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화에서 나타나는 주된 손상은 많은 요인들로부터 발생된다. 손상을 일으키는 이들 요인들은 서로 연결되어 유기적으로 작용하거나 각 개별 요인 서로간에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44317
한경순 (경주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2003
Korean
사찰벽화 ; 주변환경 ; 습기 ; 예방보존 ; Buddhist wall paintings ; surrounding ; moisture ; protective conservation
600.15
학술저널
155-167(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벽화에서 나타나는 주된 손상은 많은 요인들로부터 발생된다. 손상을 일으키는 이들 요인들은 서로 연결되어 유기적으로 작용하거나 각 개별 요인 서로간에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
벽화에서 나타나는 주된 손상은 많은 요인들로부터 발생된다. 손상을 일으키는 이들 요인들은 서로 연결되어 유기적으로 작용하거나 각 개별 요인 서로간에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벽화의 여러 손상원인들 중에 가장 중요한 원인으론 습기를 꼽을 수 있으며 이는 수많은 형태별 손상의 매개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습기는 주변 환경에 의해 발생되며 사찰벽화의 경우 습기에 심하게 노출되어있는 주변환경을 갖고 있다. 대부분 사찰이 산지가람(山地伽藍)이므로 지리적 주변환경이 사찰벽화손상의 직, 간접적인 원인이 된다. 그 외 주변환경에 의한 피해로 조류(鳥類)나 충류(蟲類)에 의한 원인과 관람자의 무분별한 태도도 주변환경에 의한 피해로 규명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구조적인 원인과 수리나 관리 부족으로 인한 인위적 원인도 사찰벽화의 주된 손상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사찰벽화의 보존방안에 있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할 부분이 모든 손상원인의 기원을 밝히고 원인을 제거하는 노력일 것이며 무엇보다도 주변환경에 대한 조치가 되어야할 것이다. 이는 예방적 보존을 의미하며 사찰벽화주변의 환경을 조절하여 벽화의 수명을 연장하려는 노력이 될 것이다. 이번 논고에서는 현재 사찰벽화의 현실성을 감안한 보존방안을 제시하였고 향 후 지속적인 점검과 관리의 필요성이 효율적인 사찰벽화의 보존방안임을 설명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factors causing the damage of wall paintings not only appear independently but also in reaction to each other. Among many factors, the major factor causing the damage of the wall paintings is moisture which is the basic medium causing many differ...
Many factors causing the damage of wall paintings not only appear independently but also in reaction to each other. Among many factors, the major factor causing the damage of the wall paintings is moisture which is the basic medium causing many different kinds of damage and deterioration in wall paintings. Buddhist temples in Korea located in the mountains have been exposed to moisture so that this becomes the direct and indirect cause of the damage of Buddhist wall paintings in Korea. Birds, insects, vandalism of tourists, structural problems of building, and careless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can be additional causes of the damage of wall paint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origin of damage, to remove these causes, and to protect the wall paintings from surrounding causes of damage. This is called 'protective conservation' which controls the cause of damage and extends the life of the wall painting. In this scope, I suggested practical methods of the conservation of Buddhist wall paintings and recommended that the continuous careful and scientific maintenance is the necessary and effective way of preserving Korean Buddhist wall paintings.
와편의 연대결정에서 SAAD방법과 SAR방법으로 측정한 연대측정 결과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