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그림책 비판적 읽기 수업이 초등영어 쓰기 능력 및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427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critical read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This research is especially focused on critical reading based on critical reading strategies followed by writing activ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First, in which aspect would elementary students' writing abilities change when reading picture books critically?
      Second, in which aspect would elementary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change when reading picture books critically?
      Third, which changes would appear in affective domain when reading picture books critically?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mentioned abov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4th grade classroom in Seoul, Korea.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32.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three picture books, which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three following conditions: linguistic level, familiarity of the topic and simplicity of the story structure. Each picture book was presented during six class sessions, therefor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roughout 18 class sessions. The critical reading was done in the order of a five-step procedure: pre-reading, reading, responding, exploring and applying. The specific activities of the lessons were learning key words, activating background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tory, reading the story, analyzing the story's literary components, answering problem-posing questions, writing alternative opinions, discussing characters, finding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in the story and writing alternative text by applying the problem solving methods. During the experiment, various data including questionnaires, reading and writing worksheets and interview videos were collected. These were processed according to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being qualitatively analyzed and supported by extra quantitative analysis in order to gain more reliability.
      The data analysis dre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earch verified the value of using picture books in learning how to write in English. After the experiment, students’ writing ability was enhanc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They seemed to be capable of using various vocabularies as they went through the experiment. Furthermore, they could practice the linguistic patterns including the sentence structure. Another verified value of critical reading based on picture books is the enhanced possibility of integrating students with different English levels in one class. In this research, participa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English level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showed that all groups developed positively in their English writing ability. For higher level students, they preferred the free writing activity which requires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rote learning activity which they often do in their school's English class. For middle level students, they paid attention to the illustrations and repetitive sentence structure in the picture books. As they read the repetitive sentence structure, they could understand the notion of the rules needed when writing sentences in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evel students reacted sensitively to the affective pressure of learning English. As a result, they showed signs of cognitive pressure during the experiment.
      Second, it was possible to rais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picture book based critical reading. After reading the chosen texts, students completed writing activities on worksheets which were created using critical reading strategies.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can be stated in three ways, which are 'analysing problems', 'observing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making inferences or drawing conclusion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higher critical thinking ability ended up enhancing problem solving capacity. This enhancement can be described in two ways: solving problems by consensus and solving problems by choosing a new solution.
      Third, a shift in the affective domain during the experiment was observed. The most noticeable change was the students' increased interest towards learning English. Furthermore, critical reading based on picture books raised students' self-efficacy in writing English. Thus students were confident in thinking critically and solving problems independen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some positive significances:
      First, it was possible to cover sufficient amount of written languages through the picture book based critical reading lessons. As they completed writing activities combined with reading lessons, their reading and writing were done efficiently.
      Second, not only was there improvement in learning English but also enhancing higher-order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were found achievable. During the experiment, developing various thinking skills was observed besides successful English learning.
      Third, this research has proved that it is possible to teach students with different English levels in a picture book-based critical reading lesson. It was possible because the lesson met students' various learning needs.
      Even thoug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however, it has a few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lacks generalizability in that it does not have a comparison group. Second, the degree of enhancement in English writing ability upon different English level groups wasn't equivalent. All three groups (higher, middle, lower) improved in their English writing. Nevertheless, this study couldn't find specific way which leads to equivalent degree of enhancement in all groups.
      Based on the conclusions above, some of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given for follow-up studies:
      First, picture book-based critical reading lessons need to be integrated into the regular English curriculum. Therefore, the settings for observing its long term educational effects can be set. Moreover, this combination would facilitate picture book-based teaching that meets each grade's achievement standard.
      Second, students should be accustomed to expressing their own opinions in English. When dealing with critical thinking, they need to grasp their own points precisely about the given topic and deliver them in linguistic means to others. In order to make this possible, they should practice describing their opinions using their own words in common English lessons.
      Lastly, systematic lesson plans should be prepared for high quality critical reading lessons. In this research, three sets of the same activities were done while reading three different picture books. If activities that are designed for a specific topic are given for each different picture books, then various types of higher-order thinking will be enhanced and available. Furthermore, if different writing activities are given to each different English level students, not only will the lower level students improve but also the middle and higher level students will be able to show growth in their English writing abi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critical read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This research is especially focused on critical reading based on critical rea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critical read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This research is especially focused on critical reading based on critical reading strategies followed by writing activ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First, in which aspect would elementary students' writing abilities change when reading picture books critically?
      Second, in which aspect would elementary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ies change when reading picture books critically?
      Third, which changes would appear in affective domain when reading picture books critically?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mentioned abov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4th grade classroom in Seoul, Korea.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32.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three picture books, which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three following conditions: linguistic level, familiarity of the topic and simplicity of the story structure. Each picture book was presented during six class sessions, therefor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roughout 18 class sessions. The critical reading was done in the order of a five-step procedure: pre-reading, reading, responding, exploring and applying. The specific activities of the lessons were learning key words, activating background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tory, reading the story, analyzing the story's literary components, answering problem-posing questions, writing alternative opinions, discussing characters, finding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in the story and writing alternative text by applying the problem solving methods. During the experiment, various data including questionnaires, reading and writing worksheets and interview videos were collected. These were processed according to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being qualitatively analyzed and supported by extra quantitative analysis in order to gain more reliability.
      The data analysis dre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earch verified the value of using picture books in learning how to write in English. After the experiment, students’ writing ability was enhanc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They seemed to be capable of using various vocabularies as they went through the experiment. Furthermore, they could practice the linguistic patterns including the sentence structure. Another verified value of critical reading based on picture books is the enhanced possibility of integrating students with different English levels in one class. In this research, participa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English level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showed that all groups developed positively in their English writing ability. For higher level students, they preferred the free writing activity which requires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rote learning activity which they often do in their school's English class. For middle level students, they paid attention to the illustrations and repetitive sentence structure in the picture books. As they read the repetitive sentence structure, they could understand the notion of the rules needed when writing sentences in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evel students reacted sensitively to the affective pressure of learning English. As a result, they showed signs of cognitive pressure during the experiment.
      Second, it was possible to rais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picture book based critical reading. After reading the chosen texts, students completed writing activities on worksheets which were created using critical reading strategies.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can be stated in three ways, which are 'analysing problems', 'observing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making inferences or drawing conclusion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higher critical thinking ability ended up enhancing problem solving capacity. This enhancement can be described in two ways: solving problems by consensus and solving problems by choosing a new solution.
      Third, a shift in the affective domain during the experiment was observed. The most noticeable change was the students' increased interest towards learning English. Furthermore, critical reading based on picture books raised students' self-efficacy in writing English. Thus students were confident in thinking critically and solving problems independen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some positive significances:
      First, it was possible to cover sufficient amount of written languages through the picture book based critical reading lessons. As they completed writing activities combined with reading lessons, their reading and writing were done efficiently.
      Second, not only was there improvement in learning English but also enhancing higher-order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were found achievable. During the experiment, developing various thinking skills was observed besides successful English learning.
      Third, this research has proved that it is possible to teach students with different English levels in a picture book-based critical reading lesson. It was possible because the lesson met students' various learning needs.
      Even thoug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however, it has a few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lacks generalizability in that it does not have a comparison group. Second, the degree of enhancement in English writing ability upon different English level groups wasn't equivalent. All three groups (higher, middle, lower) improved in their English writing. Nevertheless, this study couldn't find specific way which leads to equivalent degree of enhancement in all groups.
      Based on the conclusions above, some of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given for follow-up studies:
      First, picture book-based critical reading lessons need to be integrated into the regular English curriculum. Therefore, the settings for observing its long term educational effects can be set. Moreover, this combination would facilitate picture book-based teaching that meets each grade's achievement standard.
      Second, students should be accustomed to expressing their own opinions in English. When dealing with critical thinking, they need to grasp their own points precisely about the given topic and deliver them in linguistic means to others. In order to make this possible, they should practice describing their opinions using their own words in common English lessons.
      Lastly, systematic lesson plans should be prepared for high quality critical reading lessons. In this research, three sets of the same activities were done while reading three different picture books. If activities that are designed for a specific topic are given for each different picture books, then various types of higher-order thinking will be enhanced and available. Furthermore, if different writing activities are given to each different English level students, not only will the lower level students improve but also the middle and higher level students will be able to show growth in their English writing 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및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특히 비판적 읽기 전략에 따라 그림책을 비판적으로 읽고 쓰기 활동을 하는 경우의 영어 쓰기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의 성장에 중점을 두어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에서 초등영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영어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에서 초등영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영어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을 통해 나타나는 초등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의 변화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S시 소재 G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 3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수업은 그림책 3권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활용한 텍스트 3권은 학습자들의 언어적 수준을 고려한 것으로, 학습자들이 직·간접적으로 경험했을 법한 주제를 다룬 텍스트 중 쉬운 이야기 구조를 갖춘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실험 수업은 텍스트 한 권당 6차시 수업으로 진행되어 총 18차시의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실험 수업은 읽기의 5단계 과정인 읽기 전 단계, 읽기 단계, 반응하기 단계, 탐색하기 단계, 적용하기 단계 순서로 진행됐다. 실험 수업의 구체적 활동은 주요 어휘 학습, 텍스트와 관련된 배경지식 활성화 및 동기유발, 텍스트 읽기, 문학적 요소 살피기, 문제제기식 질문 답하기, 대안적 마음 쓰기, 주인공 행동에 대해 찬성·반대 토론하기, 문제 해결방법 분석하기, 문제 해결방법 떠올리기, 결말 바꿔 쓰기 순서대로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사전·사후 설문지, 사전·사후 쓰기 평가지, 독서 활동지, 수업 소감문, 교사 관찰 일지, 학생 면담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뒤 질적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양적 분석을 하는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영어 쓰기 학습에서 그림책 활용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에서 다양한 쓰기 활동을 한 결과,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였다. 학습자들은 그림책 활용 수업을 통해 다양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그림책을 읽음으로써 영어의 문장구조를 비롯한 영어의 언어적 규칙을 익힐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은 수준별 쓰기 학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사전 쓰기 평가 점수에 따라 연구 대상을 하집단, 중집단, 상집단으로 나눠 사전·사후 쓰기 능력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에서 쓰기 능력의 성장이 확인되었다. 상집단 학생들의 경우, 기계적인 학습에 머무는 정규 영어 수업보다 자유 작문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활동을 더 선호하였다. 중집단 학생들은 그림책 속 삽화와 반복되는 문장 구조에 관심을 보였다.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문장 구조를 읽으면서 문장 구조를 익힐 수 있었다. 하집단 학생들의 경우,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영어 쓰기 능력이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다른 집단과는 달리 영어에 대한 정의적 부담감과 실험 수업에 대한 인지적 부담감을 느꼈다.
      둘째,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었다. 선정된 텍스트를 읽은 후, 비판적 읽기 전략을 토대로 제작된 독서 활동지에 글을 쓰면서 학생들은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 양상은 ‘문제 분석하기’,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기’, ‘추론하기 및 결론 내리기’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은 더 나아가 문제해결력의 신장으로 이어졌다. 문제해결력의 발달 양상은 ‘합의에 따른 문제 해결’과 ‘새로운 선택에 따른 문제 해결’로 정리할 수 있었다.
      셋째,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을 통해 정의적 영역의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초등영어 학습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은 영어 쓰기에 대한 효능감을 높였다. 또한, 학생들은 실험 수업 후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을 보였다.
      그림책을 기반으로 진행된 비판적 읽기 수업에 대한 본 연구가 초등영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와 쓰기가 통합한 문자언어 학습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은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에서 문자언어를 충분히 학습할 수 있었다. 읽기 활동과 쓰기 활동을 함께 함으로써 효율적인 읽기, 쓰기 학습이 가능하였다.
      둘째, 영어 수업을 통한 고차사고력 신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은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에서 영어 학습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차사고력까지 함양할 수 있었다. 영어 수업을 통해 영어 교과 목표인 영어 학습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셋째, 하나의 수업으로 수준별 학습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은 하나의 수업으로 다양한 학습 수준의 학생들의 학습 요구를 충족시켜주었다. 이를 통해 단일 수업에서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이 함께 학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가 위와 같이 초등영어 교육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시함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실험 집단만 설정한 연구로 비교 집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높다고 할 수 없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쓰기 능력의 신장은 학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상집단, 중집단, 하집단 학생들 모두 쓰기 능력이 신장되었지만, 모든 집단에서 일정 정도 이상의 쓰기 능력의 신장이 가능한 지도 방법을 밝혀내진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관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이 정규 영어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어과 교육과정과의 통합이 필요하다. 장기간에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환경이 조성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또한 각 학년별 성취 기준에 부합하는 그림책 활용 수업을 위해서 영어과 교육과정과 통합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평소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활동을 할 필요가 있다.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정해진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언어적 수단으로 표현할 줄 알아야 한다. 따라서 평소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의견이나 생각을 자신의 언어적 수준에 맞는 표현을 활용하여 타인에게 전달하는 연습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질 높은 비판적 읽기 수업을 위한 체계적인 수업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 권의 그림책을 읽고 동일한 유형의 활동으로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각기 다른 주제를 다룬 그림책을 읽고 그 주제에 알맞은 쓰기 활동을 다양하게 진행한다면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 상황에 대한 고차사고력의 신장이 가능할 것이다. 동시에 수준별로 적합한 쓰기 활동을 다양하게 계획하여 제시한다면 하집단 학생들뿐만 아니라 중집단과 상집단 학생들도 일정 수준 이상의 쓰기 능력의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및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특히 비판적 읽기 전략에 따라 그림책...

      본 연구는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및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특히 비판적 읽기 전략에 따라 그림책을 비판적으로 읽고 쓰기 활동을 하는 경우의 영어 쓰기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의 성장에 중점을 두어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에서 초등영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영어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에서 초등영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영어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을 통해 나타나는 초등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의 변화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S시 소재 G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 3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수업은 그림책 3권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활용한 텍스트 3권은 학습자들의 언어적 수준을 고려한 것으로, 학습자들이 직·간접적으로 경험했을 법한 주제를 다룬 텍스트 중 쉬운 이야기 구조를 갖춘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실험 수업은 텍스트 한 권당 6차시 수업으로 진행되어 총 18차시의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실험 수업은 읽기의 5단계 과정인 읽기 전 단계, 읽기 단계, 반응하기 단계, 탐색하기 단계, 적용하기 단계 순서로 진행됐다. 실험 수업의 구체적 활동은 주요 어휘 학습, 텍스트와 관련된 배경지식 활성화 및 동기유발, 텍스트 읽기, 문학적 요소 살피기, 문제제기식 질문 답하기, 대안적 마음 쓰기, 주인공 행동에 대해 찬성·반대 토론하기, 문제 해결방법 분석하기, 문제 해결방법 떠올리기, 결말 바꿔 쓰기 순서대로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사전·사후 설문지, 사전·사후 쓰기 평가지, 독서 활동지, 수업 소감문, 교사 관찰 일지, 학생 면담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뒤 질적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양적 분석을 하는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영어 쓰기 학습에서 그림책 활용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에서 다양한 쓰기 활동을 한 결과,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였다. 학습자들은 그림책 활용 수업을 통해 다양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그림책을 읽음으로써 영어의 문장구조를 비롯한 영어의 언어적 규칙을 익힐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은 수준별 쓰기 학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사전 쓰기 평가 점수에 따라 연구 대상을 하집단, 중집단, 상집단으로 나눠 사전·사후 쓰기 능력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에서 쓰기 능력의 성장이 확인되었다. 상집단 학생들의 경우, 기계적인 학습에 머무는 정규 영어 수업보다 자유 작문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활동을 더 선호하였다. 중집단 학생들은 그림책 속 삽화와 반복되는 문장 구조에 관심을 보였다.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문장 구조를 읽으면서 문장 구조를 익힐 수 있었다. 하집단 학생들의 경우,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영어 쓰기 능력이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다른 집단과는 달리 영어에 대한 정의적 부담감과 실험 수업에 대한 인지적 부담감을 느꼈다.
      둘째,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었다. 선정된 텍스트를 읽은 후, 비판적 읽기 전략을 토대로 제작된 독서 활동지에 글을 쓰면서 학생들은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 양상은 ‘문제 분석하기’,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기’, ‘추론하기 및 결론 내리기’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은 더 나아가 문제해결력의 신장으로 이어졌다. 문제해결력의 발달 양상은 ‘합의에 따른 문제 해결’과 ‘새로운 선택에 따른 문제 해결’로 정리할 수 있었다.
      셋째,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을 통해 정의적 영역의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초등영어 학습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은 영어 쓰기에 대한 효능감을 높였다. 또한, 학생들은 실험 수업 후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을 보였다.
      그림책을 기반으로 진행된 비판적 읽기 수업에 대한 본 연구가 초등영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와 쓰기가 통합한 문자언어 학습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은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에서 문자언어를 충분히 학습할 수 있었다. 읽기 활동과 쓰기 활동을 함께 함으로써 효율적인 읽기, 쓰기 학습이 가능하였다.
      둘째, 영어 수업을 통한 고차사고력 신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은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에서 영어 학습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차사고력까지 함양할 수 있었다. 영어 수업을 통해 영어 교과 목표인 영어 학습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셋째, 하나의 수업으로 수준별 학습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은 하나의 수업으로 다양한 학습 수준의 학생들의 학습 요구를 충족시켜주었다. 이를 통해 단일 수업에서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이 함께 학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가 위와 같이 초등영어 교육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시함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실험 집단만 설정한 연구로 비교 집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높다고 할 수 없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쓰기 능력의 신장은 학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상집단, 중집단, 하집단 학생들 모두 쓰기 능력이 신장되었지만, 모든 집단에서 일정 정도 이상의 쓰기 능력의 신장이 가능한 지도 방법을 밝혀내진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관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이 정규 영어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어과 교육과정과의 통합이 필요하다. 장기간에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환경이 조성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또한 각 학년별 성취 기준에 부합하는 그림책 활용 수업을 위해서 영어과 교육과정과 통합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평소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활동을 할 필요가 있다.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정해진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언어적 수단으로 표현할 줄 알아야 한다. 따라서 평소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의견이나 생각을 자신의 언어적 수준에 맞는 표현을 활용하여 타인에게 전달하는 연습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질 높은 비판적 읽기 수업을 위한 체계적인 수업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 권의 그림책을 읽고 동일한 유형의 활동으로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각기 다른 주제를 다룬 그림책을 읽고 그 주제에 알맞은 쓰기 활동을 다양하게 진행한다면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 상황에 대한 고차사고력의 신장이 가능할 것이다. 동시에 수준별로 적합한 쓰기 활동을 다양하게 계획하여 제시한다면 하집단 학생들뿐만 아니라 중집단과 상집단 학생들도 일정 수준 이상의 쓰기 능력의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Ⅶ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5
      • 논문요약 Ⅶ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5
      • 1. 그림책에 대한 이해 5
      • 가. 그림책과 삽화 5
      • 나. 영어 학습에서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 6
      • 2. 비판적 읽기와 비판적 사고력 8
      • 가. 비판적 교육학 8
      • 나. 비판적 읽기 9
      • 다. 비판적 사고력 11
      • 라. 비판적 읽기 전략 12
      • 1) 문제제기식 질문 13
      • 2) 동의 혹은 반대 15
      • 3) 대안적 관점 15
      • 3. 초등영어 쓰기 교육의 중요성 16
      • Ⅲ. 연구 방법 19
      • 1. 연구 절차 및 기간 19
      • 2. 연구 대상 20
      • 3. 연구 설계 22
      • 가. 텍스트 선정 22
      • 1) Princess Smartypants 24
      • 2) Click Clack Moo Cows That Type 25
      • 3) The Stray Dog 25
      • 나. 수업 설계 25
      • 4. 자료 수집 28
      • 가. 사전·사후 설문지 28
      • 나. 사전·사후 쓰기 평가지 29
      • 다. 독서 활동지 29
      • 라. 수업 소감문 30
      • 마. 교사 관찰 일지 30
      • 바. 학생 면담 자료 31
      • 5. 자료 분석 31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5
      • 1. 영어 쓰기 학습에서 그림책 활용의 가치 35
      • 가. 그림책을 활용한 쓰기 학습의 효과 35
      • 나. 그림책을 활용한 수준별 쓰기 학습의 가능성 39
      • 2. 그림책 비판적 읽기 수업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 44
      • 가. 그림책을 활용한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 44
      • 나. 비판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력의 신장 56
      • 3. 그림책 기반 비판적 읽기 수업을 통한 정의적 영역의 변화 64
      • 가.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도와 난이도의 변화 65
      • 나. 영어 쓰기에 대한 자신감과 효능감의 변화 68
      • 다.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의 변화 71
      • Ⅴ. 결론 및 제언 77
      • 참고문헌 82
      • 영문초록 88
      • 부록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