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만남 - 쟁점과 가능성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ssues surround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academia of history education. A decade ago, discussion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egan by critically reflecting established discourses of history education; recently, those discussions have been expanded to various research topics. However, some scholars have been concerned with them, and they particularly disagreed with the specific ways to implemen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history education. Thus, in this paper, we examined how history education could be integrated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bove all, we discussed the meanings of democracy, democratic education, 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concepts should be the basis for further discussion.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specific contexts that the discourse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tarted in Korean academia, and then critically reviewed the multiple discussion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inally, we argued that the values of history as the humanities are in line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ssues surround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academia of history education. A decade ago, discussion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egan by critically reflecting established discourses of his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ssues surround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academia of history education. A decade ago, discussion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egan by critically reflecting established discourses of history education; recently, those discussions have been expanded to various research topics. However, some scholars have been concerned with them, and they particularly disagreed with the specific ways to implemen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history education. Thus, in this paper, we examined how history education could be integrated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bove all, we discussed the meanings of democracy, democratic education, 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concepts should be the basis for further discussion.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specific contexts that the discourse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tarted in Korean academia, and then critically reviewed the multiple discussion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inally, we argued that the values of history as the humanities are in line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
      • 2. 논의의 토대: 민주시민교육의 등장과 개념
      • 3. 기존 역사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
      • 4. 민주시민교육은 ‘민주주의 가르치기’?
      • 5. 민주시민교육을 지향하는 역사교육의 가능성
      • 1. 문제제기
      • 2. 논의의 토대: 민주시민교육의 등장과 개념
      • 3. 기존 역사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
      • 4. 민주시민교육은 ‘민주주의 가르치기’?
      • 5. 민주시민교육을 지향하는 역사교육의 가능성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화정,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1987년 이후의 역사’ 서술의 필요성과 구성방안 모색" 한국역사교육학회 (30) : 81-114, 2018

      2 정선영, "학습자중심 역사교육의 과제와 방향" 26 : 2001

      3 방지원, "학습내용구성 관점에서 본 최근 역사교육의 민주시민교육논의 : 대안적 구성 방향의 모색" 역사교육학회 (69) : 3-41, 2018

      4 송호정, "학교에서의 한국고대사 교육 현황과 교과서 서술의 올바른 방향" 한국고대사학회 (84) : 263-301, 2016

      5 존듀이, "하우 위 싱크―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학이시습 2011

      6 신진균,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구성적 특성과 역사교육에의 적용" 한국역사교육학회 (4) : 159-195, 2006

      7 주웅영, "초등 교실 역사수업의 구성주의 학습을 위한 전제 -핀란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73) : 69-113, 2020

      8 김한종, "참여민주주의를 위한 역사교육의 방향" 23 : 2014

      9 윤진,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오는 서양 고대사 서술의 문제" 호서사학회 (50) : 187-204, 2008

      10 나미란, "인권 관점에 의한 3・1운동 수업 구성과 실천" 한국역사교육학회 (30) : 115-167, 2018

      1 강화정,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1987년 이후의 역사’ 서술의 필요성과 구성방안 모색" 한국역사교육학회 (30) : 81-114, 2018

      2 정선영, "학습자중심 역사교육의 과제와 방향" 26 : 2001

      3 방지원, "학습내용구성 관점에서 본 최근 역사교육의 민주시민교육논의 : 대안적 구성 방향의 모색" 역사교육학회 (69) : 3-41, 2018

      4 송호정, "학교에서의 한국고대사 교육 현황과 교과서 서술의 올바른 방향" 한국고대사학회 (84) : 263-301, 2016

      5 존듀이, "하우 위 싱크―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학이시습 2011

      6 신진균,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구성적 특성과 역사교육에의 적용" 한국역사교육학회 (4) : 159-195, 2006

      7 주웅영, "초등 교실 역사수업의 구성주의 학습을 위한 전제 -핀란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73) : 69-113, 2020

      8 김한종, "참여민주주의를 위한 역사교육의 방향" 23 : 2014

      9 윤진,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오는 서양 고대사 서술의 문제" 호서사학회 (50) : 187-204, 2008

      10 나미란, "인권 관점에 의한 3・1운동 수업 구성과 실천" 한국역사교육학회 (30) : 115-167, 2018

      11 정진아, "유신체제 국가주의, 반공주의 교육의 내면 : 국민학교 사회·국사·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3 : 37-71, 2018

      12 샘 와인버그, "왜 역사를 배워야 할까? 내손안에 스마트폰이 있는데" 휴머니스트 2019

      13 정기문,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책과함께 2013

      14 샘 와인버그, "역사적 사고와 역사교육" 책과함께 2006

      15 키쓰바튼, "역사는 왜 가르쳐야 하는가―민주시민을 키우는 새로운 역사교육" 역사비평사 2017

      16 양정현, "역사교사의 교수⋅학습 설계에서 미래에 대한 상상력과 참여의식: 4.19를 통해서 본 민주주의 담론과 참여의식" 과학교육연구소 55 (55): 526-536, 2016

      17 임병철,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쟁, 그 이후?" 한국역사교육학회 (24) : 255-290, 2016

      18 임병철, "역사 없는 역사교육 - 갈림길 위의 역사교육학을 위한 제언 -" 한국역사교육학회 (31) : 401-434, 2018

      19 조한욱, "역사 교육과 시민성 교육" 중앙사학연구소 (46) : 489-510, 2017

      20 강화정, "역사 교사의 민주주의 인식과 서사 형성" 한국역사교육학회 (21) : 47-87, 2015

      21 류현종, "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천" 책과함께 2019

      22 김한종, "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천" 책과함께 2019

      23 윤세병, "세계사 교육의 내용선정 기준으로서의 민주주의―중국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89-128, 2014

      24 김육훈, "민주화 운동사·민주주의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16 : 2017

      25 존듀이, "민주주의와 교육/철학의 개조" 동서문화사 2016

      26 황현정, "민주주의 요소로 본 역사교육 내용 선정 원리"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49-88, 2014

      27 이해영, "민주시민교육을 실천하는 역사교사의 수업사례 연구" 26 : 2017

      28 김한종, "민주사회와 시민을 위한 역사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17

      29 고유경, "민주사회를 위한 역사교육의 기여: 독일 대통령배 역사경연대회" 역사학회 (230) : 239-272, 2016

      30 김육훈, "민주공화국의 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시론"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197-237, 2013

      31 백은진, "민주 시민 양성을 위한 역사교육: 접점과 간극"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961-980, 2019

      32 김진아, "미국에서 논쟁 수업을 둘러싼 논의 -민주주의 시민교육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34) : 47-91, 2019

      33 이병련, "독일 역사수업에서의 다원적 관점" 한국독일사학회 (32) : 71-107, 2016

      34 양정현, "국정화 폐지 이후 역사교육의 전망과 방향 모색" 한국역사교육학회 (28) : 7-35, 2017

      35 나인호, "국사를 넘어선 역사교육" 대구사학회 124 : 243-270, 2016

      36 이신철, "국사 교과서 정치도구화의 역사 ―이승만ㆍ박정희 독재정권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97) : 177-209, 2006

      37 최용규, "구성주의 학습을 위한 역사교과서 내용구성 방안" 73 : 2000

      38 이해영, "교사들이 생각하는민주주의 역사교육내용 구성과 적용 가능성 탐색 - 전근대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29) : 45-86, 2017

      39 최재영,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중국고중세사 서술 - 역사 용어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42) : 1-21, 2017

      40 김강훈,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高句麗 滅亡期 및 復興運動 서술 분석과 제안" 역사교육학회 (68) : 75-114, 2018

      41 황현정, "가치를 다루는 역사수업의 실제와 가능성 - 민주시민 교육을 위한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24) : 213-254, 2016

      42 이은정, "『세계사』 교과서 속의 오스만 제국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교육연구회 (142) : 159-191, 2017

      43 김육훈, "‘민주시민형성을 위한 역사교육’을 제안한다" 17 : 2018

      44 방지원, "‘국민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주체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 향후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진로 모색" 한국역사교육학회 (22) : 77-113, 2015

      45 임상우, "‘과학적’ 역사학과 국가주의 역사서술" 역사학회 (224) : 85-107, 2014

      46 Kim, Sungmoon, "The Virtue of Incivility: Confucian Communitarianism Beyond Docility" 37 (37): 2011

      47 Seixas, Peter, "The Community of Inquiry as a Basis for Knowledge and Learning: The Case of History" 33 (33): 1993

      48 Lee, Peter, "Teaching History" Routledge 1994

      49 Parker, Walter, "Teaching Democracy: Unity and Diversity in Public Life" Teachers College Press 2003

      50 Mutua ,Makau, "Human Rights: A Political and Cultural Critiqu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2

      51 김민수, "<동아시아사> 관점에서 구성한 민주주의 수업: 비교사와 연관사의 관점에서 접근한 『동아시아사』 수업안"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385-426, 2014

      52 박현숙,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1)』 교과서의 백제사 쟁점에 대한 서술 검토" 한국고대학회 (46) : 77-10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1.637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