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라색 적용제품과 이미지 관련성 평가연구 =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5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 제품산업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업들은 넘쳐나는 제품속의 차별화를 강조하며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의 시대는 가고, 현재는 강력한 매력으로 소비자의 감성에 호소하는 소비자 인식의 시대라 할 수 있다. 소비자 인식이라 함은 소비자가 물건을 대할 때 느끼는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으며 색채를 통한 시각적인 메시지는 강력한 이미지를 이끌어 낸다. 색채는 물리적인 특징과 심리적인 특징을 가지며 단순히 인지의 개념이 아닌 색채를 통한 연상과정을 통해 마음속에 그려진 독특한 이미지를 갖게 되며 다양한 감흥을 불러일으키게 된다.1) 본 논문은 선행연구인 ‘보라색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색의 연상에 관한 연구’ 의 후속 논문으로, 연구목적은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어진 보라색이 실제 제품에 적용되었을 때 이미지 관련성 평가 비교를 통한 색채계획과 마케팅 현장에서 유의미한 아이디어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함에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보라색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정량적인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의 보라색은 신비스럽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평가 되었으나 선호색과 비선호색의 경계가 모호한 비전형 컬러2)지만 전자제품, 패션, 화장품 분야의 다양한 보라색의 제품군을 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 집단과 같은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여 SPSS 15.0을 이용하여 보라색 적용 제품 8개에 대한 이미지 어울림 평가와 형용사 이미지 관련성에 관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보라는 색명의 어원에 따라 퍼플, 모브, 바이올렛, 자색 등으로 불리며 빨강과 파랑, 자주 빛과 청빛, 고급과 대중화 등 대립된 구조로 통일감을 이루며 심리적 특징 또한 영원 불명의 색, 병약 불안 등의 야누스적인 양면성으로 소비자의 감성을 이끌어 낸다. 2. 보라색 적용제품의 이미지 어울림 평가에서는 제품 구입 트렌드의 주기가 빠른 패션과 미용분야의 보라색이 적용되었을 때 소비자가 어울리는 이미지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8개의 보라색 적용제품의 이미지 관련성 상관 비교의 결과 메이크업, 시계, 카페를 제외 하고는 ‘제품의 고급스러움’ 과 ‘제품 품질의 우수성’에 대한 관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보라색 적용제품에 대한 형용사 이미지 비교로 패션 미용분야는 고급감과 유사한 이미지 언어와 관련성이 높으며 그 외 제품군에서는 개성 있는, 감각적인, 경쾌한 이미지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번역하기

      21세기 제품산업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업들은 넘쳐나는 제품속의 차별화를 강조하며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의 시...

      21세기 제품산업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업들은 넘쳐나는 제품속의 차별화를 강조하며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의 시대는 가고, 현재는 강력한 매력으로 소비자의 감성에 호소하는 소비자 인식의 시대라 할 수 있다. 소비자 인식이라 함은 소비자가 물건을 대할 때 느끼는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으며 색채를 통한 시각적인 메시지는 강력한 이미지를 이끌어 낸다. 색채는 물리적인 특징과 심리적인 특징을 가지며 단순히 인지의 개념이 아닌 색채를 통한 연상과정을 통해 마음속에 그려진 독특한 이미지를 갖게 되며 다양한 감흥을 불러일으키게 된다.1) 본 논문은 선행연구인 ‘보라색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색의 연상에 관한 연구’ 의 후속 논문으로, 연구목적은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어진 보라색이 실제 제품에 적용되었을 때 이미지 관련성 평가 비교를 통한 색채계획과 마케팅 현장에서 유의미한 아이디어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함에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보라색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정량적인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의 보라색은 신비스럽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평가 되었으나 선호색과 비선호색의 경계가 모호한 비전형 컬러2)지만 전자제품, 패션, 화장품 분야의 다양한 보라색의 제품군을 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 집단과 같은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여 SPSS 15.0을 이용하여 보라색 적용 제품 8개에 대한 이미지 어울림 평가와 형용사 이미지 관련성에 관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보라는 색명의 어원에 따라 퍼플, 모브, 바이올렛, 자색 등으로 불리며 빨강과 파랑, 자주 빛과 청빛, 고급과 대중화 등 대립된 구조로 통일감을 이루며 심리적 특징 또한 영원 불명의 색, 병약 불안 등의 야누스적인 양면성으로 소비자의 감성을 이끌어 낸다. 2. 보라색 적용제품의 이미지 어울림 평가에서는 제품 구입 트렌드의 주기가 빠른 패션과 미용분야의 보라색이 적용되었을 때 소비자가 어울리는 이미지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8개의 보라색 적용제품의 이미지 관련성 상관 비교의 결과 메이크업, 시계, 카페를 제외 하고는 ‘제품의 고급스러움’ 과 ‘제품 품질의 우수성’에 대한 관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보라색 적용제품에 대한 형용사 이미지 비교로 패션 미용분야는 고급감과 유사한 이미지 언어와 관련성이 높으며 그 외 제품군에서는 개성 있는, 감각적인, 경쾌한 이미지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duct Industry have a fierce battle for the competition, and companies in product differentiation emphasizing the abundance of captivating consumers needs to focus on marketing on the 21st century. Now, the era of technology-based differentiation as a strong attraction goes to appeal to consumers` emotions can be focused the era of consumer awareness. Consumer awareness means that consumer goods receive when it deals with the color images can be interpreted as a message through the visual image is a powerful lead. Colors are an inspiration to arouse through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oncepts, and what it has just reminded by not only painted colors but also in the mind from the process will have a variety of unique image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represents follow-up study from the preceding thesis ``A Study on Color Association and Luxurious Image Based on the Purple.`` As a follow-up study of previous research that was being discussed in the purple image when applied to real products of relevance by comparing the color plan and marketing field significantly, and expect to be able to be utilized as a consumer product in detail that competitive differentiation strategies is. Research methods on the purple can be divided into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purple image of the preceding thesis is the high proportion such as mysterious, luxurious image. The manufactures made by purple are widely used MP3 as the electric product, fashion, cosmetic field. This thesis showed the same group numb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it selected as a sample of the population using the SPSS 15.0. It represents the Purple Products of eight adjectives for image evaluation and image-related concern in harmony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first, purple is so called the depending on the origin from the color naming Purple, Mauve, Violet, Red Purple, Purplish red and Purplish blue including magenta and bluish, etc. It also exists the advanced luxurious and popularized structure from the unity such as forming oppos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lso to eternity of unidentified color, sickly anxiety, and so on Janus such as a two- sided with the emotions that consumers lead. Secondly, consumers are recognized good match for the applied purple products purchase in assessing the image of harmony depending to the trend cycle of fast fashion and beauty. Thirdly, it appealed to the most relevant of Relevance of eight applied purple products matter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mages of make-up, watches, cafes, except for ``luxury products`` and ‘excellence in product quality``. Fourthly, it showe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for the applied purple adjective images for the product to compare the field of advanced sense of fashion and beauty images similar to the language and other relevant product family high in the distinct individuality, sensual, and cheerful images.
      번역하기

      Product Industry have a fierce battle for the competition, and companies in product differentiation emphasizing the abundance of captivating consumers needs to focus on marketing on the 21st century. Now, the era of technology-based differentiation as...

      Product Industry have a fierce battle for the competition, and companies in product differentiation emphasizing the abundance of captivating consumers needs to focus on marketing on the 21st century. Now, the era of technology-based differentiation as a strong attraction goes to appeal to consumers` emotions can be focused the era of consumer awareness. Consumer awareness means that consumer goods receive when it deals with the color images can be interpreted as a message through the visual image is a powerful lead. Colors are an inspiration to arouse through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oncepts, and what it has just reminded by not only painted colors but also in the mind from the process will have a variety of unique image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represents follow-up study from the preceding thesis ``A Study on Color Association and Luxurious Image Based on the Purple.`` As a follow-up study of previous research that was being discussed in the purple image when applied to real products of relevance by comparing the color plan and marketing field significantly, and expect to be able to be utilized as a consumer product in detail that competitive differentiation strategies is. Research methods on the purple can be divided into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purple image of the preceding thesis is the high proportion such as mysterious, luxurious image. The manufactures made by purple are widely used MP3 as the electric product, fashion, cosmetic field. This thesis showed the same group numb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it selected as a sample of the population using the SPSS 15.0. It represents the Purple Products of eight adjectives for image evaluation and image-related concern in harmony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first, purple is so called the depending on the origin from the color naming Purple, Mauve, Violet, Red Purple, Purplish red and Purplish blue including magenta and bluish, etc. It also exists the advanced luxurious and popularized structure from the unity such as forming oppos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lso to eternity of unidentified color, sickly anxiety, and so on Janus such as a two- sided with the emotions that consumers lead. Secondly, consumers are recognized good match for the applied purple products purchase in assessing the image of harmony depending to the trend cycle of fast fashion and beauty. Thirdly, it appealed to the most relevant of Relevance of eight applied purple products matter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mages of make-up, watches, cafes, except for ``luxury products`` and ‘excellence in product quality``. Fourthly, it showe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for the applied purple adjective images for the product to compare the field of advanced sense of fashion and beauty images similar to the language and other relevant product family high in the distinct individuality, sensual, and cheerful imag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