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고기류와 금석문을 통해 신라말~고려초에 칭원법이 변화하는 과정과 배경을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삼국사기에 인용된 古記류의 일부는 즉위년칭원으로 정리되었다. 그 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3116
이부오 (경기도교육청)
2023
Korean
first year-accession ; second year-accession ; Gogi(古記) ; inscription ; text ; 즉위년칭원법 ; 유년칭원법 ; 古記 ; 저본 ; 금석문
KCI등재
학술저널
291-330(4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고기류와 금석문을 통해 신라말~고려초에 칭원법이 변화하는 과정과 배경을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삼국사기에 인용된 古記류의 일부는 즉위년칭원으로 정리되었다. 그 고�...
본고는 고기류와 금석문을 통해 신라말~고려초에 칭원법이 변화하는 과정과 배경을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삼국사기에 인용된 古記류의 일부는 즉위년칭원으로 정리되었다. 그 고기류의 찬술 시기는 「가락국기」가 찬술된 11세기말이나 구삼국사가 출현한 광종대까지 올라갈 수 있다. 이러한 고기류 기사의 일부는 삼국사기와 별도의 계통으로 삼국유사에 수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일부 자료는 유년칭원으로 작성되었다가 삼국사기 신라본기나 그 저본에서 즉위년칭원으로 수정되었을 것이다. 일부 고기류에서는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이 혼용되었다. 크게 보면 유년칭원에서 즉위년칭원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변화의 기점은 중대초와 고려초 사이의 어느 구간으로 나타난다.
신라 금석문에서는 원래 유년칭원을 사용했다. 이러한 경향은 중대를 거쳐 백률사석당기(818)까지 이어졌다. 반면 보림사 비로자나조상기(859) 이후에는 즉위년칭원을 사용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현왕의 즉위연차나 기년의 상당 부분이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일치하는 점이 이를 말해준다. 하지만 법흥왕대에 대해서는 저본의 유년칭원 기록을 그대로 수용하여 혼용하기도 했다. 유년칭원으로 기재된 저본을 즉위칭원으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는 유년칭원에서 즉위년칭원으로 변화하는 추세 속에서 발생했을 것이다.
9세기 후반경 칭원법의 변화가 시도된 것은 내부적 요인에 따랐을 가능성이 크다. 9세기 동안 빈번하면서도 비정상적인 왕위의 교체가 그 정당성을 과시하기 위해 즉위년칭원을 시도하는 동기로 작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변화는 점진적이고 불규칙한 과정을 거쳤다. 즉위년칭원법은 고려초인 949년 광종이 공식적으로 실시했지만, 동왕 후반부에는 송의 연호를 사용하면서 유년칭원으로 돌아갔다. 현종이 다시 즉위년칭원법을 실시하면서 즉위년칭원이 보편화되었다. 여기에는 취약한 왕권을 정당화하려는 동기와 함께 遼의 즉위년칭원 경향이 영향을 미쳤다. 다수의 고기류에서 즉위년칭원이 적용된 것은 이러한 흐름에 따른 것이다. 광종대와 현종대에 시행된 즉위년칭원법은 삼국사기가 이를 기준으로 삼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me of the articles from the Gogi(古記) cited in Samguksagi were written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The period in which the Gogi was written can be dated to the end of the 11th century or the Goryeo Gwangjong(光宗) period. Some of th...
Some of the articles from the Gogi(古記) cited in Samguksagi were written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The period in which the Gogi was written can be dated to the end of the 11th century or the Goryeo Gwangjong(光宗) period. Some of these articles in the Gogi would have been accepted in the Samgukyusa without going through the Samguksagi.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articles in the Gogi would have been written using the second year-accession, and then revised to the first year-one in Samguksagi or its text. In some of Gogi, the second year-accession and the first year-one were used interchangeably. In general, the former changed into the latter. The beginning point of the change was between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early Goryeo Dynasty.
Originally, the second year-accession was used in Silla's inscriptions. After Borim Temple's Virojana-Jossanggi(彫像記: 859), the proportion of using the first year-on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article dealing with the period of King Beopheung, the second year-accession was used interchangeably. Errors also occurr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an article in the text written using the second year-accession into the first year-one. This kind of problems occurr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second year-accession to the first year-one.
The reason why the Chronology was attempted to be replaced in the 9th century would have been domestic. The frequent and abnormal replacement of the throne in the 9th century would have served as a motive for attempting the first year-accession to show off its legitimacy. But those changes were gradual and irregular. In 949, Goryeo's Gwangjong officially implemented the first year-accession, but in the latter half of his reign, he returned to the second year-one.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e first year-accession was implemented again and became common. The first year-accession implemented during the two kings' periods originated with the purpose of legitimizing the weak royal authority, and was influenced by that implemented during the Liao(遼) dynasty. The first year-accession applied to many Gogies followed this trend. This accession, which was implemented during the two kings' reigns,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authors of Samguksagi using it as a standard.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Ⅰ)" 집문당 1999
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 1981
3 이홍직, "한국고대사의 연구" 신구문화사 1971
4 조선총독부, "조선금석총람"
5 김현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 Ⅲ" 일지사 2004
6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2~3권" 1992
7 강인구, "역주 삼국유사 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8 한국역사연구회 중세1분과 나말여초연구반, "역주 나말려초금석문 上-원문교감편-" 혜안 1996
9 신종원, "신라초기불교사연구" 민족사 1992
10 정선용, "신라 헌안왕의 가지산사 운영과 그 성격"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3) : 107-144, 2023
1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Ⅰ)" 집문당 1999
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4" 1981
3 이홍직, "한국고대사의 연구" 신구문화사 1971
4 조선총독부, "조선금석총람"
5 김현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 Ⅲ" 일지사 2004
6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2~3권" 1992
7 강인구, "역주 삼국유사 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8 한국역사연구회 중세1분과 나말여초연구반, "역주 나말려초금석문 上-원문교감편-" 혜안 1996
9 신종원, "신라초기불교사연구" 민족사 1992
10 정선용, "신라 헌안왕의 가지산사 운영과 그 성격"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3) : 107-144, 2023
11 김창겸, "신라 하대 왕위계승 연구" 경인문화사 2003
12 김창겸, "신라 하대 국왕과 정치사" 온샘 2018
13 홍윤식, "삼국유사에 있어 구삼국사의 제문제" 1 : 1987
14 이강래, "삼국사기 형성론" 신서원 2007
15 이강래, "삼국사기 전거론" 민족사 1996
16 이강래, "삼국사기 인식론" 일지사 2011
17 조경철, "광개토왕대 永樂 연호와 佛敎" 동북아역사재단 (20) : 217-242, 2008
18 최치원, "고운집" 한국고전번역원 2009
19 노계현, "고려외교사" 갑인출판사 1994
20 김대식, "고려시대 송에 의한 국왕책봉의 전개" 12 : 1996
21 장동익, "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종합연표" 동북아역사재단
22 한정수, "고려-송-거란 관계의 정립 및 변화에 따른 紀年의 양상 - 광종~현종 대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회 (41) : 103-133, 2012
23 김갑동, "고려 현종 연구" 혜안 2022
24 今西龍, "高麗及李朝史硏究" 國書刊行會 1974
25 박성래, "高麗初의 曆과 年號" 10 : 1978
26 今西龍, "高麗の年號 ‘光德’ 年代-高麗史紀年に錯誤あるの疑-" 3 (3): 1912
27 道宣, "續高僧傳"
28 서영교, "眞德女王 崩年(654) 空位와 金春秋의 踰年(655) 즉위" 영남문화연구원 (69) : 57-85, 2019
29 藤田亮策, "朝鮮の年號と紀年(上)" 41 (41): 1958
30 末松保和, "旧三國史と三国史記" 2 : 1966
31 井上秀雄, "新羅史基礎硏究" 東出版株式會社 1974
32 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33 정선종, "佛滅年紀로 본 9세기 미술품의 조성시기" 28 : 1995
34 진홍섭, "三國遺事에 나타난 塔像-皇龍寺塔像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35 三品彰英, "三國遺事考証 中" 塙書房 1979
36 村上四男, "三國遺事考証 下之一" 塙書房 1994
37 小田省吾, "三國史記の稱元法並に高麗以前稱元法の硏究(上)" 10 (10): 1920
38 유우창, "『가락국기』 편찬과 역사적 의미"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6) : 243-276, 2020
39 이부오, "≪三國遺事≫ 王曆에 나타난 기년인식의 배경" 신라사학회 (32) : 169-221, 2014
40 高寬敏, "≪三國史記≫原典的硏究" 雄山閣 1996
41 전덕재, "8세기 신라의 대일외교와 동아시아 인식" 일본연구소 44 : 27-5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