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재난(catastrophe) 모티프와 공동체의 이상 = The Connection between Catastrophe Motives in Kwangsu Lee's Novels and Value of Idealistic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178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종교적 감성 구조를 그의 다양한 사상적, 정치적 궤적을 새롭게 설명할 수 있는 핵심적 매개로 보고, 소설에 나타난 재난(catastrophe) 모티프의 의미를 밝히고자 ...

      이 글은 이광수 문학에 나타난 종교적 감성 구조를 그의 다양한 사상적, 정치적 궤적을 새롭게 설명할 수 있는 핵심적 매개로 보고, 소설에 나타난 재난(catastrophe) 모티프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래 재난의 상상력은 인간의무기력함과 초월적 운명에의 희구, 신에 의한 징벌 등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교적 감성 구조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이 중에서도 이광수 소설의재난 장면은 이상적인 사회를 향한 대규모 방향전환의 의미를 뚜렷하게 보인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무정>의 삼랑진 홍수 장면은 매우 유명한 바, 이것이초기작품에 그치지 않고 일제 말기까지 이어지는데, 이는 단순히 ‘민족의식’이라고 간단하게 환원해 버리기 힘든 다양한 의미망을 보여준다. 특히 이광수의 각 시기별 사유와 정치적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해석될 수 있는 여지가있다.
      초기 작품인 <무정>, <어린 벗에게>에서는 홍수나 파선(破船) 모티프를 통하여 공동 운명에 놓인 타자를 발견하고 그를 ‘구제’하는 윤리적 책임에의 각성이라는 주제를 형상화하였다. 유명한 삼랑진 홍수 장면이 그러하며, <어린 벗에게>에서 개인적 사랑의 대상을 ‘동포’와 ‘인류’의 층위에까지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는 것이 바로 재난 장면이었다. 이 때 ‘숭고’라는 감정 범주나 ‘영혼’과같은 기독교적 개념이 매개로 등장, 공동 운명에 놓인 타자와의 연대라는 주제를 정당화한다. 중기 작품인 <흙>에서는 굶주림과 가난으로 고통 받는 식민지현실을 ‘지옥’이라는 종교적 수사로 명명하면서 식민지인들의 무기력함을 부각시켰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이상촌 건설의 의지를 정당화하였다. 후기 소설인<사랑>은 희생적 사랑의 실천을 사회, 우주 운용의 원리로까지 확장시킨 작품으로서, 전염병으로 인한 수많은 죽음을 아귀다툼이 난무하는 사회악의 결과인것으로 의미를 부여하여 파시즘 하의 시대적 상황에의 대응 양상을 보여준다.
      <원효대사>에서의 전염병 구제 장면 역시 작품의 중심 서사인 ‘파계-구제’로이어지는 결절점이 된다는 것, 그리고 두타행을 실행하는 원효의 모습에 수양동우회 사건 무렵의 이광수의 내면 풍경이 겹쳐진다는 점도 이와 함께 고려할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이광수의 소설 속에서 재난 모티프는 타자와의 관계 및 윤리적 각성의식의 계기, 파행적 근대화를 시행하는 식민지 현실의 형상화, 파시즘 하 시대상황의 은유로서 각 시기별로 다양하게 의미화 되었다. 이러한 재난의 상상력은이광수의 준비론적 사상뿐만 아니라 아나키즘, 기독교적 상상력 등과 다층적으로 연계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catastrophic motives' in Kwangsu Lee's novels and short stories, which are related to his own religious sensibility and political idea. Generally, the imagination of catastrophe is closely rel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catastrophic motives' in Kwangsu Lee's novels and short stories, which are related to his own religious sensibility and political idea. Generally, the imagination of catastrophe is closely related to the religious sensibility including awakening people's helplessness, the hope for transcendency or the punishment from God in literary tradition. However, The catastrophic motives in Lee's works mainly function as an opportunity of huge overturn towards ideal society,as we can see flood sight of Samrangjin. This kind of catastrophic motives continue to the latter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y have various meanings even though many people call it just 'national consciousness'.
      Chapter 2 examines the meaning of catastrophic motives in early part of Lee's works,<Heartlessness>, <To a little friend>. The famous flood sight in <Heartlessness>shows the process of finding a group bound together by a common destiny. The shipwreck scene in <To a little friend> is an important chance for main character to realize his lover as a member of compatriot or humankind. The new concepts such as 'Sublimity' or 'Soul' can be used explaining character's emotion, justifying the subject of solidarity for a group bound together by a common destiny. Chapter 3 discusses the mening of catastrophic moives in middle part of Lee's works, <Earth>. Lee emphasized miserable colonial reality including hunger and poverty, and he named it as 'a hell' in Christianity term in the work. He also accented the will of building ideal village against Japanese imperialist government. Chapter 4 examines the meaning of catastrophic events in the latter part of Lee's works, such as <Love> and <A high priest, Wonhyo>. Lee shows the worth of agape and tried to expand it to the main principles of orginizing ideal community in <Love>. The infectious disease scene is kind of metaphor of social evil in this work. Same motif is used in <A high priest,Wonhyo>, demonstrating complicated Lee's inner side against compulsory turn by a Japanese imperialist in 1940s. The infectious disease in this work makes Wonhyo helping other people, ultimately makes him come through the sense of guilt, even though it failed repeatedly.
      In conclusion, the catastrophic motives in Kwangsu Lee's works have various meanings, such as an opportinity of realizing other people who are in common destiny,miserable reality in colonial period, an metaphor of social evil in strong influence of facism. This kind of meaning closely relates to his own thought of Christianity and Buddh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윤호, "흙의 식민지 근대와 수사적 특성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10) : 39-, 2004

      2 이광수, "흙" 문학과지성사 2009

      3 정주아, "한국 근대 서북문인의 로컬리티와 보편지향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I. 칸트, "판단력 비판" 책세상 166-167, 2009

      5 "청춘"

      6 서영채, "죄의식, 원한, 근대성 : 소세키와 이광수" 한국현대문학회 (35) : 35-67, 2011

      7 방민호, "일제 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예옥 239-270, 2011

      8 이광수, "이광수전집 3" 삼중당 1962

      9 이광수, "이광수전집 10" 우신사 1979

      10 서희원, "이광수의 문학·종교·정치의 연관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1 오윤호, "흙의 식민지 근대와 수사적 특성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10) : 39-, 2004

      2 이광수, "흙" 문학과지성사 2009

      3 정주아, "한국 근대 서북문인의 로컬리티와 보편지향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I. 칸트, "판단력 비판" 책세상 166-167, 2009

      5 "청춘"

      6 서영채, "죄의식, 원한, 근대성 : 소세키와 이광수" 한국현대문학회 (35) : 35-67, 2011

      7 방민호, "일제 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예옥 239-270, 2011

      8 이광수, "이광수전집 3" 삼중당 1962

      9 이광수, "이광수전집 10" 우신사 1979

      10 서희원, "이광수의 문학·종교·정치의 연관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11 박슬기, "이광수의 개조론과 기독교 윤리" 한국현대문학회 (35) : 69-93, 2011

      12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2" 솔 189-336, 1999

      13 서영채, "이광수, 근대성의 윤리" 한국근대문학회 1 (1): 147-180, 2009

      14 와다 토모미, "이광수 소설의 '생명' 의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5 한승옥,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희생양 모티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9 (9): 13-32, 2005

      16 이철호,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인격’과 그 주체 표상 - <흙>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56) : 103-131, 2011

      17 서영채, "아첨의 영웅주의" 소명출판 376-379, 2011

      18 Edmund Burke, "숭고와 미의 근원을 찾아서" 한길사 112-115, 2010

      19 서영채, "사랑의 문법" 문학동네 126-128, 2004

      20 이광수, "사랑, 前後편" 박문서관 1938

      21 이광수, "바로잡은 무정" 문학동네 2004

      22 아지자, "문학의 상징․주제 사전" 청하 93-95, 1989

      23 "매일신보"

      24 "동광"

      25 손유경, "고통과 동정" 역사비평사 71-147, 2008

      26 하타노 세츠코, "『무정』을 읽는다" 소명출판 385-398, 2008

      27 Nasrin Qader, "Narratives of Catastrophe" Fordham Univ. Press 6-, 2009

      28 Pitirim Sorokin, "Man and Society in Calamity" GreenWood Press 13-16, 1968

      29 차성연, "1930년대 농촌계몽소설에 나타난 농촌의 의미 - 이광수의 『흙』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57) : 97-121, 2011

      30 장규식, "1920년대 개조론의 확산과 기독교사회주의의 수용·정착" 역사문제연구소 13 (13): 111-136,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8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