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羅 東宮의 位置와 ‘東宮官’機構 =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 and Government Offices Belonging to the Crown-Prince in Silla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00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Donggung東宮), as well as government offices belonging to the crown-prince (Donggungkwan 東宮官) in Silla dynasty. Among the Samguksagi’s records that describe the period before the 19...

      This paper examines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Donggung東宮), as well as government offices belonging to the crown-prince (Donggungkwan 東宮官) in Silla dynasty. Among the Samguksagi’s records that describe the period before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eign(679), no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crown-prince palace can be found. For the first time, the crown-prince palace was built in Silla in 679. Donggunga and Donggungkwan were installed in the 11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752).
      In general, the crown-prince palace was recognized as just the Imhaejeon(臨海殿) that were located on the west side of the Anapji(雁鴨池) which was excavated a lot of relics related to the crown-prince and government offices to Donngungkwan including Donggungah(東宮衙), Setaek(洗宅), Woljijeon(月池典), Woljiackjeon(月池嶽典), Yongwangjeon(龍王典) etc. Anapji was Wolji(月池) in Silla dynasty, so Woljijeon and Woljiackjeon was recognized as a Anapji Administration Department.
      But Anapji and Imhaejeon is too big for the crown-prince palace of Goryeo and Joseon dynasty. So Anapji and Imhaejeon is not the crown-prince palace of Silla. The archaeological site of the Silla capital on east side of Wolji is where has been excavated since 2007 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many ruins of buildings built from pre-middle period to the latter period of Silla are concentrated in the area. The location of the site is directly connected with Wolji at west side of the site. large buildings, the palace-wall, and East gate of palace appeared in the sit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crown-prince palace of Silla is not Anapji and Imhaejeon on west side of Wolji but the archaeological site of the Silla capital on east side of Wolj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학계에서는 안압지와 그 서편의 임해전 건물군 일대를 신라의 동궁으로 보고 있지만, 고려 및 조선시대의 동궁들과 비교해볼 때 신라 동궁의 규모가 너무나도 크다. 또 동궁 관할의 임...

      현재 학계에서는 안압지와 그 서편의 임해전 건물군 일대를 신라의 동궁으로 보고 있지만, 고려 및 조선시대의 동궁들과 비교해볼 때 신라 동궁의 규모가 너무나도 크다. 또 동궁 관할의 임해전에 와서 왕이 群臣에게 향연을 베푼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동궁’을 태자궁이 아니라 ‘동쪽의 궁’으로 보는 수정안이 나왔다. 그러나 애장왕 5년 ‘임해전’과 ‘동궁 만수방’이 병칭되는 기사나 월지 출토 ‘太子’ 및 ‘東宮官’ 관련 문자자료로 볼 때, 신라의 동궁은 임해전 일대의 월지궁과 독립되면서도 월지 인근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2007년 11월 이후 발굴이 진행되고 있는 월지 동편 유적에서 월지의 동쪽 호안을 따라 남북으로 긴 宮墻이 95미터 이상 노출되었고, 동단 끝으로 발굴이 더욱 확대되면서 남북대로에 맞닿아 있는 ‘동문지’로 추정되는 유구도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 월지 동편의 宮墻에서 동문지까지가 하나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분되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더욱이 이 월지 동편 유적은 궁장의 중간에 가설된 門들을 통해 월지와도 분명히 소통 연결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앞서 신라 동궁의 입지조건들과도 상당히 부합된다. 월지 동편의 발굴 상황은 안압지 출토 門號木簡에 기록된 동궁의 궁문이나 내부구조와도 일치한다. 월지 동편 유적의 ‘동문지’는 문호목간의 ‘東門’이며, 그 서쪽 1호 담장지인 宮墻에 가설된 ‘3호 건물지’는 ‘開義門’으로 추정된다. ‘모퉁이 궁’이라는 뜻의 ‘隅宮’은 1호 담당지의 서편, 즉 1호 건물지가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된다. 그곳의 발굴이 확대되면 우궁의 북쪽과 서쪽에 外垣과 그 각각에 隅宮의 北門과 西門이 노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隅宮은 그 내부 1호 건물지가 동향이라는 점에서, 월지 동북편의 모퉁이 空地를 활용한 동궁의 부속 공간이었다고 생각된다.
      월지의 서편 건물지는 ‘임해전’으로 잘 알 수 있듯이, 왕궁의 後苑인 월지에 건설된 남북축선을 고려한 매우 권위적이며 의례적인 건물군이다. 이러한 임해전과 월지의 영역은 왕의 공간이며, 그곳을 궁장(또는 苑墻)으로 차단하고 왕궁의 동단 끝에 다시 태자의 공간으로서 동궁이 별도로 건설되었다. 이때 동궁에는 태자를 위해 작지만 독립된 정원시설까지 기획될 정도로 동궁(태자궁)의 격조와 장엄에 상당한 신경을 썼다.
      신라의 ‘東宮官’은 예하 관부의 구성과 기능으로 볼 때, 당에서 태자를 보좌하던 관청들을 묶어 ‘東宮官’이라고 통칭하였던 사례와 정확히 일치한다. 또 당의 동궁관 예하 관부가 동궁 내에 모두 존재하지 않았듯이 신라의 동궁관 관청들도 모두 동궁 내에 있지 않았다. 인왕동 왕경유적의 ‘東宮洗宅’처럼 하대에 들어 태자의 文翰機構가 확대되면서 동궁 밖에도 동궁관 관청이 늘어났다. 한편 月池典과 月池嶽典이 내성이 아니라 동궁관 예하인 것은 龍王典과 관련이 있다. 용왕제가 왕실의 영속을 비는 제사로서, 용왕이 만파식적을 내려준 바다를 표상하는 월지(안압지)에서 태자가 거행하였기 때문에, 월지를 관리했던 관청들과 용왕제를 담당했던 관청이 함께 동궁관 예하에 편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방룡, "六世紀新羅王京의 諸樣相" 26 : 2005

      2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3 崔柄憲, "한국사 3" 국사편찬위원회 1978

      4 윤선태, "특별전도록 : 한성에서 만나는 신라의 월성" 한성백제박물관 2019

      5 남풍현, "이두연구" 태학사 2000

      6 이용현, "안압지 목간과 동궁(東宮) 주변" 한국역사연구회 (65) : 253-287, 2007

      7 김창겸, "신라시대 태자제도의 성격" 13 : 1993

      8 김병곤, "신라 헌덕왕대의 副君 秀宗의 정체성과 太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5) : 183-223, 2013

      9 윤선태, "신라 통일기 왕실의 촌락지배 : 신라 고문서와 목간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0 김병곤, "신라 東宮의 역할과 영역 - 임해전 및 안압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 : 75-107, 2015

      1 박방룡, "六世紀新羅王京의 諸樣相" 26 : 2005

      2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3 崔柄憲, "한국사 3" 국사편찬위원회 1978

      4 윤선태, "특별전도록 : 한성에서 만나는 신라의 월성" 한성백제박물관 2019

      5 남풍현, "이두연구" 태학사 2000

      6 이용현, "안압지 목간과 동궁(東宮) 주변" 한국역사연구회 (65) : 253-287, 2007

      7 김창겸, "신라시대 태자제도의 성격" 13 : 1993

      8 김병곤, "신라 헌덕왕대의 副君 秀宗의 정체성과 太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5) : 183-223, 2013

      9 윤선태, "신라 통일기 왕실의 촌락지배 : 신라 고문서와 목간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0 김병곤, "신라 東宮의 역할과 영역 - 임해전 및 안압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 : 75-107, 2015

      11 전덕재, "신라 東宮의 변화와 臨海殿의 성격" 한국사학회 (127) : 5-54, 2017

      12 도수희, "백제의 언어와 문학" 주류성 2004

      13 홍승우, "문헌으로 보는 신라의 왕경과 월성"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7

      1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동궁과 월지에서 신라 왕궁 수세식 화장실 유구 확인-경주동궁과 월지 발굴조사 성과 현장 공개"

      15 최순조, "국립경주박물관 남측부지 유적 출토 신명문자료" 10 : 2013

      16 이병도, "고려시대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48

      17 최병현, "경주 월성과 신라 왕성체제의 변천" 한국고고학회 (98) : 48-91, 2016

      18 박정재, "경주 월성 해자 조사 성과와 목간" 한국목간학회 (20) : 37-60, 2018

      19 오현덕, "경주 월성 지하 레이다 탐사 결과보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0

      2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사천왕사지 등 2010년 발굴조사 성과 공개"

      2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Ⅱ-발굴조사보고서-" 2014

      2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Ⅰ-발굴조사보고서-" 2012

      23 李成市, "韓國出土の木簡について" 19 : 1997

      24 김병곤, "雁鴨池의 月池 改名에 대한 再考" 한국역사민속학회 (43) : 7-37, 2013

      25 高敬姬, "雁鴨池名稱에 대한 考察" 16 : 2000

      26 韓炳三, "雁鴨池名稱에 關하여" 153 : 1982

      27 윤선태, "雁鴨池出土‘門號木簡’과 新羅東宮의 警備-國立慶州博物館촬영 赤外線善本寫眞을 중심으로" (창간) : 2007

      28 이문기, "雁鴨池 출토 木簡으로 본 新羅의 宮廷業務 -宮中雜役의 遂行과 宮廷警備 관련 木簡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39) : 157-207, 2005

      29 "資治通鑑"

      30 "舊唐書"

      31 최영성, "月池宮 관련 자료 재검토 — 東宮은 太子宮이 아니다 —" 동양고전학회 (55) : 173-192, 2014

      32 이승현, "新羅의 東宮制度" 한국고대사학회 (55) : 213-251, 2009

      33 전덕재, "新羅王宮의 配置樣相과 그 變化" 27 : 2006

      34 三池賢一, "新羅內廷官制考(下)" 62 : 1972

      35 三池賢一, "新羅內廷官制考(上)" 61 : 1971

      36 양정석, "新羅 月池와 東宮의 變化過程 檢討 -月池 南便 建物址의 分析을 中心으로-" 한국사연구회 (154) : 1-36, 2011

      37 高敬姬, "新羅 月池 出土 在銘遺物에 대한 銘文 연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4

      38 조범환, "新羅 下代 憲德王의 副君 설치와 그 정치적 의미" 진단학회 (110) : 31-54, 2010

      39 "新增東國輿地勝覽"

      40 "新唐書"

      41 "大漢和辭典"

      42 "中國歷代人名大辭典"

      43 "三國遺事"

      44 井上秀, "三國史記にあらわれた新羅の中央行政官制について" 東出版 1974

      45 "三國史記"

      46 李熙濬, "‘동궁과 월지’ 동편 신라왕경유적의 조성시기 및 성격 검토" 11 :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