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others’ parental competence, mothers’ parental anxiety, child’s self-esteem, and child’s happiness on child’s social competence. For this,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62...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others’ parental competence, mothers’ parental anxiety, child’s self-esteem, and child’s happiness on child’s social competence. For this,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6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others’ parental competence, mothers’ parental anxiety, child’s self-esteem, and child’s happiness on child’s social competence. For this,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620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the 7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 2014. Cronbach’s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lso,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the structural model to examin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and the result showed outstanding suitability of the model. As result, mothers’ parental competence positively effected on the development of child’s social competence. Indirect effect of child’s self-esteem and child’s happiness as mediators also showed a weak positive impact. Additionally, mothers’ parental anxiety influenced child’s social competence negatively and with child’s self-esteem and child’s happiness as mediators, the effect was positive but negligible. Lastly, child’s self-esteem and child’s happiness wer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child’s social competence. Thus, mothers’ parental competence, child’s self-esteem, and child’s happiness can act as positive variables of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부모유능감, 부모불안감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육아정책연구의 한국아동패널 7차...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부모유능감, 부모불안감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육아정책연구의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한국아동패널에 참여한 1,620쌍의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값을 살폈다. 또한, 각 변인 간 직·간접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으로 검증하였는데 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부모유능감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강한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에서도 약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부모불안감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부정적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유아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을 매개로 하였을 때에는 미미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 행복감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어머니의 부모유능감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행복감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칠선, "행복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10 (10): 5-22, 2014
2 서미옥,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척도(K-SSRS: 교사평정용, 부모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23-242, 2004
3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2014" 육아정책연구소 2014
4 문혁준,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효능감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37 (37): 97-107, 1999
5 김송이, "자녀의 정서성과 남편의 부모역할 지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대한가정학회 45 (45): 1-11, 2007
6 이경민,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8 (8): 165-181, 2009
7 박정희, "유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기초연구 - 유아행복의 개념, 관련변인, 측정도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75-93, 2016
8 권기남, "유아의 행복감이 행동문제 및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257-270, 2010
9 김선희, "유아의 탄력성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91-209, 2005
10 배윤정, "유아의 연령, 성별 및 부모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 유능성"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 류칠선, "행복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10 (10): 5-22, 2014
2 서미옥,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척도(K-SSRS: 교사평정용, 부모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23-242, 2004
3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2014" 육아정책연구소 2014
4 문혁준,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효능감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37 (37): 97-107, 1999
5 김송이, "자녀의 정서성과 남편의 부모역할 지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대한가정학회 45 (45): 1-11, 2007
6 이경민,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8 (8): 165-181, 2009
7 박정희, "유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기초연구 - 유아행복의 개념, 관련변인, 측정도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75-93, 2016
8 권기남, "유아의 행복감이 행동문제 및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257-270, 2010
9 김선희, "유아의 탄력성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91-209, 2005
10 배윤정, "유아의 연령, 성별 및 부모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 유능성"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1 박지영, "유아의 성, 기질, 가정의 월수입,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사회적유능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59-382, 2010
12 허미경,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과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53-373, 2010
13 권정윤, "유아생활지도" 학지사 2013
14 육아정책연구소, "유아기 행복감 증진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4
15 박진아,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관계 관련 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5 (15): 43-56, 2011
16 최현미, "유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33-158, 2012
17 제희선,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도구 개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269-292, 2016
18 정옥분, "영아기 정서와 기질, 유아기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4세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질"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51-168, 2011
19 오혜진,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40 (40): 115-129, 2019
20 정태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양육죄책감과 양육행동의 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211-231, 2005
21 이지현,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2 박진영,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995-1007, 2014
23 남궁령, "어머니의 정서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심리적 건강성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49-74, 2015
24 주영란, "어머니의 양육특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5 임성실,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5 (15): 143-157, 2010
26 한아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7 이희연,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에 대한 유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육아지원학회 10 (10): 5-34, 2015
28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29 강인숙,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및 놀이신념과 유아리더십이 유아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33-252, 2012
30 우수경,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아의 성 및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63-283, 2013
31 황윤하,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부부의 인식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10 (10): 55-73, 2015
32 허 진, "어린이집 유아의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 사회적 유능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3 최석란, "어린이의 또래관계" 다음세대 2002
34 황현주, "아버지의 부모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 : 0~2세 영아의 아버지를 중심으로" 3 (3): 23-38, 2015
35 오미연,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 연구 :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5
36 권희경, "아버지 양육참여도, 어머니 양육행동 및 양육효능감,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79-98, 2009
37 이미애,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16 (16): 123-137, 2004
38 권연희,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39 김미영,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고찰" 4 (4): 15-29, 2001
40 김영선,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6 (36): 163-185, 2015
41 손승희, "아동의 또래유능성과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2 (42): 167-177, 2004
42 조부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일치유형 및 일치 여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비교"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93-119, 2009
43 장영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온정성과 교육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6 (36): 1-21, 2015
44 권인옥, "만 2세 영아의 아버지들의 놀이신념, 부모효능감, 그리고 영아놀이성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5 정갑순, "또래집단에서의 어린이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1
46 신지혜,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행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6
47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5
48 박찬옥, "기조강연: 유아의 행복에 기반한 유․보 통합 다지기. In 행복한 유아를 위한 유․보 통합 기반 다지기의 과제와 전망" 19-27, 2014
49 정진숙, "긍정심리동화를 활용한 유아행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50 Kline, R. B.,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학지사 2010
51 김민진, "관계지향 유아 행복교육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51-81, 2015
52 박형신,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유아 심리적 건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1-26, 2015
53 Bogenschneider, K., "child parent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among parents of Adolescents" 59 (59): 345-362, 1997
54 Crick, N. R., "The role of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hildren’s future social adjustment" 67 (67): 2317-2327, 1996
55 Harter, S.,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55 (55): 1969-1982, 1984
56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2 (52): 1173-1182, 1986
57 Bollen, K. A.,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Wiley 1989
58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1995
59 Gresham, F. M., "Social skills rating system: Manual" American Guidance Service 1990
60 Dodge, K., "Situational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53 (53): 344-353, 1985
61 Coleman, P. K.,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18 (18): 47-85, 1997
62 Higgins, E. T.,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94 (94): 319-340, 1987
63 Radke-Yarrow, M.,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in children of multiple-risk families" 5 (5): 581-592, 1993
64 Jones, T. L., "Potential roles of parental self-efficacy in parent and child adjustment: A review" 25 (25): 341-363, 2005
65 Nelson, J., "Positive discipline: The first three years" Harmony 2007
66 Johnson, C., "Peer acceptance and social adjustment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27 (27): 207-212, 2000
67 Coleman, P. K.,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correlates" 47 (47): 13-24, 2000
68 Coleman, P. K., "Maternal self-efficacy beliefs, competence in parenting, and toddlers’ behavior and developmental status" 24 (24): 126-148, 2003
69 Jackson, A. P., "Maternal self-efficacy and children’s influence on stress and parenting among single black mothers in poverty" 21 (21): 3-16, 2000
70 Rubenstein, C. M.,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Wiley Interscience 1982
71 Ladd, G. W., "Learning about relationships: Understanding relationship process series" Sage Publications 1993
72 Diener, E., "Happiness accounts for policy use, Is happiness measurable and what do those measures mean for policy?" 2007
73 Harter, S., "Handbook of self and of self and identity" Guilford Press 2003
74 Rubin, K. H.,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Wiley 2006
75 Kostelnik, M. J.,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Wadsworth 2012
76 LeBuffe, P.,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user’s guide" Kaplan 1999
77 Gibaud-Wallston, J.,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1978
78 Dumas, J. E., "Coercion and punishment in long-term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79 Elias, M. J., "Building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Guidelines from a school based program" Jossey-Bass Publishers 1992
80 Crockenberg, S. B., "Antecedent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 irritability in the first 3 months of life" 25 (25): 2-145, 2002
81 배병렬, "Amos 구조방정식 모델링" 도서출판 청어람 2011
82 Lyubomirsky, S.,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46 (46): 137-155, 1999
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 다문화교수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간의 구조관계 분석
영아들이 경험하는 어린이집의 공간성: Merleau-Ponty의 공간론을 중심으로
공공 문화시설 및 여가시설 이용 편리성, 양육 스트레스, 유아 미디어 이용시간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5 | 2.35 | 2.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