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아들이 경험하는 어린이집의 공간성: Merleau-Ponty의 공간론을 중심으로 = The spatiality of daycare center experienced by infants: focusing on Merleau-Ponty’s space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64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daycare center's space which infants experience through Merleau-Ponty's space theory. For this, 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for 8 months in infant classes from two daycare centers (age 1 and 2). Data was collected by observation, interview and analysis of documents and wa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van Manen's phenomenological study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infants perceive parting and express frustration with their body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at the daycare center knows strong meaning of space in which parting and frustration co-exist. The infants are relaxed by dropping anchors in this space through unity of their body space with teachers. Second, the infants expand spatial experience by moving their body and herewith the expansion of relationship is accompanied. Third, the meaning they give to the daycare center dynamically changes as per the situation which time brings since space can only be experienced within time. Lastly, As these experiences accumulate, the daycare center becomes a place where their history piles up, residing point in other words, different from the other spaces.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revealing infants as active subjects of interpretation and giving implication in their given situ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daycare center's space which infants experience through Merleau-Ponty's space theory. For this, 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for 8 months in infant classes from two daycare centers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daycare center's space which infants experience through Merleau-Ponty's space theory. For this, 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for 8 months in infant classes from two daycare centers (age 1 and 2). Data was collected by observation, interview and analysis of documents and wa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van Manen's phenomenological study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infants perceive parting and express frustration with their body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at the daycare center knows strong meaning of space in which parting and frustration co-exist. The infants are relaxed by dropping anchors in this space through unity of their body space with teachers. Second, the infants expand spatial experience by moving their body and herewith the expansion of relationship is accompanied. Third, the meaning they give to the daycare center dynamically changes as per the situation which time brings since space can only be experienced within time. Lastly, As these experiences accumulate, the daycare center becomes a place where their history piles up, residing point in other words, different from the other spaces.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revealing infants as active subjects of interpretation and giving implication in their given situ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가 체험하는 어린이집 공간의 의미를 Merleau-Ponty의 공간론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두 곳의 영아반(만 1,2세)을 8개월간 참여 관찰하였다. 자료 수집은 관찰과 면담, 그리고 문서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van Manen의 현상학적 연구의 해석 절차에 따라 해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학기 초 영아들은 몸으로 이별을 지각하고 절망을 표현하기에 이별과 절망이 교직되는 공간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영아들은 이런 공간에 교사와 자신의 몸 공간 통일을 통해 닻을 내리면서 안정을 얻는다. 둘째, 이들은 몸을 움직임으로써 공간 경험을 확장하고 여기에 관계의 확장이 동반된다. 셋째, 공간은 시간 속에서만 체험이 가능하기에 시간이 갖고 오는 상황에 따라 이들이 어린이집에 부여하는 의미가 역동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모든 체험이 쌓이면서 어린이집은 여타의 공간과 다른 그들만의 역사가 쌓인 곳, 곧 거주하는 장소가 된다. 이처럼 영아들도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나름대로 의미화 작업을 하는 적극적인 해석의 주체자이며 능동적인 의미부여자임을 드러내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가 체험하는 어린이집 공간의 의미를 Merleau-Ponty의 공간론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두 곳의 영아반(만 1,2세)을 8개월간 참여 관찰하였다. 자료 수...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가 체험하는 어린이집 공간의 의미를 Merleau-Ponty의 공간론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두 곳의 영아반(만 1,2세)을 8개월간 참여 관찰하였다. 자료 수집은 관찰과 면담, 그리고 문서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van Manen의 현상학적 연구의 해석 절차에 따라 해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학기 초 영아들은 몸으로 이별을 지각하고 절망을 표현하기에 이별과 절망이 교직되는 공간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영아들은 이런 공간에 교사와 자신의 몸 공간 통일을 통해 닻을 내리면서 안정을 얻는다. 둘째, 이들은 몸을 움직임으로써 공간 경험을 확장하고 여기에 관계의 확장이 동반된다. 셋째, 공간은 시간 속에서만 체험이 가능하기에 시간이 갖고 오는 상황에 따라 이들이 어린이집에 부여하는 의미가 역동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모든 체험이 쌓이면서 어린이집은 여타의 공간과 다른 그들만의 역사가 쌓인 곳, 곧 거주하는 장소가 된다. 이처럼 영아들도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나름대로 의미화 작업을 하는 적극적인 해석의 주체자이며 능동적인 의미부여자임을 드러내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호재,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인문학연구원 (64) : 131-162, 2010

      2 유혜령,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 이해의 문제" 6 (6): 96-110, 1997

      3 김영은, "통합보육시설의 시설 및 설비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5 (15): 136-143, 2006

      4 van Manen, M.,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 방법론" 동녘 1994

      5 조용환,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한국교육인류학회 7 (7): 55-75, 2004

      6 이광옥, "직장어린이집의 공간구성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4 (14): 109-117, 2005

      7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8 이규목, "인간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방법 연구" 4 (4): 35-44, 1988

      9 Bollnow, O. F.,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10 유혜령, "유아의 역할놀이 경험 양식과 그 교육적 의미 : 현상학적 이해" 21 (21): 55-80, 2001

      1 신호재,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깊이’지각 -후설의 ‘촉발적 부조’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여로’" 인문학연구원 (64) : 131-162, 2010

      2 유혜령, "현대 해석학의 관점에서 본 아동 이해의 문제" 6 (6): 96-110, 1997

      3 김영은, "통합보육시설의 시설 및 설비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5 (15): 136-143, 2006

      4 van Manen, M.,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 방법론" 동녘 1994

      5 조용환,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한국교육인류학회 7 (7): 55-75, 2004

      6 이광옥, "직장어린이집의 공간구성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4 (14): 109-117, 2005

      7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8 이규목, "인간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방법 연구" 4 (4): 35-44, 1988

      9 Bollnow, O. F.,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10 유혜령, "유아의 역할놀이 경험 양식과 그 교육적 의미 : 현상학적 이해" 21 (21): 55-80, 2001

      11 권선영, "유아와 교사가 경험하는 실존적 공간으로서 유치원의 장소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5-45, 2018

      12 이효원, "유아들이 경험하는 바깥놀이터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73-400, 2016

      13 임부연, "유아가 경험하는 교실 공간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48-272, 2012

      14 최안나, "영아보육시설의 실내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8 (8): 143-168, 2008

      15 이순행, "어린이집에서 영아가 경험하는 돌봄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애착현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6 노희연, "어린이집 영아가 경험하는 갈등상황과 갈등해결 전략에 대한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239-264, 2016

      17 和田修二, "어린이의 인간학" 아름다운 세상 1997

      18 Suransky, V. P., "아동기의 실종: 탁아, 유아교육의 실태와 대안" 교보문고 1992

      19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에 대한 강해" 이학사 2004

      20 류창화,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에 의한 경험 공간의 표현특성"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21 원미경, "메를로-퐁티의 공간론을 통해 본 초등학교 공간의 교육현상학적 의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22 류의근, "메를로-퐁티의 공간 분석과 그 의의" 10 : 182-202, 1996

      23 정기태, "메를로-퐁티 현상학으로 본 부석사 공간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54-162, 2012

      24 Bollnow, O. F., "교육의 인간학" 문음사 2005

      25 Hatch, J. A.,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자 되기" 학지사 2008

      26 최영식, "공공기관 직장보육시설 실내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8 (8): 89-99, 2010

      27 김영순, "공간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재구성과 공간 스토리텔링-검단과 춘천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9) : 35-59, 2010

      28 Carter, C., "Pirate in the pump: Children’s views of objects as imagery friends at the start of school" 46 (46): 335-344,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