ru(bpy)32+. The re-immobilization step was completed in a short period time within 5 min because of the fast diffusion rate of Ru(bpy)32+ into the multilayers of poly(3-thiopheneacetic acid)-stbilized magnetic nanoparticles(γ-Fe2O3). So in this research, the present solid-state Ru(bpy)32+ ECL sensor based on the magnetic nanoparticles has been evaluated in terms of sensitivity, detection limit and long-term stability.The present Ru(bpy)32+ ECL sensor with the re-immobilization approach showed improved ECL sensitivity for TPrA compared to pure Nafion films. The sensor showed that the limit of detection was 49 nM TPrA and linear range was 0.5×10-3 ~ 1 mM. In addition, it its expected that the present ECL sensor exhibit good long-term stability as long as the magnetic nanoparticles stayed on the electrode surface because magnetic nanoparticles are quite stable under any circumstances compared to other materials.
      번역하기

      Electrochemical behavior and electrogenerated chemiluminescence(ECL) of Ru(bpy)32+(tris(2,2'-bipyridyl)ruthenium(II)) immobilized in the multilayers of poly(3-thiopheneacetic acid)-stbilized magnetic nanoparticles(γ-Fe2O3) coated on a Pt electrode ha...

      Electrochemical behavior and electrogenerated chemiluminescence(ECL) of Ru(bpy)32+(tris(2,2'-bipyridyl)ruthenium(II)) immobilized in the multilayers of poly(3-thiopheneacetic acid)-stbilized magnetic nanoparticles(γ-Fe2O3) coated on a Pt electrode have been investigated. The multilayers of poly(3-thiopheneacetic acid)-stbilized magnetic nanoparticles(γ-Fe2O3) can be easily formed on a Pt electrode by an external magnet. Ru(bpy)32+ can be immobilized in those multilayers through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Ru(bpy)32+ and carboxylate of 3-thiopheneacetic acid(3TA) at pH 7.0. However, Ru(bpy)32+ was not stably bound to the films because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Ru(bpy)32+ and -COO- of 3TA is not so strong as Nafion widely used for the immobilization of Ru(bpy)32+. In order to overcome this shortcoming, the same amount of Ru(bpy)32+ has been re-immobilized at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under the identical condition even though the multilayers-modified electrode surface already contains Ru(bpy)32+. The re-immobilization step was completed in a short period time within 5 min because of the fast diffusion rate of Ru(bpy)32+ into the multilayers of poly(3-thiopheneacetic acid)-stbilized magnetic nanoparticles(γ-Fe2O3). So in this research, the present solid-state Ru(bpy)32+ ECL sensor based on the magnetic nanoparticles has been evaluated in terms of sensitivity, detection limit and long-term stability.The present Ru(bpy)32+ ECL sensor with the re-immobilization approach showed improved ECL sensitivity for TPrA compared to pure Nafion films. The sensor showed that the limit of detection was 49 nM TPrA and linear range was 0.5×10-3 ~ 1 mM. In addition, it its expected that the present ECL sensor exhibit good long-term stability as long as the magnetic nanoparticles stayed on the electrode surface because magnetic nanoparticles are quite stable under any circumstances compared to other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입자표면에 기능기를 도입한 자성나노입자와의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전기화학발광 물질인 Ru(bpy)32+(tris(2,2'-bipyridyl)ruthenium(II))를 전극표면에 고정시켰으며, 이러한 Ru(bpy)32+ 고정시스템의 분석물질에 대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알아보았다.전기화학발광법에서 많이 사용되는 Ru(bpy)32+는 전기화학발광 결과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는 재생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것을 전극표면에 고정시키게 되면 반영구적인 Ru(bpy)32+의 재사용이 가능해지며, 값비싼 Ru(bpy)32+의 소모를 줄임으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실험 설계가 간단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본 연구에서는 Ru(bpy)32+를 전극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넓은 표면적을 가진 자성나노입자를 사용하였다. γ-Fe2O3 자성나노입자(maghemite)는 유기용매 상에서 DDA(dodecylamine)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여 합성하였고, 산화제 KMnO4를 이용하여 입자표면 위에 3TA(3-thiopheneacetic acid)의 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기능기를 도입하였다. 상자성을 띠고 있는 γ-Fe2O3 자성나노입자는 외부자기장에 대한 유동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성나노입자의 성질을 바탕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기능기를 도입한 자성나노입자를 전극표면에 고정시키게 되면 자성나노입자와의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Ru(bpy)32+를 전극표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이러한 Ru(bpy)32+ 고정시스템에서 분석물질 TPrA(tri-n-propylamine)에 대한 전기화학발광 측정 결과, TPrA의 검출한계는 49 nM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Nafion막과 비교하여 약 20 배 낮은 검출한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PrA의 선형검출범위는 5.0×10-4 ~ 1.0 mM로서 Nafion/sol-gel 복합막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모두 자성나노입자의 넓은 표면적과 입자와 입자사이의 넓은 공간에 의해서 나타난 것임을 기대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입자표면에 기능기를 도입한 자성나노입자와의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전기화학발광 물질인 Ru(bpy)32+(tris(2,2'-bipyridyl)ruthenium(II))를 전극표면에 고정시켰으며, 이러한 Ru(bpy)32+ ...

      본 연구에서는 입자표면에 기능기를 도입한 자성나노입자와의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전기화학발광 물질인 Ru(bpy)32+(tris(2,2'-bipyridyl)ruthenium(II))를 전극표면에 고정시켰으며, 이러한 Ru(bpy)32+ 고정시스템의 분석물질에 대한 전기화학발광 특성을 알아보았다.전기화학발광법에서 많이 사용되는 Ru(bpy)32+는 전기화학발광 결과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는 재생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것을 전극표면에 고정시키게 되면 반영구적인 Ru(bpy)32+의 재사용이 가능해지며, 값비싼 Ru(bpy)32+의 소모를 줄임으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실험 설계가 간단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본 연구에서는 Ru(bpy)32+를 전극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넓은 표면적을 가진 자성나노입자를 사용하였다. γ-Fe2O3 자성나노입자(maghemite)는 유기용매 상에서 DDA(dodecylamine)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여 합성하였고, 산화제 KMnO4를 이용하여 입자표면 위에 3TA(3-thiopheneacetic acid)의 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기능기를 도입하였다. 상자성을 띠고 있는 γ-Fe2O3 자성나노입자는 외부자기장에 대한 유동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성나노입자의 성질을 바탕으로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기능기를 도입한 자성나노입자를 전극표면에 고정시키게 되면 자성나노입자와의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Ru(bpy)32+를 전극표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이러한 Ru(bpy)32+ 고정시스템에서 분석물질 TPrA(tri-n-propylamine)에 대한 전기화학발광 측정 결과, TPrA의 검출한계는 49 nM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Nafion막과 비교하여 약 20 배 낮은 검출한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PrA의 선형검출범위는 5.0×10-4 ~ 1.0 mM로서 Nafion/sol-gel 복합막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모두 자성나노입자의 넓은 표면적과 입자와 입자사이의 넓은 공간에 의해서 나타난 것임을 기대할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