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6세기 중‧후반 禮安 士族 梅軒 琴輔의 생애와향촌사회 활동 = Life and Local Community Activities by Maeheon Geum Bo of Yeaan Sajok during mid-to-late 16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26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on the life and local community activities of Maeheon Geum Bo who was active in the Yeoan area during the mid-to-late 16th century when the local noble class-oriented community control order was established. This period was the period t...

      This thesis is on the life and local community activities of Maeheon Geum Bo who was active in the Yeoan area during the mid-to-late 16th century when the local noble class-oriented community control order was established. This period was the period to establish the community control order that was initiated by the local noble class Geum Bo who was a pupil of Toegye Lee Hwang was in a position for actively assisting his master's academic activities and local community activities and the works of Geum Bo were a great example to understand some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Mid-to-Later 16th Century.
      First of all, the Geum Bo's Bonghwa Geum clan grew into a noble class clan at the end of Goryeo and the beginning of Joseon Era, and in the later period of the 15th century, a number of government official was advanced to form the renowned beoljok (distinguished families) and honban (relationship formed from marrige) in the region. In this process, the foundation of the Bonghwa Geum clan was expanded to Yeaan, Andong, Youngcheon and other areas. Therefore, Geum Bo became son-in-law for the Jinseong Lee clan, a honban, to move to Yeaan. Geum Bo, as a student of Lee Hwang, succeeded his master's view of sources to strive for secluded life in his folk town without contemplating to serve in a government position with his focus on the academic studies and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local community activities of Geum Bo may largely be classified in three-fold. First, it is the perception of succession on the Toegye Academic Sector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such percep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esteem and respect toward the master, Geum Bo wrote 「Dosangigo-jeung」 and 「Jeongjonjaejamgo-jeung」, and after passing of Lee Hwang, he led various memorial works. In addition, through tou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e established academic sense of homogeneity, as well as the sense of sympathy toward the issues in local community. Second, he had the leading role in expanding the education and edification facilities in the Yeoan region. Geum Bo was involved in the re-building project of Yeaan Hyanggyo (a type of public school) in 1572, and led the establishment of Idong Sewon (private academic institution) in 1567. In addition, after passing of Lee Hwang, he was in charge of the Dosan Seowon works and these facilities were the focal points to nurture the local noble class forces in the Yeaan region. And, third, it was the activities involved in the local self-ruling organizations of Yuhyangso and Ongyedongyak. Earlier, Lee Hwang established ‘Hyanglipyakjo’, the operation regulation of Yeaan Yuhyangso for establishing the local noble class-oriented community control order. Furthermore, he was involved in the Ongyedongyak that was operated for strength the bind between the local noble class and maintaining of order within the town. Under the circumstances, Geum Bo was a local officer of Yeaan Yuhyangso and a clerk of Ongyedongyak to place endeavors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local noble class and establishing ord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 질서가 확립되던 16세기 중·후반 禮安 지역에서 활동했던 梅軒 琴輔의 생애와 향촌사회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이 시기는 재지사족 층에 의해 자신들 ...

      본 논문은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 질서가 확립되던 16세기 중·후반 禮安 지역에서 활동했던 梅軒 琴輔의 생애와 향촌사회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이 시기는 재지사족 층에 의해 자신들 주도의 향촌지배질서가 확립되던 시기였다. 退溪 李滉의 문인이었던 금보는 스승의 학술 활동 및 향촌사회 활동을 적극 보조하는 위치에 있었기에 금보의 행적은 16세기 중·후반 향촌사회의 일단을 이해하는데 좋은 사례가 된다.
      우선 금보의 奉化琴氏 가문은 여말선초 사족 가문으로 성장하였으며, 15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많은 관인을 배출함으로써, 지역의 명문 閥族과 婚班을 형성하였다. 그 과정에서 봉화금씨 가문의 세거지는 관향을 비롯해 예안·安東·榮川 등지로 확대되었다. 이에 금보도 혼반이었던 眞城李氏 가문의 사위가 되어 예안으로 이주하게 된다. 금보는 이황의 문인으로서 스승의 출처관을 계승하여 관직에 뜻을 두지 않은 채, 향촌에서 처사적 삶을 지향하면서 학문 연구와 향촌사회 활동에 전념하였다.
      금보의 향촌사회 활동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퇴계학맥에 대한 계승 의식과 이를 매개로 한 교유 관계이다. 금보는 스승에 대한 존모 의식을 바탕으로 「陶山記考證」과 「靜存齋箴考證」을 저술하였으며, 이황 사후에는 각종 추숭 사업을 주도하였다. 또한 유람과 교유를 통해 학문적 동질감뿐만 아니라, 향촌사회 문제에 대한 공감대도 함께 형성해 나갔다. 두 번째로는 예안 지역에서 교육·교화 시설을 확충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금보는 1572년 禮安鄕校 중수에 간여하였으며, 1567년에는 易東書院 건립을 주도하였다. 또한 이황 사후에는 陶山書院 공사를 맡았는데, 이들 시설은 예안 지역에서 재시사족 세력을 부식하는데 구심점이 되었다. 세 번째는 향촌자치기구인 留鄕所 및 溫溪洞約 활동이다. 이에 앞서 이황은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지배질서 확립을 위해, 예안 유향소의 운영 규정인 ‘鄕立約條’를 제정하였다. 또한 동리 내 질서 유지와 재지사족 간 결속력 강화를 위해 운영된 온계동약에 간여하기도 했다. 그런 가운데 금보 역시 예안 유향소의 향원과 온계동약의 유사로 있으면서 재지사족 중심의 지위 유지와 질서 확립을 위해 힘쓰기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대민, "한국의 향교 연구"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2 이종묵, "퇴계학파와 청량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4 (24): 2001

      3 이군선, "퇴계학파 학문방법에 대한 일고찰 - 梅軒 琴輔의 「陶山記考證」과 「靜存齋箴考證」을 중심으로 -" 퇴계연구소 (37) : 33-62, 2005

      4 김용덕, "조선후기 향약연구" 민음사 1990

      5 이수환, "조선후기 서원연구" 일조각 2001

      6 정진영,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한길사 1998

      7 정진영, "우탁 선생의 사상과 역동서원의 역사" 안동대학교 1992

      8 오세창, "영남향약자료집성"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6

      9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10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학교 출판부 1979

      1 강대민, "한국의 향교 연구"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2

      2 이종묵, "퇴계학파와 청량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4 (24): 2001

      3 이군선, "퇴계학파 학문방법에 대한 일고찰 - 梅軒 琴輔의 「陶山記考證」과 「靜存齋箴考證」을 중심으로 -" 퇴계연구소 (37) : 33-62, 2005

      4 김용덕, "조선후기 향약연구" 민음사 1990

      5 이수환, "조선후기 서원연구" 일조각 2001

      6 정진영,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한길사 1998

      7 정진영, "우탁 선생의 사상과 역동서원의 역사" 안동대학교 1992

      8 오세창, "영남향약자료집성"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6

      9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10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학교 출판부 1979

      11 봉화금씨대종회, "봉화금씨세보" 2005

      12 "국역 매헌선생문집" 한국국학진흥원 2013

      13 윤희면, "경주 사마소에 대한 일고찰" 역사교육학회 37·38 : 1985

      14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경북향교자료집성 (Ⅱ)"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2

      15 "雪月堂集"

      16 "陶山及門諸賢錄"

      17 "錦溪集"

      18 "鄒川集"

      19 "退溪集攷證"

      20 "退溪集"

      21 "退溪言行錄"

      22 "臺山集"

      23 "牧民心書"

      24 "燃藜室記述"

      25 "梅軒集"

      26 "松溪逸集"

      27 "朝鮮王朝實錄"

      28 "新增東國輿地勝覽"

      29 "慵齋遺稿"

      30 "慕齋集"

      31 "惺齋集"

      32 "己卯錄續集"

      33 "宣城誌"

      34 "嘯皐集"

      35 이병훈, "16세기 안동지역 재지사족의 성장과 서당 건립 활동" 민족문화연구소 (69) : 61-137, 2018

      36 전재동, "16~17세기 퇴계학파退溪學派의 사서四書 해석과 그 의미 ― 금보琴輔·이덕홍李德弘·조호익曺好益의 사서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23) : 563-596, 2013

      37 박현순, "16~17세기 예안현 사족사회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