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는 표정이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하고 개성 있는 모습으로 연출되기 때문에 그를 표현 대상으로 하는 메이크업의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눈썹의 경우 얼굴의 작은 부위 중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48766
용인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디자인학과 뷰티예술디자인전공 , 2023. 2
2023
한국어
646.72 판사항(23)
경기도
The Effect of Motivation of Getting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Treatment on the Middle-aged Women's Treatment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v, 48 장 : 삽화 ; 30cm.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재천
참고문헌 : 장 38-41
I804:11017-00000019864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외모는 표정이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하고 개성 있는 모습으로 연출되기 때문에 그를 표현 대상으로 하는 메이크업의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눈썹의 경우 얼굴의 작은 부위 중 하...
외모는 표정이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하고 개성 있는 모습으로 연출되기 때문에 그를 표현 대상으로 하는 메이크업의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눈썹의 경우 얼굴의 작은 부위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인상을 결정하는 요소라 말할 만큼 중요하다. 눈썹의 모양, 두께, 색상 등은 인상이나 성격을 보여주기 때문에 눈썹 디자인의 변화만으로도 효과적으로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다.
반영구 화장은 메이크업을 하여 지속시킬 수 있는 화장기법으로 바쁜 일상에서 화장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숙련된 전문가를 통해 자신에게 어울리는 반영구 화장 시술 받음으로써 외모에 대한 만족감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눈썹 반영구메이크업은 피시술자의 전체적인 얼굴의 조화와 균형에 맞춰 디자인하고 피부 상부층에 천연색소를 주입하여 눈썹모양을 반영구적(1~3년 정도)으로 지속시켜주는 메이크업으로 특수메이크업의 한 분야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눈썹 반영구메이크업의 피시술동기가 시술만족도 및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같은 SNS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50~60대의 중년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절차는 반영구 눈썹화장을 시술받는 동기와 시술 만족도와 외모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 평정 및 검토를 통하여 설문지를 보완하였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 회수 후, 통계분석 후,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의 동기가 시술만족도와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조사를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시술만족도 및 외모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고, 피시술동기, 시술만족도, 외모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를 살펴본 결과, 눈썹화장에 대해 어려움을 줄이고, 눈썹 모양에 대한 만족감은 높이고, 콤플렉스 줄이기 위한 외모 단점보완 측면이 이미지 개선 측면, 대인지향 측면보다 상대적으로 큰 동기로 파악되었다.
둘째, 시술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가 도출되었으며, 눈썹 변화에 대한 만족, 단점 보완 및 자연스러움에 대한 만족, 눈썹 숱이나 비대칭 보완 만족, 눈썹 컬러나 디자인 만족, 주변 사람들에게 시술을 권할 의향도, 앞으로 보완 시술 계속 의향도, 실제 나이보다 어려 보이게 되는 만족도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모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가 도출되었으며, 매력 증가에 대한 만족, 원하는 외모 충족에 대한 만족, 타인이 자신의 외모에 호감을 느끼는 정도, 외모에 대한 자신감 상승 정도, 주변 사람들의 반응이 좋아진 정도, 거울에 비춰진 자신의 모습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이미지 개선, 대인지향에 대해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 배우자 유무, 직업, 월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동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술만족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외모만족도는 50~54세나 60세 이상에 비해 55~59세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년여성의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와 시술만족도, 외모만족도의 상관관련을 알아본 결과,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 하위요인인 외모단점보완, 이미지 개선, 대인지향은 시술만족도와 외모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술만족도와 외모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술만족도는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가 외모만족도의 매개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고 외모단점보완 동기, 이미지 개선 동기, 대인지향 동기가 외모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종합해보면 조사대상인 50~60대의 중년여성은 반영구 눈썹화장을 자신의 외모단점보완, 이미지 개선,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 개선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미용시술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이미지 개선, 대인지향에 대해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반영구 눈썹화장에 대한 인식과 시술 그리고 외모변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반영구 눈썹화장에 적극적인 의향을 가진 중년여성의 시술만족도가 높으며, 시술만족도가 높을수록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로 변화된 외모에 대해 더 많은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ortance of makeup as an expression object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because the appearance is often produced in various and individual ways depending on the expression or movement. With a sustainable makeup technique, one can shorten on...
The importance of makeup as an expression object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because the appearance is often produced in various and individual ways depending on the expression or movement.
With a sustainable makeup technique, one can shorten one’s makeup time in one’s busy daily schedule, and give one satisfaction with one’s appearance through makeup that suits one with the help of a skilled professional.
In the case of the eyebrows, it is important enough to say that it is the part that gives a strong impression among various parts of the face, and the shape, thickness, and color of the eyebrows can show the impression or character and effectively change the image.
Semi-permanent makeup for eyebrows is designed to match the harmony and balance of the entire face, and by injecting natural pigment into the upper layer of the skin, it is a makeup that maintains the shape of the eyebrows semi-permanently (about 1 to 3 years). It is a field of special make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on the procedur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otive for the procedure of middle-aged wom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s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who use SNS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data on the motivation for receiving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were collected, and a draft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e questionnaire was supplemented through expert evaluation and review,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conduct the survey.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 and after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for receiving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affects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and the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Based on this survey,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procedures and appeara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motivation for procedures, satisfaction with procedures,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s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otives of middle-aged women's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procedure showed that the aspect of compensating for shortcomings in appearance to reduce difficulties with eyebrow make-up, increase satisfaction with eyebrow shape, and reduce complex was relatively greater than image improvement aspect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aspect. identified as a motiv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high satisfaction was derived from all items. Satisfaction with eyebrow changes, satisfaction with shortcomings and naturalness, satisfaction with thinning eyebrows or asymmetry, satisfaction with eyebrow color or design, and recommendation for treatment to people arou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order of intention,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complementary treatment, and the satisfaction of making them look younger than their actual ag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appearance satisfaction, high satisfaction was derived in all items, satisfaction with increased attractiveness, satisfaction with desired appearance, the degree to which others feel favorable to one's appearance, the degree of confidence increase in appearance, and the It was found that they were satisfied in the order of the degree of response and satisfaction with their reflection in the mirror.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tivation for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oper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image improvement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no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in the 55-59-year-olds compared to the 50-54 or 60-year-olds.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operation motive, operation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the sub-factors of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operation motivation, such as improvement of appearance, image improvement,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procedur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ppeared to be rela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was also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with the appearance. In other words,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the motivation for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treatment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played a mediating role in appearance satisfaction.
In conclusion,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who are the subject of the survey perceive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smetic products that have an effect on improving their appearance, improving their image, and improving their interpersonal and social life. In addition, not only were the motivations high for interpersonal orientation, but overall, the perception of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and the perception of procedures and appearance changes were positively derived.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women with an active intention for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appearance changed by the procedure with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