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足紋의 진단적 가치에 대한 검토 = An Approach to the Diagnostic Values of the Sole Print Patter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580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足紋의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엄지발가락 부위(拇趾球部, hallucal area)의 피문의 양상은 남자에 있어 distal loop는 대조군에 비해 정박아군의 좌우측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특히 오른발의 tribial arch는 그 다음으로 많은 출현을 보였다. 여자는 대조군에 비해 tribial arch가 유의하게 높았었다.
      엄지발가락 부위(hallucal area)의 좌, 우측 발바닥의 皮紋型出現에 있어서 對稱的인 경향을 조사한 바 두 군 모두에서 거의 대칭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엄지발가락(拇趾 hallux)의 피문의 양상은 남자의 경우 대조군, 정박아군 모두에서 fibular loop가 가장 많은 출현을 보였으나, tribial loop는 정박아군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의 경우 fibular loop는 대조군에 비해 정박아군에서 낮게 나타나며 arch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번역하기

      足紋의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엄지발가락 부위(拇趾球部, hallucal area)의 피문의 양상은 남자에 있어 distal loop는 대조군에 비해 정박아군의 좌우측 모두에서 유의하...

      足紋의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엄지발가락 부위(拇趾球部, hallucal area)의 피문의 양상은 남자에 있어 distal loop는 대조군에 비해 정박아군의 좌우측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특히 오른발의 tribial arch는 그 다음으로 많은 출현을 보였다. 여자는 대조군에 비해 tribial arch가 유의하게 높았었다.
      엄지발가락 부위(hallucal area)의 좌, 우측 발바닥의 皮紋型出現에 있어서 對稱的인 경향을 조사한 바 두 군 모두에서 거의 대칭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엄지발가락(拇趾 hallux)의 피문의 양상은 남자의 경우 대조군, 정박아군 모두에서 fibular loop가 가장 많은 출현을 보였으나, tribial loop는 정박아군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의 경우 fibular loop는 대조군에 비해 정박아군에서 낮게 나타나며 arch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ies of dermatoglyphics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because of its significances of the diagnostic value to the congenital malformation and another disease.
      Although there were many dermatoglyphic studies about the palm and fingertip carries out, however the sole has been lesser studied than palm or fingertip.
      In this study authors aimed to observe and analyze hallucal area print patterns and hallux print patterns of 361, 153 normal male and female against 53, 51 male and female with mental retardation as a guidance of medical uses.
      The result obtained were follows:
      In hallucal are print patterns, it was discovered that distal loop was appeared notably high on the right and left sole in the mentally retarded male.
      Tibial arch was notably increased in the mentally retarded female, and in the other typ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hllux print patterns, tibial loop was appeared very high in the mentally retarded male, on the other hand, tibial loop was not appeared absolutely.
      In the female with mental retardation, fibular loop wa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 but arch was appeared high. From these significant data, we could be sured that the analysis of hallucal area and hallux print pattern can be applied to the practical uses of medical diagnosis.

      번역하기

      Studies of dermatoglyphics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because of its significances of the diagnostic value to the congenital malformation and another disease. Although there were many dermatoglyphic studies about the palm and fingertip carries out,...

      Studies of dermatoglyphics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because of its significances of the diagnostic value to the congenital malformation and another disease.
      Although there were many dermatoglyphic studies about the palm and fingertip carries out, however the sole has been lesser studied than palm or fingertip.
      In this study authors aimed to observe and analyze hallucal area print patterns and hallux print patterns of 361, 153 normal male and female against 53, 51 male and female with mental retardation as a guidance of medical uses.
      The result obtained were follows:
      In hallucal are print patterns, it was discovered that distal loop was appeared notably high on the right and left sole in the mentally retarded male.
      Tibial arch was notably increased in the mentally retarded female, and in the other typ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hllux print patterns, tibial loop was appeared very high in the mentally retarded male, on the other hand, tibial loop was not appeared absolutely.
      In the female with mental retardation, fibular loop wa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 but arch was appeared high. From these significant data, we could be sured that the analysis of hallucal area and hallux print pattern can be applied to the practical uses of medical diagnosi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