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주용, "「이천지역 제4기 지질 및 고인돌조사, 이천지역 고인돌 연구" 세종대학교 박물관・이천시 2000
2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1974
3 한규량, "한국 선돌의 기능 변천에 대한 연구" 28 : 1984
4 이융조, "한국 고인돌의 다른 유형에 관한 연구" 63 : 1989
5 조영래, "청송 향토사 연구논문집" 1 : 2021
6 성림문화재연구원, "청송 성덕 다목적댐 건설사업 부지내(성재리 추정 지석묘군Ⅱ) 유적문화재 발굴(시굴)조사 중간 결과보고서" 2006
7 성림문화재연구원, "청송 성덕 다목적댐 건설사업 부지내 유적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부분 완료 보고서" 2007
8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청송 돌곡들지구 밭 기반 정비공사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3
9 제주시, "제주시 지석묘" 2015
10 이융조, "보령지역의 고인돌 문화 연구(Ⅱ)" 2 : 1991
1 김주용, "「이천지역 제4기 지질 및 고인돌조사, 이천지역 고인돌 연구" 세종대학교 박물관・이천시 2000
2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1974
3 한규량, "한국 선돌의 기능 변천에 대한 연구" 28 : 1984
4 이융조, "한국 고인돌의 다른 유형에 관한 연구" 63 : 1989
5 조영래, "청송 향토사 연구논문집" 1 : 2021
6 성림문화재연구원, "청송 성덕 다목적댐 건설사업 부지내(성재리 추정 지석묘군Ⅱ) 유적문화재 발굴(시굴)조사 중간 결과보고서" 2006
7 성림문화재연구원, "청송 성덕 다목적댐 건설사업 부지내 유적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부분 완료 보고서" 2007
8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청송 돌곡들지구 밭 기반 정비공사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3
9 제주시, "제주시 지석묘" 2015
10 이융조, "보령지역의 고인돌 문화 연구(Ⅱ)" 2 : 1991
11 김권구, "다. 경상북도, 한국 지석묘(고인돌) 유적 종합 조사 연구" 1999
12 하문식,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 연구" 주류성 2021
13 하문식, "고조선 사람들이 잠든 무덤" 주류성 2016
14 하문식, "고인돌의 덮개돌 운반에 대한 연구" 34 : 2001
15 조미애, "경북지역 청동기시대 무덤" 2016
16 전영래, "高敞・雅山地區 支石墓 發掘報告書" 전주시립박물관 1984
17 이영문, "韓國支石墓社會硏究" 학연문화사 2002
18 김재원, "韓國支石墓硏究" 국립박물관 1967
19 대경문화재연구원, "靑松 眞安里 遺蹟" 2008
20 대동문화재연구원, "靑松 下宜里 703 遺蹟" 2009
21 이융조, "牛山里 곡천 고인돌, 住岩댐 水沒地域 文化遺蹟 發掘調査 報告書 Ⅱ" 1988
22 청송군, "文化遺蹟分布地圖-靑松郡" 2006
23 하문식, "古朝鮮 地域의 고인돌 硏究" 백산자료원 1999
24 최삼용, "古小說에 나타난 星宿의 性格 考察" 1988
25 Daniel, G., "Megalithic Monuments" 243 (243): 1980
26 Zingg, T. H., "Beitrage zur schotter analyse Bd. 15" Schweizer Mineralog U. Petrog Mitt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