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the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of a teacher-researc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4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of a teacher-researcher who had experienced a research journey from a school teacher to an education researcher through autoethnography, which is a form of self-study.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educational insight for facilitating teacher research by my personal narrative, which was based on voice, self-reflection, and reflexivity.
      This study expressed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that were derived from educational theory and educational praxis of a teacher-researcher through three metaphoric concepts such as 'parallel', 'the confluence', and 'intersecting point'.
      First, teacher researcher as practitioner represented estrangement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xis as a disparate 'parallel'. Second, teacher as researcher was 'the confluence' of theoretical river and practical river. But teacher as researcher didn't harmonize identity and role of school teacher and identity and role of researcher. Third, researcher as teacher was 'intersecting point' that educational theories and praxes overlapping in the spatial-temporal and sociocultural grid.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teaching skill of a school teacher is rooted in personal and local theorizing in pedagogical practices of everyday life. Therefore, teacher-researcher should be a local theorist who try to theorize on his/her practice.
      번역하기

      This paper describes the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of a teacher-researcher who had experienced a research journey from a school teacher to an education researcher through autoethnography, which is a form of self-study. The aim of this pape...

      This paper describes the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of a teacher-researcher who had experienced a research journey from a school teacher to an education researcher through autoethnography, which is a form of self-study.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educational insight for facilitating teacher research by my personal narrative, which was based on voice, self-reflection, and reflexivity.
      This study expressed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that were derived from educational theory and educational praxis of a teacher-researcher through three metaphoric concepts such as 'parallel', 'the confluence', and 'intersecting point'.
      First, teacher researcher as practitioner represented estrangement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xis as a disparate 'parallel'. Second, teacher as researcher was 'the confluence' of theoretical river and practical river. But teacher as researcher didn't harmonize identity and role of school teacher and identity and role of researcher. Third, researcher as teacher was 'intersecting point' that educational theories and praxes overlapping in the spatial-temporal and sociocultural grid.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teaching skill of a school teacher is rooted in personal and local theorizing in pedagogical practices of everyday life. Therefore, teacher-researcher should be a local theorist who try to theorize on his/her prac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현장교사에서 교육연구자로 되어가는 연구 여정에서 저자가 직접적으로 체험한 교사 연구자로서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을 자기연구의 하나인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이야기하였다. 나는 자신의 목소리와 자기반성, 그리고 반영성에 기초한 개인적 이야기를 통해 교사 연구자의 역할과 관점을 논의함으로써 교사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적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교육이론과 교육실천 사이에서 형성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을 세 가지의 은유로 이야기를 하였다. 첫째, 실천가로서의 교사 연구자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관계를 마치 만날 수 없는 ‘평행선’으로 비유하였다. 둘째, 연구자로서의 교사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만나는 ‘합류점’으로 비유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로서의 교사는 이중적인 역할과 관점을 조화시키는 과정에서 한계를 경험하였다. 셋째, 교사로서의 연구자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특정한 시공간적, 사회문화적 그리드에서 교차적으로 구성되는 ‘교차점’으로 비유할 수 있었다.
      현장교사의 실제적인 교수기술의 향상은 수많은 교수경험에 기초한 반성적이고 국지적인 이론화 작업을 통해서 가능하다. 따라서 교사 연구자는 자신의 실천 속에서 이론화 작업을 시도하는 국지적인 이론가(local theorist)로 거듭나야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현장교사에서 교육연구자로 되어가는 연구 여정에서 저자가 직접적으로 체험한 교사 연구자로서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을 자기연구의 하나인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이야기하였...

      이 글은 현장교사에서 교육연구자로 되어가는 연구 여정에서 저자가 직접적으로 체험한 교사 연구자로서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을 자기연구의 하나인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이야기하였다. 나는 자신의 목소리와 자기반성, 그리고 반영성에 기초한 개인적 이야기를 통해 교사 연구자의 역할과 관점을 논의함으로써 교사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적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교육이론과 교육실천 사이에서 형성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을 세 가지의 은유로 이야기를 하였다. 첫째, 실천가로서의 교사 연구자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관계를 마치 만날 수 없는 ‘평행선’으로 비유하였다. 둘째, 연구자로서의 교사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만나는 ‘합류점’으로 비유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로서의 교사는 이중적인 역할과 관점을 조화시키는 과정에서 한계를 경험하였다. 셋째, 교사로서의 연구자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특정한 시공간적, 사회문화적 그리드에서 교차적으로 구성되는 ‘교차점’으로 비유할 수 있었다.
      현장교사의 실제적인 교수기술의 향상은 수많은 교수경험에 기초한 반성적이고 국지적인 이론화 작업을 통해서 가능하다. 따라서 교사 연구자는 자신의 실천 속에서 이론화 작업을 시도하는 국지적인 이론가(local theorist)로 거듭나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혁규, "현장연구지원제도의 현황과 개선 방향" 5 (5): 119-158, 2002

      2 이용숙, "현장 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고찰:다섯 가지 유형의 현장연구 설계와 사례" 5 (5): 83-116, 2002

      3 김진희, "현장 실천가 의미: 수업 연구를 위한 교사와 연구자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1-22, 2005

      4 류태호, "한국스포츠교육학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담론" 10 (10): 65-79, 2003

      5 이희용, "한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성장 체험: 자기 이야기(self-narrative)"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131-170, 2007

      6 최의창, "학교교육의 개선, 교사연구자, 그리고 현장개선연구" 16 (16): 373-399, 1998

      7 이동성,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학생지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141-168, 2010

      8 이동성, "초등학교 교실수업의 문화적 특징과 전개형태에 대한 해석적 연구" 부산대학교 2009

      9 황선철,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연구대회 참여 및 결과물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곽은창, "체육교육 연구자와 현장 교사의 협력연구 네트웍 구축 활성화 방안" 8 (8): 147-160, 2001

      1 이혁규, "현장연구지원제도의 현황과 개선 방향" 5 (5): 119-158, 2002

      2 이용숙, "현장 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고찰:다섯 가지 유형의 현장연구 설계와 사례" 5 (5): 83-116, 2002

      3 김진희, "현장 실천가 의미: 수업 연구를 위한 교사와 연구자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1-22, 2005

      4 류태호, "한국스포츠교육학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담론" 10 (10): 65-79, 2003

      5 이희용, "한 고등학교 국어 교사의 성장 체험: 자기 이야기(self-narrative)"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131-170, 2007

      6 최의창, "학교교육의 개선, 교사연구자, 그리고 현장개선연구" 16 (16): 373-399, 1998

      7 이동성,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학생지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141-168, 2010

      8 이동성, "초등학교 교실수업의 문화적 특징과 전개형태에 대한 해석적 연구" 부산대학교 2009

      9 황선철,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연구대회 참여 및 결과물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곽은창, "체육교육 연구자와 현장 교사의 협력연구 네트웍 구축 활성화 방안" 8 (8): 147-160, 2001

      11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Ⅲ:글쓰기의 모든 것" 아카데미프레스 2010

      12 박순용,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적 특징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적 가치의 탐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55-79, 2010

      13 류수진, "연구자로서의 미술교사 되어가기 과정에 관한 체험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조재식, "연구자로서의 교사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5 (5): 193-225, 2002

      15 양은주, "연구자로서의 교사 개념과 대안적 교실 실천"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03-221, 2003

      16 이소연, "연구자로서의 교사 : 중학교 사회과 신임교사(사회전공)의 수업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7 (37): 95-132, 2005

      17 배주연, "삶의 속성으로서의 교사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8 김영천, "별이 빛나는 밤: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문음사 2005

      19 이정선, "교사의 실천적 교수지식 및 형성방안" 한국교육인류학회 8 (8): 211-239, 2005

      20 노진아, "교사 연구자들의 연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과교육연구소 13 (13): 669-695, 2009

      21 佐藤學, "敎師の實踐的思考の中の心理學, in 心理學と敎育實踐の間で" 東京大學出版會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nthropology of Education -> The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 1.90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