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복지법령상 특별행정심판제도 운영의 의의와 함의 = Meaning and Implication of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in the level of Laws of Social Welfa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dvent of rule of law, the protection of right of people was systemized and realized as various protection of rights systems. In particular, it was true that the regulation and the remedy against the act of administrative branch are in the process after the state activism beat the principle of laissez -faire in Modern Civil State. Among these remedies, it is important to adopt and manage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due to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regulate the improper act by administrative branch unlike administrative litigation by independent courts. Furthermore, because of the advent of a law-abiding country(Rechtstaat), new fundamental right made appearance as the form of Social Constitutional Rights and this situation places a significant emphasis on national effort in order to protect this kind of fundamental right effectivel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even exceptionally) adopt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for the sake of protecting the social constitutional right in effect. in that there is broad discretion of administrative branch in dealing with this kind of fundamental right.
      However, it is difficult to administrate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for the sake of protecting the Social Constitutional Right in effect on the ground of the fact that there are confusion of legal jargon in concerned stipulations and ambiguous regulations and so forth. There comes a great deal of opinions to solve such problems, those opinion put an emphasis on the improvement of related systems and interpretation of concerned stipulations.
      By the way we need to consider what is desirable improvement plan of current systems for the purpose of substantial protection of Social Constitutional Right In particular, si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ystems and institutions in America, which makes various efforts to secure the social consitutional right, we are able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we adopt the federal administrative law and hearing procedure. Because we particularly guarantee a person’s living according to respective sphere such as social insurance, public assistance and social service, it is desirable to variate the methods of protection of social constitutional right. Specifically speaking we need to adopt the administrative law judge in area of social insurance and the hearing procedure in area of public aid as well as public service.
      번역하기

      With the advent of rule of law, the protection of right of people was systemized and realized as various protection of rights systems. In particular, it was true that the regulation and the remedy against the act of administrative branch are in the pr...

      With the advent of rule of law, the protection of right of people was systemized and realized as various protection of rights systems. In particular, it was true that the regulation and the remedy against the act of administrative branch are in the process after the state activism beat the principle of laissez -faire in Modern Civil State. Among these remedies, it is important to adopt and manage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due to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regulate the improper act by administrative branch unlike administrative litigation by independent courts. Furthermore, because of the advent of a law-abiding country(Rechtstaat), new fundamental right made appearance as the form of Social Constitutional Rights and this situation places a significant emphasis on national effort in order to protect this kind of fundamental right effectivel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even exceptionally) adopt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for the sake of protecting the social constitutional right in effect. in that there is broad discretion of administrative branch in dealing with this kind of fundamental right.
      However, it is difficult to administrate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for the sake of protecting the Social Constitutional Right in effect on the ground of the fact that there are confusion of legal jargon in concerned stipulations and ambiguous regulations and so forth. There comes a great deal of opinions to solve such problems, those opinion put an emphasis on the improvement of related systems and interpretation of concerned stipulations.
      By the way we need to consider what is desirable improvement plan of current systems for the purpose of substantial protection of Social Constitutional Right In particular, si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ystems and institutions in America, which makes various efforts to secure the social consitutional right, we are able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we adopt the federal administrative law and hearing procedure. Because we particularly guarantee a person’s living according to respective sphere such as social insurance, public assistance and social service, it is desirable to variate the methods of protection of social constitutional right. Specifically speaking we need to adopt the administrative law judge in area of social insurance and the hearing procedure in area of public aid as well as public serv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법치주의 등장으로 인하여 국민의 권리에 대한 보장이 정식화되고 이는 각종권리구제제도의 등장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근대시민 국가에서의 자유방임주의 국가를 극복한 적극국가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행정청의 행위에 대한 규제와이에 대한 구제가 더욱 중요해지고 실제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행정청의 행위에 대한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으로서 특히 행정 내부 통제를 통하여 부당한 행위까지도 통제를 가할 수 있는 행정심판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당해 사회적 법치국가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국민의 사회적 기본권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이의 실효적인 보장을 위한 국가적 노력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국가의 급부를 요구하고 재량의 범위가 상당하다는 점에서 사회적 기본권에 대한 실제적인 수준의 보장을 위하여예외적으로 특별행정심판제도가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법률용어의 혼란, 법령 규정의 모호한 규정으로 인하여 당해 제도의 운영에 어려움이 상당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각종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는 데, 이는 물론제도 개선과 법령 해석의 방향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국회의 입법형성권이 상당하다는 점에서 사회적 기본권의 실효적인 보장을 위한 특별행정심판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 제도의 발전적인 개선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회적 기본권에 대한 다각적인 보장을 시도하고 있는 미국의 경험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미국의 사회보장제도 상 인정되고 있는 연방행정법 판사와 청문절차를 우리 법제도에의 도입가능성과 타당성에 대하여 고민을 할 필요가 상당하다. 특히 우리 사회복지법제의 경우 사회보험, 공공부조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분야별 보장 방향을 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입법 취지에 부합할 수 있도록 사회보험의 경우에는 연방 행정법 판사제도를, 공공부조와 사회복지 서비스 분야의 경우에는 청문 절차를 도입하는 것에대한 필요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법치주의 등장으로 인하여 국민의 권리에 대한 보장이 정식화되고 이는 각종권리구제제도의 등장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근대시민 국가에서의 자유방임주의 국가를 극복한 적극국가의...

      법치주의 등장으로 인하여 국민의 권리에 대한 보장이 정식화되고 이는 각종권리구제제도의 등장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근대시민 국가에서의 자유방임주의 국가를 극복한 적극국가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행정청의 행위에 대한 규제와이에 대한 구제가 더욱 중요해지고 실제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이 행정청의 행위에 대한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으로서 특히 행정 내부 통제를 통하여 부당한 행위까지도 통제를 가할 수 있는 행정심판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당해 사회적 법치국가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국민의 사회적 기본권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이의 실효적인 보장을 위한 국가적 노력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국가의 급부를 요구하고 재량의 범위가 상당하다는 점에서 사회적 기본권에 대한 실제적인 수준의 보장을 위하여예외적으로 특별행정심판제도가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법률용어의 혼란, 법령 규정의 모호한 규정으로 인하여 당해 제도의 운영에 어려움이 상당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각종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는 데, 이는 물론제도 개선과 법령 해석의 방향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지만 국회의 입법형성권이 상당하다는 점에서 사회적 기본권의 실효적인 보장을 위한 특별행정심판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 제도의 발전적인 개선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회적 기본권에 대한 다각적인 보장을 시도하고 있는 미국의 경험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미국의 사회보장제도 상 인정되고 있는 연방행정법 판사와 청문절차를 우리 법제도에의 도입가능성과 타당성에 대하여 고민을 할 필요가 상당하다. 특히 우리 사회복지법제의 경우 사회보험, 공공부조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분야별 보장 방향을 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입법 취지에 부합할 수 있도록 사회보험의 경우에는 연방 행정법 판사제도를, 공공부조와 사회복지 서비스 분야의 경우에는 청문 절차를 도입하는 것에대한 필요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6판" 박영사 2011

      2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1

      3 여경수, "헌법상 행정심판의 기능과 다른 권리구제수단과의 비교" 23 (23): 2012

      4 이준일,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세창출판사 2010

      5 양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2

      6 유진식, "헌법 제107조 제3항이 규정하고 있는 ‘준사법절차’의 의미 - 헌재 2000.6.1, 98헌바8, 헌재2001.6.28. 2000헌바30 결정을 소재로 하여 -"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393-422, 2012

      7 김광수, "행정심판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43) : 111-137, 2015

      8 김정순, "행정심판제도의 발전방안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2

      9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 "행정심판의 이론과 실제" 법제처 2002

      10 김남철, "행정심판과 행정절차제도와의 조화방안 - 특히 이의신청절차와 행정심판과의 조화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53 (53): 105-134, 2012

      1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6판" 박영사 2011

      2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1

      3 여경수, "헌법상 행정심판의 기능과 다른 권리구제수단과의 비교" 23 (23): 2012

      4 이준일,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세창출판사 2010

      5 양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2

      6 유진식, "헌법 제107조 제3항이 규정하고 있는 ‘준사법절차’의 의미 - 헌재 2000.6.1, 98헌바8, 헌재2001.6.28. 2000헌바30 결정을 소재로 하여 -"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393-422, 2012

      7 김광수, "행정심판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43) : 111-137, 2015

      8 김정순, "행정심판제도의 발전방안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2

      9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 "행정심판의 이론과 실제" 법제처 2002

      10 김남철, "행정심판과 행정절차제도와의 조화방안 - 특히 이의신청절차와 행정심판과의 조화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53 (53): 105-134, 2012

      11 김현준, "행정심판 체계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권익위원회 2013

      12 홍정선, "행정법특강" 박영사 2016

      13 박균성, "행정법론(상) 제10판" 박영사 2011

      14 윤세창, "행정법(상)" 박영사 1976

      15 이철용, "행정법" 고시계사 2013

      16 최균,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구조와 특징" 1991

      17 이상오, "평생학습사회론 : 교육복지의 차원" 교육과학사 2000

      18 채우석, "특별행정심판제도의 전문성·특수성" 한국토지공법학회 58 : 325-346, 2012

      19 신봉기, "특별행정심판의 개념과 허용요건" 법학연구원 (32) : 475-508, 2010

      20 신봉기, "특별행정심판위원회 통합방안" 한국공법학회 38 (38): 1-43, 2010

      21 홍완식, "통합 사회복지법제론" 공동체 2014

      22 고제이, "중앙-지방 사회복지 재정책임 정립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3 김철용, "주해 행정소송법" 박영사 2004

      24 한승훈, "우리나라 사회보험행정상 심급적 행정시판을 위한 법제적 고찰" 20 (20): 2004

      25 대화문화 아카데미, "새로운 헌법 무엇을 담아야 하나" 대화문화아카데미 [서울] 2011

      26 최철호, "사회복지행정법의 행정처분의 기준과 유형의 법적 특징" 7 (7): 2010

      27 나채준, "사회복지분야의 특별행정심판제도 정비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3

      28 홍봉수, "사회복지법제론" 공동체 2015

      29 남기민, "사회복지법제론" 공동체 2014

      30 박종팔, "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14

      31 손윤석, "사회보험 관련법상 특별행정심판제도에 대한 고찰 - 일반행정심판제도와의 통합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53 (53): 89-114, 2012

      32 전광석, "사회변화와 헌법과제로서의 복지국가의 실현" 한국공법학회 31 (31): 3-3, 2002

      33 이기범, "복지사회와 교육: 자유, 평등, 공동체를 위한 교육복지" 34 (34): 1996

      34 헤르만 헬러, "법치국가의 원리" 법원사 2001

      35 이부하, "법적 안정성의 의미에서 명확성의 원칙"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 (20): 1-21, 2014

      36 이상도, "법률영어사전" 청림출판 2002

      37 Peter L. Strauss, "미국행정법 개론" 한국법제연구원 2010

      38 윤세창, "미국행정법"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1

      39 김양미, "미국 사회복지정책의 경과와 특징"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51) : 125-150, 2012

      40 심익섭, "독일연방공화국 60년-1949~2009 분단국가에서 민주통일국가로-" 오름 2009

      41 김용훈, "교육 복지의 구현을 위한 정책적 함의 ― 노르웨이의 교육 복지 관련 법제도적 특징을 참고하여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1 (21): 215-261, 2014

      42 정형근, "개정 행정심판법의 주요쟁점에 관한 검토"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7) : 127-151, 2010

      43 김용섭, "개별법상 이의신청제도의 현황분석과 입법적 개선과제 - 이의신청 등과 행정심판의 관계정립을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42) : 79-105, 2015

      44 김용섭, "行政訴訟 前段階의 權利救濟方法 및 節次" 한국법학원 (105) : 189-219, 2008

      45 최영규, "行政審判의 기능과 審判機關의 구성 - ‘行政審判의 司法化’에 대한 異議 -"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42) : 49-77, 2015

      46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Your Right to an Administrative Law Judge Hearing and Appeals Council Review of Your Social Security Case" 2015

      47 Donna Price Cofer, "The Question of independence continues : Administrative law judges within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69 (69): 1986

      48 Jason D. Vendel, "General Bias and Administrative Law Judges: Is There a Remedy for Social Security Disability Claimants" 90 (90): 2005

      49 Office of the Inspector General, "Congressional Response Report –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s Review of Administrative Law Judge’s Decisions" 2012

      50 한만길, "21세기 교육복지 발전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AW JOURNAL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0.912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