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자상거래법에 따른 철회 효과로서의 계약의 청산 = Effects of consumer’s right of withdraw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10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EU 소비자권리지침 및 독일민법을 착안점으로 하여 전자상거래법상의 철회권(소비자철회권)의 행사효과인 계약의 청산에 관한 몇 가지 문제들을 고찰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행법상 특약이 없는 한 소비자의 물품반환의무는 추심채무이지만, 입법론으로는 송부채무로 함이 바람직하다. (2) 소비자의 물품반환기간을 법률에 명시할필요성은 크지 않다고 하겠으나, 그 명시로 소비자의 이행지체를 둘러싼 법률문제를 현재보다 용이하게 해결할 수는 있다. (3) 사업자의 대금환급에 있어 소비자보호를 위하여 ① 사업자와 소비자가 명시적으로 달리 정하였고, ② 환급으로 인하여 소비자에게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을 것을 전제로 하는 경우에 한하여 다른 결제수단에 의한 환급을 긍정할 것이다. (4) 사업자가 반송위험을 부담하는 것으로하면, 소비자의 물품반송증명이 있는 때에는 반송 도중 물품이 분실되더라도 사업자가 대금환급을 거절하지 못한다는 점이 반송위험의 사업자 부담과 결부된 반송증명의 유용성이라고 할 수 있다. (5) 용역계약 또는 디지털콘텐츠계약의 철회를규정한 개정법 제7조 제2항 제5호와 제18조 제2항 제2호는 모순적이어서 수범자의 이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비자보호와 관련하여 중대한 흠결을 가지고 있으므로 재개정을 요한다. (6) 철회 후 소비자가 사업자에 대하여 지게 되는 책임의 성질은 현재 부당이득반환 또는 공급비용에 대한 손해배상이라고 할 수 있으나, 법률개정을 통해 일정한 요건과 결부된 가액배상체계로 전환하여야 한다. (7) 본 연구는 비록 전자상거래법에 따른 철회의 효과에 관하여만 검토하였으나, 그결과는 방문판매에 대하여도 거의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EU 소비자권리지침 및 독일민법을 착안점으로 하여 전자상거래법상의 철회권(소비자철회권)의 행사효과인 계약의 청산에 관한 몇 가지 문제들을 고찰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

      본 연구는 EU 소비자권리지침 및 독일민법을 착안점으로 하여 전자상거래법상의 철회권(소비자철회권)의 행사효과인 계약의 청산에 관한 몇 가지 문제들을 고찰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행법상 특약이 없는 한 소비자의 물품반환의무는 추심채무이지만, 입법론으로는 송부채무로 함이 바람직하다. (2) 소비자의 물품반환기간을 법률에 명시할필요성은 크지 않다고 하겠으나, 그 명시로 소비자의 이행지체를 둘러싼 법률문제를 현재보다 용이하게 해결할 수는 있다. (3) 사업자의 대금환급에 있어 소비자보호를 위하여 ① 사업자와 소비자가 명시적으로 달리 정하였고, ② 환급으로 인하여 소비자에게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을 것을 전제로 하는 경우에 한하여 다른 결제수단에 의한 환급을 긍정할 것이다. (4) 사업자가 반송위험을 부담하는 것으로하면, 소비자의 물품반송증명이 있는 때에는 반송 도중 물품이 분실되더라도 사업자가 대금환급을 거절하지 못한다는 점이 반송위험의 사업자 부담과 결부된 반송증명의 유용성이라고 할 수 있다. (5) 용역계약 또는 디지털콘텐츠계약의 철회를규정한 개정법 제7조 제2항 제5호와 제18조 제2항 제2호는 모순적이어서 수범자의 이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비자보호와 관련하여 중대한 흠결을 가지고 있으므로 재개정을 요한다. (6) 철회 후 소비자가 사업자에 대하여 지게 되는 책임의 성질은 현재 부당이득반환 또는 공급비용에 대한 손해배상이라고 할 수 있으나, 법률개정을 통해 일정한 요건과 결부된 가액배상체계로 전환하여야 한다. (7) 본 연구는 비록 전자상거래법에 따른 철회의 효과에 관하여만 검토하였으나, 그결과는 방문판매에 대하여도 거의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legal consequences of consumer’s right of withdrawal. The effects of withdrawal of distance contracts are to be controlled autonomously. Recourse to the right of withdrawal shall be excluded. The consumer has the deadline to withdraw the contract, the consumers and traders are no longer bound to the declarations of intent aimed at the conclusion of the contract. The effective exercise of a consumer protection right of withdrawal results in a refund obligation. The primary obligations as the right to purchase price payment lapse. The resulting refund obligation established secondary obligations of the parties. Because they are obliged to return the received benefits. The consumer is particularly committed to returning the item. A dispatch is not necessary according to when the trader has offered to collect the goods. The trader may withhold the reimbursement until he has received the returned goods. This does not apply when the trader has offered to collect the goods. Where this is not possible, compensation must be paid to the extent that the liability for compensation is not excluded. The trader shall bear the risk of accidental loss of the returned goods when returning the goods as a result of the withdrawa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legal consequences of consumer’s right of withdrawal. The effects of withdrawal of distance contracts are to be controlled autonomously. Recourse to the right of withdrawal shall be excluded. The consumer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legal consequences of consumer’s right of withdrawal. The effects of withdrawal of distance contracts are to be controlled autonomously. Recourse to the right of withdrawal shall be excluded. The consumer has the deadline to withdraw the contract, the consumers and traders are no longer bound to the declarations of intent aimed at the conclusion of the contract. The effective exercise of a consumer protection right of withdrawal results in a refund obligation. The primary obligations as the right to purchase price payment lapse. The resulting refund obligation established secondary obligations of the parties. Because they are obliged to return the received benefits. The consumer is particularly committed to returning the item. A dispatch is not necessary according to when the trader has offered to collect the goods. The trader may withhold the reimbursement until he has received the returned goods. This does not apply when the trader has offered to collect the goods. Where this is not possible, compensation must be paid to the extent that the liability for compensation is not excluded. The trader shall bear the risk of accidental loss of the returned goods when returning the goods as a result of the withdraw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우, "최근 유럽민사법의 발전동향 - 공통참조기준초안과 소비자권리지침초안을 계기로 하여 -" 법학연구소 50 (50): 345-375, 2009

      2 오병철, "전자상거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청약철회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

      3 김중길, "유럽연합(EU) 소비자권리지침의 핵심적 규정내용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22 (22): 43-72, 2014

      4 고형석, "유럽연합 소비자권리지침상 청약철회권에 관한 연구 -우리 법과의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9 (29): 263-300, 2012

      5 김진우, "소비자철회권의 행사효과에 관한 몇 가지 쟁점: 전자상거래법 및 방문판매법을 중심으로" 유통법학회 3 (3): 2016

      6 김진우, "소비자철회권의 정당화사유 -방문판매와 통신판매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40) : 141-157, 2011

      7 김진우, "소비자철회권의 개념 및 요건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한국소비자원 47 (47): 191-212, 2016

      8 김진우, "소비자철회권 배제사유에 관한 개정론 - 전자상거래법 및 방문판매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0 (40): 57-76, 2016

      9 김진우, "소비자권리지침의 주요개념 및 적용범위에 관한 고찰- 우리 소비자계약법의 개정방향을 덧붙여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3 (23): 105-144, 2015

      10 고형석, "소비자계약에 있어서 청약철회권의 적정화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38) : 71-97, 2010

      1 김진우, "최근 유럽민사법의 발전동향 - 공통참조기준초안과 소비자권리지침초안을 계기로 하여 -" 법학연구소 50 (50): 345-375, 2009

      2 오병철, "전자상거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청약철회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

      3 김중길, "유럽연합(EU) 소비자권리지침의 핵심적 규정내용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22 (22): 43-72, 2014

      4 고형석, "유럽연합 소비자권리지침상 청약철회권에 관한 연구 -우리 법과의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9 (29): 263-300, 2012

      5 김진우, "소비자철회권의 행사효과에 관한 몇 가지 쟁점: 전자상거래법 및 방문판매법을 중심으로" 유통법학회 3 (3): 2016

      6 김진우, "소비자철회권의 정당화사유 -방문판매와 통신판매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40) : 141-157, 2011

      7 김진우, "소비자철회권의 개념 및 요건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한국소비자원 47 (47): 191-212, 2016

      8 김진우, "소비자철회권 배제사유에 관한 개정론 - 전자상거래법 및 방문판매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0 (40): 57-76, 2016

      9 김진우, "소비자권리지침의 주요개념 및 적용범위에 관한 고찰- 우리 소비자계약법의 개정방향을 덧붙여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3 (23): 105-144, 2015

      10 고형석, "소비자계약에 있어서 청약철회권의 적정화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38) : 71-97, 2010

      11 남효순, "민교수 정년기념논문집" 법문사 2006

      12 구병문, "디지털콘텐츠 이용자의 청약철회와 그 제한규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온디콘법 제16조의2 및 제16조의4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0 (10): 425-447, 2009

      13 구병문, "디지털콘텐츠 이용계약의 법적 성질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43 (43): 105-149, 2008

      14 Stürner, Michael, "Rechtsfolgen des Widerrufs bei Verbraucherverträgen" 374-, 2016

      15 "Münchener Kommentar zum BGB" C.H. Beck 2016

      16 Jauernig, "Kommentar zum BGB" C.H. Beck 2015

      17 김진우, "EU 소비자권리지침에서의 소비자의 권리와 사업자의 의무 - 우리 소비자계약법의 개정방향을 모색하며 -" 법학연구소 9 (9): 631-663, 2015

      18 "Directive 2011/83/EU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5 October 2011 on consumer rights, amending Council Directive 93/13/EEC and Directive 1999/4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and repealing Council Directive 85/577/EEC and Directive 97/7/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Text with EEA relevance"

      19 Leier, Barbara, "Die Rückabwicklung des widerrufenen Vertrags: Neuerungen durch das Gesetz zur Umsetzung der Verbraucherrechterichtlinie" 457-, 2013

      20 Unger, Oliver, "Die Richtlinie über die Rechte der Verbraucher: Eine systematische Einführung" 270-, 2012

      21 "Beck'scher Online-Kommentar BGB" C.H. Beck 2015

      22 Schulze, "BGB" Nomos 2014

      23 Palandt, "BGB" C.H. Beck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AW JOURNAL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0.912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