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송지역의 청동기시대-고인돌 유적을 중심으로 = Bronze Age Culture in Cheongsong Area: Focusing on Dolmen Si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3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several descriptions, focusing on dolmens and layers containing artifact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ssemblages of the Bronze Age in the Cheongsong area.
      There were 15 dolmen sites surveyed in the Cheongsong area and 25 were distributed. Most of these dolmens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foot of a mountain, making them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areas, which are distributed in flat or hilly areas.
      The materials used for the cap-stones include granitic gneiss, which can be easily obtained from around the sites, and also include schist, pegmatite and limestone. The labor involved in quarrying and transport seems to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in selecting this rock quality. Most of the cap-stones are 151 to 200 cm long, and there are two that are over 400 cm long. Looking at the square diagram, which is Zingg T.H.'s classification standard, there are many blade-shape and rod-shape. This is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cap-stone is thick compared to its length.
      Looking at the types of dolmens, most of them are pit-type, but there are also checkerboard-type (No. 2 of Gamyeon-ri and No. 1 of Hongwon-ri) and enclosed-type(Hasok-ri).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dolmen, it seems that the cap-stone was kept horizontal from the beginning to prevent it from falling over. The Hasok-ri dolmen had six stone props under the cap-stone to maintain the level.
      After constructing the dolmen, later people held ancestral rites as a concept of worship in connection with folk religion. The representative dolmen related to ancestral rites is No. 1 of Hongwon-ri . Dolmen No. 3 of Hongwon-ri is said to have a belief that the reporter hopes to give birth to a son.
      Layers containing artifacts from the Bronze Age were excavated from the Haeui-ri and Jinan-ri sites. In these sites, pottery with notched strip on rim, plain coarse pottery, arrowheads, stone axes, stone fishing net-sinker, stone grinding pestle and saddle quern, etc. were found, providing clues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Bronze Age sites in the Cheongsong area.
      번역하기

      This article analyzes several descriptions, focusing on dolmens and layers containing artifact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ssemblages of the Bronze Age in the Cheongsong area. There were 15 dolmen sites surveyed in the Cheongsong area and 25 were di...

      This article analyzes several descriptions, focusing on dolmens and layers containing artifact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ssemblages of the Bronze Age in the Cheongsong area.
      There were 15 dolmen sites surveyed in the Cheongsong area and 25 were distributed. Most of these dolmens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foot of a mountain, making them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areas, which are distributed in flat or hilly areas.
      The materials used for the cap-stones include granitic gneiss, which can be easily obtained from around the sites, and also include schist, pegmatite and limestone. The labor involved in quarrying and transport seems to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in selecting this rock quality. Most of the cap-stones are 151 to 200 cm long, and there are two that are over 400 cm long. Looking at the square diagram, which is Zingg T.H.'s classification standard, there are many blade-shape and rod-shape. This is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cap-stone is thick compared to its length.
      Looking at the types of dolmens, most of them are pit-type, but there are also checkerboard-type (No. 2 of Gamyeon-ri and No. 1 of Hongwon-ri) and enclosed-type(Hasok-ri).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dolmen, it seems that the cap-stone was kept horizontal from the beginning to prevent it from falling over. The Hasok-ri dolmen had six stone props under the cap-stone to maintain the level.
      After constructing the dolmen, later people held ancestral rites as a concept of worship in connection with folk religion. The representative dolmen related to ancestral rites is No. 1 of Hongwon-ri . Dolmen No. 3 of Hongwon-ri is said to have a belief that the reporter hopes to give birth to a son.
      Layers containing artifacts from the Bronze Age were excavated from the Haeui-ri and Jinan-ri sites. In these sites, pottery with notched strip on rim, plain coarse pottery, arrowheads, stone axes, stone fishing net-sinker, stone grinding pestle and saddle quern, etc. were found, providing clues to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Bronze Age sites in the Cheongsong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청송지역의 청동기시대 文化相을 알기 위하여 고인돌과 유물 포함층을 중심으로 몇 가지를 분석한 것이다.
      청송지역에서 조사된 고인돌 유적은 15곳이고 25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고인돌은 대부분 산기슭의 끝자락에 위치하여 평지나 구릉지대에 분포하는 주변 지역과는 차이가 있다.
      덮개돌에 이용된 재질은 유적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암질 편마암이 많고 편암, 거정화강암, 석회암도 있다. 이러한 암질 선택에는 채석과 운반에 따른 노동력이 고려되었던 것 같다.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가 151~200㎝ 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400㎝ 이상도 2기나 있다. Zingg T. H.의 분류 기준인 사각 다이아그램으로 보면 길쭉한 모양과 막대기 모양이 많다. 이것은 덮개돌이 길이에 비하여 두께가 두껍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고인돌의 형식을 보면 대부분 개석식이고 바둑판식(감연리 2호, 홍원리 1호)과 위석식(하속리)도 있다. 고인돌 축조 과정에는 덮개돌이 쓰러지지 않게 처음부터 수평 유지를 하였던 것 같다. 하속리 고인돌은 덮개돌 아래에 6매의 굄돌이 수평 유지를 위하여 놓여 있었다.
      고인돌을 축조한 다음 후대의 사람들이 민간신앙과 연관시켜 숭배의 개념으로 제사를 지냈다. 제사와 관련 있는 고인돌은 홍원리 1호가 대표적이다. 홍원리 3호 고인돌은 아들 낳기를 바라는 기자 믿음이 전해오고 있다.
      청동기시대의 유물 포함층은 하의리 유적과 진안리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이들 유적에서는 골아가리 토기, 민무늬 토기, 화살촉, 돌도끼, 돌그물추, 격지 석기, 갈돌과 갈판 등이 찾아져 청송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 성격을 이해하는 단서가 되고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청송지역의 청동기시대 文化相을 알기 위하여 고인돌과 유물 포함층을 중심으로 몇 가지를 분석한 것이다. 청송지역에서 조사된 고인돌 유적은 15곳이고 25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

      이 글은 청송지역의 청동기시대 文化相을 알기 위하여 고인돌과 유물 포함층을 중심으로 몇 가지를 분석한 것이다.
      청송지역에서 조사된 고인돌 유적은 15곳이고 25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고인돌은 대부분 산기슭의 끝자락에 위치하여 평지나 구릉지대에 분포하는 주변 지역과는 차이가 있다.
      덮개돌에 이용된 재질은 유적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암질 편마암이 많고 편암, 거정화강암, 석회암도 있다. 이러한 암질 선택에는 채석과 운반에 따른 노동력이 고려되었던 것 같다.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가 151~200㎝ 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400㎝ 이상도 2기나 있다. Zingg T. H.의 분류 기준인 사각 다이아그램으로 보면 길쭉한 모양과 막대기 모양이 많다. 이것은 덮개돌이 길이에 비하여 두께가 두껍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고인돌의 형식을 보면 대부분 개석식이고 바둑판식(감연리 2호, 홍원리 1호)과 위석식(하속리)도 있다. 고인돌 축조 과정에는 덮개돌이 쓰러지지 않게 처음부터 수평 유지를 하였던 것 같다. 하속리 고인돌은 덮개돌 아래에 6매의 굄돌이 수평 유지를 위하여 놓여 있었다.
      고인돌을 축조한 다음 후대의 사람들이 민간신앙과 연관시켜 숭배의 개념으로 제사를 지냈다. 제사와 관련 있는 고인돌은 홍원리 1호가 대표적이다. 홍원리 3호 고인돌은 아들 낳기를 바라는 기자 믿음이 전해오고 있다.
      청동기시대의 유물 포함층은 하의리 유적과 진안리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이들 유적에서는 골아가리 토기, 민무늬 토기, 화살촉, 돌도끼, 돌그물추, 격지 석기, 갈돌과 갈판 등이 찾아져 청송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 성격을 이해하는 단서가 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용, "「이천지역 제4기 지질 및 고인돌조사, 이천지역 고인돌 연구" 세종대학교 박물관・이천시 2000

      2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1974

      3 한규량, "한국 선돌의 기능 변천에 대한 연구" 28 : 1984

      4 이융조, "한국 고인돌의 다른 유형에 관한 연구" 63 : 1989

      5 조영래, "청송 향토사 연구논문집" 1 : 2021

      6 성림문화재연구원, "청송 성덕 다목적댐 건설사업 부지내(성재리 추정 지석묘군Ⅱ) 유적문화재 발굴(시굴)조사 중간 결과보고서" 2006

      7 성림문화재연구원, "청송 성덕 다목적댐 건설사업 부지내 유적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부분 완료 보고서" 2007

      8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청송 돌곡들지구 밭 기반 정비공사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3

      9 제주시, "제주시 지석묘" 2015

      10 이융조, "보령지역의 고인돌 문화 연구(Ⅱ)" 2 : 1991

      1 김주용, "「이천지역 제4기 지질 및 고인돌조사, 이천지역 고인돌 연구" 세종대학교 박물관・이천시 2000

      2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1974

      3 한규량, "한국 선돌의 기능 변천에 대한 연구" 28 : 1984

      4 이융조, "한국 고인돌의 다른 유형에 관한 연구" 63 : 1989

      5 조영래, "청송 향토사 연구논문집" 1 : 2021

      6 성림문화재연구원, "청송 성덕 다목적댐 건설사업 부지내(성재리 추정 지석묘군Ⅱ) 유적문화재 발굴(시굴)조사 중간 결과보고서" 2006

      7 성림문화재연구원, "청송 성덕 다목적댐 건설사업 부지내 유적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부분 완료 보고서" 2007

      8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청송 돌곡들지구 밭 기반 정비공사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2013

      9 제주시, "제주시 지석묘" 2015

      10 이융조, "보령지역의 고인돌 문화 연구(Ⅱ)" 2 : 1991

      11 김권구, "다. 경상북도, 한국 지석묘(고인돌) 유적 종합 조사 연구" 1999

      12 하문식, "기전지역의 청동기시대 무덤 연구" 주류성 2021

      13 하문식, "고조선 사람들이 잠든 무덤" 주류성 2016

      14 하문식, "고인돌의 덮개돌 운반에 대한 연구" 34 : 2001

      15 조미애, "경북지역 청동기시대 무덤" 2016

      16 전영래, "高敞・雅山地區 支石墓 發掘報告書" 전주시립박물관 1984

      17 이영문, "韓國支石墓社會硏究" 학연문화사 2002

      18 김재원, "韓國支石墓硏究" 국립박물관 1967

      19 대경문화재연구원, "靑松 眞安里 遺蹟" 2008

      20 대동문화재연구원, "靑松 下宜里 703 遺蹟" 2009

      21 이융조, "牛山里 곡천 고인돌, 住岩댐 水沒地域 文化遺蹟 發掘調査 報告書 Ⅱ" 1988

      22 청송군, "文化遺蹟分布地圖-靑松郡" 2006

      23 하문식, "古朝鮮 地域의 고인돌 硏究" 백산자료원 1999

      24 최삼용, "古小說에 나타난 星宿의 性格 考察" 1988

      25 Daniel, G., "Megalithic Monuments" 243 (243): 1980

      26 Zingg, T. H., "Beitrage zur schotter analyse Bd. 15" Schweizer Mineralog U. Petrog Mitt 193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