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조희룡 문학의 詩情과 畫意, 그리고 유희정신 = Poetic sentiment, painting’s intention and amusement esprit of Cho Hee-Ryong’s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9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o Hee-Ryong’s poetry and prose in close relationship with his view of art. <又一東閤記(Wo-il-Dong-Hap-gi)> is noted as an article expression that Cho's own identity is in paintings and calligraphy arts. The characteristic of the poem Cho Hee-Ryong, who has an art view of the monolithic theory of poetry and calligraphy, can be found in the combination of poetic sentiment and painting’s intention. Cho Hee-Ryong’s poetry obtains personality from the point of close combination of the poetric sentiment and painting’s intention which sharply portrays the scenery of the season with observation as an artist.
      Cho Hee-Ryong emphasized the amusement esprit in art, and his interest in Taoist thought and Buddhism also has a certain relationship. His amusement esprit was influenced by 蘇軾(Su Shi), but he progressed for maximizing amusement esprit in accordance with his artistic passion, emphasizing the spirit and the handicraft. The prominent feature of Cho Hee- Ryong’s prose is the writing style in which this amusement esprit is expressed. It is understood as the expression of an independent art view based on his identity as middle-class artist, against the ideological beauty of the gentry literature.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o Hee-Ryong’s poetry and prose in close relationship with his view of art. <又一東閤記(Wo-il-Dong-Hap-gi)> is noted as an article expression that Cho's own identity is in painti...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o Hee-Ryong’s poetry and prose in close relationship with his view of art. <又一東閤記(Wo-il-Dong-Hap-gi)> is noted as an article expression that Cho's own identity is in paintings and calligraphy arts. The characteristic of the poem Cho Hee-Ryong, who has an art view of the monolithic theory of poetry and calligraphy, can be found in the combination of poetic sentiment and painting’s intention. Cho Hee-Ryong’s poetry obtains personality from the point of close combination of the poetric sentiment and painting’s intention which sharply portrays the scenery of the season with observation as an artist.
      Cho Hee-Ryong emphasized the amusement esprit in art, and his interest in Taoist thought and Buddhism also has a certain relationship. His amusement esprit was influenced by 蘇軾(Su Shi), but he progressed for maximizing amusement esprit in accordance with his artistic passion, emphasizing the spirit and the handicraft. The prominent feature of Cho Hee- Ryong’s prose is the writing style in which this amusement esprit is expressed. It is understood as the expression of an independent art view based on his identity as middle-class artist, against the ideological beauty of the gentry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희룡 한시와 산문의 특성을 그의 예술관과의 밀접한 관련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우일동합기(又一東閤記)」는 조희룡 자신의 정체성이 서화 예술에 있음을 표명한 글로 주목된다.
      시서화(詩書畫) 일체론의 예술관을 지닌 조희룡 한시의 특징은 시정(詩情)과 화의(畫意)의 결합양상에서 찾을 수있다. 조희룡 한시의 개성은 화가로서의 관찰력으로 경물을 예리하게 묘사하는 화의를 시의정취,곧시정과긴밀하게결합시킨점에서획득되고있다.
      조희룡은 예술에서 유희정신을 중시했으며, 도가와 불가 사상에 대한 관심 또한 이와 일정한관련을 지닌다. 그의 유희정신은 소식(蘇軾)의 영향을 받았지만, 성령(性靈)과 수예(手藝)를 강조하며예술적 격정에 따라 유희정신(遊戲精神)을 극대화하는 측면으로 나아갔다. 조희룡 산문의 두드러진특징은 이러한 유희정신이 발현된 글쓰기 방식에 있으며, 이는 사대부의 고아(古雅)한 이념미에 대항하여여항예술가의정체성에입각한독자적예술관의표출로이해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조희룡 한시와 산문의 특성을 그의 예술관과의 밀접한 관련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우일동합기(又一東閤記)」는 조희룡 자신의 정체성이 서화 예술에 있음을 표명한 글로...

      이 글은 조희룡 한시와 산문의 특성을 그의 예술관과의 밀접한 관련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우일동합기(又一東閤記)」는 조희룡 자신의 정체성이 서화 예술에 있음을 표명한 글로 주목된다.
      시서화(詩書畫) 일체론의 예술관을 지닌 조희룡 한시의 특징은 시정(詩情)과 화의(畫意)의 결합양상에서 찾을 수있다. 조희룡 한시의 개성은 화가로서의 관찰력으로 경물을 예리하게 묘사하는 화의를 시의정취,곧시정과긴밀하게결합시킨점에서획득되고있다.
      조희룡은 예술에서 유희정신을 중시했으며, 도가와 불가 사상에 대한 관심 또한 이와 일정한관련을 지닌다. 그의 유희정신은 소식(蘇軾)의 영향을 받았지만, 성령(性靈)과 수예(手藝)를 강조하며예술적 격정에 따라 유희정신(遊戲精神)을 극대화하는 측면으로 나아갔다. 조희룡 산문의 두드러진특징은 이러한 유희정신이 발현된 글쓰기 방식에 있으며, 이는 사대부의 고아(古雅)한 이념미에 대항하여여항예술가의정체성에입각한독자적예술관의표출로이해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회, "조희룡의 「장오복전(張五福傳)」에 대한시론적 검토" 동양고전연구소 (36) : 265-293, 2017

      2 한영규, "조희룡의 <論畵截句> 창작과 그 비평적 특징" 우리한문학회 17 (17): 143-177, 2007

      3 전가람, "조희룡(趙熙龍)의 유희정신(遊戲精神)45)과 그 발현(發現) - 소식(蘇軾)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중국인문학회 (66) : 259-283, 2017

      4 정혜린, "조희룡(趙熙龍)의 시서화론 : '자연'의 재해석을 통한 시서화의 자율성 확대에 관해" 한국미학회 (32) : 63-113, 2002

      5 이현일, "조선후기 京華世族의 東坡 수용 양상" 한국중국어문학회 62 : 193-218, 2010

      6 류소진, "조선 후기 문인 趙熙龍의 蘇軾 추앙 양상" 중국어문학회 (62) : 123-152, 2018

      7 류소진, "조선 후기 문인 趙熙龍 詩文의 蘇軾 관련 用典 양상" 영남중국어문학회 (78) : 151-178, 2018

      8 안대회, "조선 중후기 淸言小品의 향유와 창작" 한국한문학회 (59) : 123-154, 2015

      9 조민환, "趙熙龍 畵論에 나타난 道家哲學的 要素" 한국사상문화학회 (50) : 425-458, 2009

      10 박철상, "『이후시금록(以後視今錄)』을 통해 본 조희룡(趙熙龍)의 『호산외사(壺山外史)』" 우리한문학회 29 (29): 299-321, 2013

      1 김경회, "조희룡의 「장오복전(張五福傳)」에 대한시론적 검토" 동양고전연구소 (36) : 265-293, 2017

      2 한영규, "조희룡의 <論畵截句> 창작과 그 비평적 특징" 우리한문학회 17 (17): 143-177, 2007

      3 전가람, "조희룡(趙熙龍)의 유희정신(遊戲精神)45)과 그 발현(發現) - 소식(蘇軾)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중국인문학회 (66) : 259-283, 2017

      4 정혜린, "조희룡(趙熙龍)의 시서화론 : '자연'의 재해석을 통한 시서화의 자율성 확대에 관해" 한국미학회 (32) : 63-113, 2002

      5 이현일, "조선후기 京華世族의 東坡 수용 양상" 한국중국어문학회 62 : 193-218, 2010

      6 류소진, "조선 후기 문인 趙熙龍의 蘇軾 추앙 양상" 중국어문학회 (62) : 123-152, 2018

      7 류소진, "조선 후기 문인 趙熙龍 詩文의 蘇軾 관련 用典 양상" 영남중국어문학회 (78) : 151-178, 2018

      8 안대회, "조선 중후기 淸言小品의 향유와 창작" 한국한문학회 (59) : 123-154, 2015

      9 조민환, "趙熙龍 畵論에 나타난 道家哲學的 要素" 한국사상문화학회 (50) : 425-458, 2009

      10 박철상, "『이후시금록(以後視今錄)』을 통해 본 조희룡(趙熙龍)의 『호산외사(壺山外史)』" 우리한문학회 29 (29): 299-321, 2013

      11 I, Sŏnok(Lee, Seonok), "Wubong Cho Hŭiryong-19segi mukchang ŭi yŏngsu [Wubong Cho Hŭiryong – A Leader of the Area of Ink]" Dolbegae 2017

      12 Mao, Kun, "Tangsongfadajiawenchao [The Selected Writings of Eight Great Writers in Tang and Song Dynasty], Siku Quanshu Wenyuange [Complete Library in the Four Branches of Literature]" SKQS

      13 I, Sŏnghye(Lee, Seonghea), "Sop"ummun ŭi munch"ejŏk t"ŭkching e taehan kochal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op"ummun style]" 12 : 205-230, 1998

      14 Wei, Qingzhi, "Shirenyuxie [Jade Dross of Poets]" SKQS

      15 Peng, Dingqiu, "Quantangshi [The Collected Poems of Tang China]" Zhonghuashuju 1996

      16 Nam, Pyŏngch'ŏl, "Kyujaeyugo [The Collected Works of Nam Pyŏngch'ŏl]" 316 :

      17 Xue, Xuan, "Jingxuanwenji [The collected works of Xue Xuan]" SKQS

      18 Kang, Bongnyong (Kang, Bongyong), "Imja-do Wubong Cho Hŭiryong chŏkkŏji ŭi kwan'gwangjiwŏnhwa pangan [A plan for making tourist attracted to Imja Island where Cho Hŭiryong was exiled]" 24 : 101-126, 2004

      19 Kim, Sŏkchun, "Hongangnuhoeinshirok [Poems of thinking people in the Yongyak-pavilion]" 5 :

      20 I, Usŏng (Lee, Woosung), "Hankuk ŭi yŏksasang [The Aspects of Korean History]" Ch’angjak kwa pip’ŏngsa 1982

      21 Chŏng, Okcha (Jung, Okja), "Essays in Celebration of Dr. Han Ukŭn’s Regular Retirement" Chisiksanŏpsa 1981

      22 Du, Fu, "Dugongfuji [The Collected Works of Du Fu], Siku Quanshu Wenyuange [Complete Library in the Four Branches of Literature], 1773-1785"

      23 Pak, Hŭibyŏng(Park, Heebyoung), "Chŏn'gijakka rosŏŭi Cho Hŭiryong yŏn'gu [A Study on Cho Hŭiryong as a biographer]" 10 : 261-286, 1985

      24 Han, Yŏnggyu(Han, Younggyu), "Chunginch"ŭng chŏnkijip Hosanoiki sŏngkyŏk kwa uisang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Hosanoegi, a Biography Collection for the Middle Class]" 29 : 71-105, 2006

      25 Cho, Susam, "Chujaejip [The Collected Works of Cho Susam], Yŏhangmunhakch'ongsŏ [The collected works of middle class literati], Vol. 3" Tarŭnsaenggak 2017

      26 I, Sŏnghye(Lee, Seonghea), "Chosŏn ŭi hwaga Cho Hŭiryong [Cho Hŭiryong, a Painter of Joseon]" Hangil art 2005

      27 Pak, Yunmuk, "Chonjaejip [The Collected Works of Pak Yunmuk]" 4 :

      28 Choi, Kisuk(Choi, Kisuk), "Cho Hŭiryong ŭi yubaech'ehŏm kwa kŭlssŭgi [The exile and the introspection of an artist Cho Hŭiryong]" 9 : 131-173, 2005

      29 I, Chiyang(Lee, Jiyang), "Cho Hŭiryong ŭi yesulkajŏk chŭisik kwa munchang pyohyŏn ŭi tŭkching [Cho Hŭiryong"s characteristic of artistic self-consciousness and sentence expression]" 13 : 257-276, 1998

      30 Chŏng, Okcha (Jung, Okja), "Cho Hŭiryong ŭi si sŏhwaron [Cho Hŭiryong’s theory of poem, calligraphy and painting]" 19 : 101-120, 1988

      31 Ko, Sŏkkyu(Ko, Seokkyu), "Cho Hŭiryong ŭi Imja-do yubaesaenghwal e daehayŏ [About Cho Hŭiryong"s exiled life in Imja Island]" 24 : 57-99, 2004

      32 Han, Yŏnggyu(Han, Younggyu), "Cho Hŭiryong sanmun ŭi Manmyŏng Ch'ŏngŏnsop'um suyong kwa kŭ t'ŭkching [The reception of Ch'ŏngŏnsop'um of the prose of Cho Hŭiryong at the end of Kingdom Myŏng and its character]" 4 : 135-165, 2001

      33 Han, Yŏnggyu (Han, Younggyu), "Cho Hŭiryong kwa ch’usapa chungin ŭi sidae [Time of Cho Hŭiryong and the middle-class in the ch’usa’s school]" Hakchwon 2005

      34 Kim, Yŏnghoe(Kim, Younghoi), "Cho Hŭiryong Pyŏng jŏn [A Critical Biography of Cho Hŭiryong]" Tongmunsŏn 2003

      35 I, Kihyŏn (Lee, Kihyun), "Cho Hŭiryong Jehuasop’um yŏnku [A study on Cho Hŭiryong’s prose on painting in the sop’um style-with a focus on his works of plum blossoms]" 452-460, 2007

      36 Cho, Hŭiryong, "Cho Hŭiryong Chŏnchip [Complete Collection of Cho Hŭiryong], Vol. 1-6" Hankil Art 1999

      37 한영규, "19세기 여항문인 조희룡의 유배와 신안 임자도" 국제어문학회 (59) : 75-107, 2013

      38 정우봉, "19세기 性靈論의 재조명- 최성환의 性靈論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35) : 75-116, 2005

      39 윤재민, "19세기 中人文學의 再照明 - 趙熙龍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35) : 117-156, 2005

      40 Sin, Ikch'ŏl (Shin, Ikcheol), "19 segi yŏhangmunyŏ wa Cho Hŭiryong ŭi yŏsulsgyŏ [Literature of middle class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Cho Hŭiryong’s world of art]" Cho Hŭiryong Chŏnjip, Hankil Art 1999

      41 Han, Yŏnggyu(Han, Younggyu), "19 segi hoeinshi ŭi yangsang kwa Cho Hŭiryong ŭi hoeinjŏlgu [Some aspects of hoeinshi and hoeinjŏlgu of Cho Hŭiryong]" 6 : 165-189,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4 1.59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