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의 추진요인과 유인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소재 국립공원 내 사찰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Push and Pull Factors of Temple Stay in Korean National Parks - Focused on Temples in National Parks in Gangwon-D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92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push and pull factors of temple stay in Korean national parks. 152 participants of temple stay in Woljeongsa and Guryongsa in national parks in Gangwon-do area completed a survey to access their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temple stay(push factors) and to evaluate how well the visiting experience performed on a selected set of attributes(push factors). Demographics of respondents were similar to the visitor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 park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6 push factor domains of 'self actualization', 'health enhancement', 'nature assimilation', 'relationship elevation', 'religious experience', and 'leisure experience'. 6 pull factor domains were 'recuperative quality', 'quality of a temple stay program', 'attributes of a temple', 'user convenience', 'tourism experience' and 'accessibility and transportation'. Satisfaction level of temple stay in a national park was very high of 4.71 in a 5 Likert scale. Gangwon- Do was most preferred with the percentage of 89.2 as a suitable area for temple stay in a national park. Findings of multi-dimensional tourism motivations of temple stay in a national park that encompass nature tourism, cultural tourism and religious tourism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 more competitive temple stay program and a marketing strategy. However, more defined successive research work is required to generalize findings of wellness oriented push and pull factors of temple stay based on nature in national parks.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amines the push and pull factors of temple stay in Korean national parks. 152 participants of temple stay in Woljeongsa and Guryongsa in national parks in Gangwon-do area completed a survey to access their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

      This research examines the push and pull factors of temple stay in Korean national parks. 152 participants of temple stay in Woljeongsa and Guryongsa in national parks in Gangwon-do area completed a survey to access their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temple stay(push factors) and to evaluate how well the visiting experience performed on a selected set of attributes(push factors). Demographics of respondents were similar to the visitor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 park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6 push factor domains of 'self actualization', 'health enhancement', 'nature assimilation', 'relationship elevation', 'religious experience', and 'leisure experience'. 6 pull factor domains were 'recuperative quality', 'quality of a temple stay program', 'attributes of a temple', 'user convenience', 'tourism experience' and 'accessibility and transportation'. Satisfaction level of temple stay in a national park was very high of 4.71 in a 5 Likert scale. Gangwon- Do was most preferred with the percentage of 89.2 as a suitable area for temple stay in a national park. Findings of multi-dimensional tourism motivations of temple stay in a national park that encompass nature tourism, cultural tourism and religious tourism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 more competitive temple stay program and a marketing strategy. However, more defined successive research work is required to generalize findings of wellness oriented push and pull factors of temple stay based on nature in national pa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관광동기로서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의 추진요인과 유인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원도에 소재한 오대산국립공원 내 월정사와 치악산국립공원 내 구룡사의 2개 사찰의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152명을 대상으로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이유(추진요인)와 참여결정시 영향을 주는 요인(유인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우리나라 국립공원 탐방객 특성과 유사성을 보였다. 요인분석결과 추진요인으로는 ‘자아실현’, ‘건강추구’, ‘자연동화감’, ‘관계고양’, ‘종교적 체험’, ‘여가체험’의 6개 요인이, 유인요인으로는 ‘휴식성’,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의 질’, ‘사찰의 특성’, ‘이용 편리성’, ‘관광체험거리’, ‘접근성과 교통’ 등 6개의 요인이 각각 도출되었다.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리커르트 5점 척도를 기준으로 4.71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에 적합한 지역으로는 강원도가 89.2%로 압도적인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관광과 문화관광, 종교관광의 성격을 아우르는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다원적 참여동기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경쟁력있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자연환경 기반의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가 지닌 웰니스지향적 추진요인과 유인요인들은 향후 보다 정교화된 후속연구를 통해 일반화될 것이 요망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관광동기로서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의 추진요인과 유인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원도에 소재한 오대산국립공원 내 월정사와 치악산국립공원 내 구룡사의 2개 사찰의 ...

      본 연구는 관광동기로서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의 추진요인과 유인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원도에 소재한 오대산국립공원 내 월정사와 치악산국립공원 내 구룡사의 2개 사찰의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152명을 대상으로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이유(추진요인)와 참여결정시 영향을 주는 요인(유인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우리나라 국립공원 탐방객 특성과 유사성을 보였다. 요인분석결과 추진요인으로는 ‘자아실현’, ‘건강추구’, ‘자연동화감’, ‘관계고양’, ‘종교적 체험’, ‘여가체험’의 6개 요인이, 유인요인으로는 ‘휴식성’,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의 질’, ‘사찰의 특성’, ‘이용 편리성’, ‘관광체험거리’, ‘접근성과 교통’ 등 6개의 요인이 각각 도출되었다.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리커르트 5점 척도를 기준으로 4.71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에 적합한 지역으로는 강원도가 89.2%로 압도적인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관광과 문화관광, 종교관광의 성격을 아우르는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다원적 참여동기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경쟁력있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자연환경 기반의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가 지닌 웰니스지향적 추진요인과 유인요인들은 향후 보다 정교화된 후속연구를 통해 일반화될 것이 요망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윤조, "템플스테이 체험의 여가심리학적 모형" 한국관광학회 33 (33): 99-122, 2009

      2 전병길, "템플스테이 체험과정에서 사찰환경이 참가자의 감정.만족 그리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20 (20): 7-27, 2008

      3 진영재, "템플스테이 동기, 에코스테이형 프로그램 선호도와 만족도의 관계 및 농촌체험관광 연계전략 탐색"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353-376, 2010

      4 이영경, "전통 사찰의 이용 및 보전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 설악산 신흥사와 가야산 해인사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4 (34): 84-99, 2006

      5 김철원, "대안관광으로서 템플스테이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0 (10): 130-148, 2008

      6 Lee, M., "Visitors' Us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n a Bukhansan National Park of Korea" 1 (1): 66-67, 1987

      7 Reisinger,Y, "Travel/Tourism: Spiritual Experiences, In Tourism Business Frontiers: Consumers, Products and Industry" Elsevier 340-, 2006

      8 Iso-Aholas, S.E., "Toward a Social Psychological Theory of Tourism Motivation. A Rejoinder" 12 : 256-262, 1982

      9 Hudman, L.E, "Tourism in Contemporary Society: An Introductory Text" Prentice Hall 1989

      10 Yeoman, I., "Tomorrow's Tourist; Scenarios and Trends" Elsevier 357-, 2009

      1 정윤조, "템플스테이 체험의 여가심리학적 모형" 한국관광학회 33 (33): 99-122, 2009

      2 전병길, "템플스테이 체험과정에서 사찰환경이 참가자의 감정.만족 그리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20 (20): 7-27, 2008

      3 진영재, "템플스테이 동기, 에코스테이형 프로그램 선호도와 만족도의 관계 및 농촌체험관광 연계전략 탐색"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353-376, 2010

      4 이영경, "전통 사찰의 이용 및 보전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 설악산 신흥사와 가야산 해인사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4 (34): 84-99, 2006

      5 김철원, "대안관광으로서 템플스테이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0 (10): 130-148, 2008

      6 Lee, M., "Visitors' Us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n a Bukhansan National Park of Korea" 1 (1): 66-67, 1987

      7 Reisinger,Y, "Travel/Tourism: Spiritual Experiences, In Tourism Business Frontiers: Consumers, Products and Industry" Elsevier 340-, 2006

      8 Iso-Aholas, S.E., "Toward a Social Psychological Theory of Tourism Motivation. A Rejoinder" 12 : 256-262, 1982

      9 Hudman, L.E, "Tourism in Contemporary Society: An Introductory Text" Prentice Hall 1989

      10 Yeoman, I., "Tomorrow's Tourist; Scenarios and Trends" Elsevier 357-, 2009

      11 Hong, K.P., "The Task for Landscape Experience of Templestay" 11 : 5-32, 2005

      12 Kim, S.S., "The Influence of Push and Pull factors at Korean National Parks" 24 (24): 169-180, 2003

      13 Prorok, C.V., "The Hare Krishna Transformation of space in West Virginia" 7 (7): 129-140, 1986

      14 Kim,Y, "The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 in Sobaeksan National Park" 6 (6): 218-228, 1993

      15 Kim, S., "Studies on Us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in Kayasan National Park" 3 (3): 107-113, 1989

      16 Sharply,R, "Rural Tourism and the Challenge of Tourism Diversification" 23 : 233-244, 2002

      17 Arnould, E.J, "River Magic: Extraordinary Experience and Extended Service Encounter" 20 : 24-45, 1993

      18 Yi, Y.K, "Resource Value Assessment of Traditional Temples in National Parks" 20 (20): 37-45, 2002

      19 Din, K.H., "Religious Tourism, In VNR's Encyclopedia of Hospitality and Tourism" Van Nostrand Reinhold 822-829, 1993

      20 Schmidt, C, "Qualitative Insights into Leisure as a Spiritual Experience" 39 (39): 222-247, 2007

      21 Sung Y.S,, "Psychological Nature of Leisure Experience-What is Pleasure" 7 (7): 35-57, 1996

      22 Goodall, B., "Progress in Tourism, Recreation and Hospitality Management Vol. 3" Bellhaven Press 58-77, 1991

      23 Crompton,J.L, "Motivations for Pleasure Vacations" 6 (6): 408-424, 1979

      24 Singh, S, "International Cultural Tourism; Management, Implications and Cases" Elsevier 240-, 2005

      25 Fakeye, P.C, "Image Differences Between Prospective, First Time and Revisit Visitors to Lower Rio Grande Valley" 30 : 10-16, 1991

      26 Richards,G., "Cultural Tourism: Global and Local Perspectives" The Haworth Hospitality Press 347-, 2007

      27 Fielding, K.A, "Climbing Ayres Rock: Relating Visitors Motivation, Time Perception and Enjoyment" 3 (3): 110-120, 1992

      28 Uysal, M, "Australian Visitors to US National Pars and National Area" 6 (6): 18-24, 1994

      29 Turnbull, D.R, "An Exploratory Study of German Visitors to the Caribbean: Push and Pull motivations" 4 (4): 85-92, 1995

      30 Uysal, M, "An Empirical Testing of the Push and Pull Factors of Tourist Motivations" 21 (21): 844-846, 1994

      31 Kim,K.C,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for Templestay" 11 : 67-80, 2005

      32 Do,K.R,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Religious Tourists : Focus on the Influence of Expectation·Performance·Disconfirmation to the Satisfaction of Buddhist Temple Visitor" Hanyang University Seoul 2000

      33 Ahn, K, "A Study on Visitors' Behavior in Korean National Park" 24 (24): 32-37, 1996

      34 Chung,B.W, "A Study on Behavior of Foreign Templestay Visitors: Focusing on the Satisfaction of Templestay Participation in 2002 FIFA World Cup" 8 (8): 221-242, 2002

      35 Jeong, I., "A Study on Attributes of Attractions of Bukhansan National Park and Visitors' Attitudes" Hanyang University 1997

      36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A Plan to Develop the Linked Program between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Tourism" 226-, 2006

      37 Yoon,Y.I, "A Basic Study for the Long Term Strategy for Protecting Ecosystems in National Parks" 88 (88): 299-30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