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지역 조선업 협력업체 근로자들의 산업재해 관련요인 = Fact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Injuries of Ship-building Supply Workers in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56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조선업 협력업체의 재해율 및 재해자 특성을 파악하고,이들의 생활습관요인 및 사회 인구학적 요인을 포함하는 개인적 특성과,작업과 관련된 직업적 특성을 조사하여 산업재해 관...

      목적: 조선업 협력업체의 재해율 및 재해자 특성을 파악하고,이들의 생활습관요인 및 사회 인구학적 요인을 포함하는 개인적 특성과,작업과 관련된 직업적 특성을 조사하여 산업재해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5윌부터 7월까지,산업재해예방 안전교육을 실시한 부산지역 64개 조선업 협력 사업장의 생산직 근로자 1, 651명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직업적 특성,산업재해 특성에 관해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산업재해는 최근 5년 이내에 1회 이상 발생한 경우로 한정하였고,재해로 인한 요양일수에 따라 Group I(요양일수 4일 미만). Group II(요양일수 4일 이상). Group III (Group I+Group II)로 구분하여 재해 경험이 없는 군과 비교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요인들을 파악한 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보정된 교차비를 산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의 재해율은 2006년을 기준으로 전체 재해자가 125명, 7.57%, 4일 이상의 요양기간을 필요로 하는 재해자가 75명, 4.30%였다. 산업재해 발생건수는 취부 작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산업재해보상보험 처리비율은 4일 이상 요양을 한 재해자 중 30%였다. 산업재해와의 관련성에 있어서 Group I에서는 대졸이상의 교육수준(OR 2.78), 높은 피로도(OR 2.18), Group II에서는 5시간미만의 수면시간(OR 3.47), 높은 피로도(OR 2.79), 주 56시간 이상의 작업시간(OR 1.53), Group III에서는 대졸이상의 교육수준(OR 1.78), 5시간미만의 수면시간(OR 2.98), 내쁜 수면의 질(OR 1. 65), 높은 피로도(OR 2.58)가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 조선업 협력업체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를 통하여 5시간 미만의 수면시간,나쁜 수면의 질,높은 피로도,주 56시간 이상의 작업시간,대졸이상의 교육수준이 산업재해 관련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들 사업장의 산업재해발생과 관련해서 개인적 생활습관, 작업 환경 및 작업 조건을 개선하는 등의 산업 재해 관련요인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both personal and work-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injuries of ship-building supply workers in Busan, Korea.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sking both personal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both personal and work-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injuries of ship-building supply workers in Busan, Korea.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sking both personal and work-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injuries, was administered to 1,651 workers from 64 different ship-building supply companies in Busan, Korea. All occupational injuries had occurred within the previous 5 years. The worker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Group I, under 4 day-sick leave, Group II, 4 day-sick leave and over, and Group III, which consisted of both Groups I and II.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injuries underwent cross tabulation analysis for each group. Afterward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which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occurrence of occupational injuries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by using the SPSS 12.0 K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of occupational injuries was 4.30% in Group II and 7.57% in Group III. The work activities which had the most frequent occupational injuries were 'Fit-up' and 'Welding', and 30.0% of injured workers were covered by workers' compensation in Group II. According to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which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ccupational injury occurrence were education level above college (OR 2.78) and high level of fatigue (OR 2.18) in Group I, sleeping less than 5 hours per day (OR 3.47), high level of fatigue (OR 2.79) and working over 56 hours per week (OR 1.53) in Group II, and education level above college (OR 1.78), sleeping less than 5 hours per day (OR 2.98), poor sleep quality (OR 1.65) and high level of fatigue (OR 2.58) in Group III.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everal factors of ship-building supply workers such as sleep hours, sleep quality, fatigue, working hours, and educational level exerted a statistical effect on the occurrence of occupational injuries, In association with occupational injuries occurrence, these factors need to be controlled by proper methods such as effective safety education, work condition modification, and life style manage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