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고해상도 광학위성은 산불발생지역의 탐지에 대해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산불과 함께 발생하는 연기는 지표에 입사하는 가시광선을 산란시키므로 산불발생지역의 모니터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79765
2022
Korean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695-706(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 고해상도 광학위성은 산불발생지역의 탐지에 대해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산불과 함께 발생하는 연기는 지표에 입사하는 가시광선을 산란시키므로 산불발생지역의 모니터링...
중, 고해상도 광학위성은 산불발생지역의 탐지에 대해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산불과 함께 발생하는 연기는 지표에 입사하는 가시광선을 산란시키므로 산불발생지역의 모니터링에 방해가 되며 따라서 연기를 사전에 추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딥러닝 기술은 연기추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학습용 데이터셋의 부족으로 인해 적용에 한계가 있다. 반면에 연기와 유사하게 가시광선을 산란시키는 성질을 지닌 구름은 현재까지 다량의 학습용 데이터셋이 축적되었다. 본 연구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연기추출을 고도화하는 것이 그 목적이며, 그 과정에서 데이터셋의 부족에 따른 연기추출의 한계점을 구름을 활용한 전이학습으로 해결했다. 전이학습의 효율성 확인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Landsat-8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연기추출 학습용 데이터셋을 소규모로 제작한 후, 공공 구름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전이학습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연기추출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시광선 파장대역 뿐만이 아니라 근적외선(NIR)과 단파장 적외선(SWIR) 영역에도 전이학습시 성능이 뚜렷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연기추출의 데이터셋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더 나아가 연기추출의 고도화를 통해서 산불발생지역의 모니터링에 이점을 제시할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Wen, J., "Wildfire smoke plume segmentation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 imagery" 2021
2 Xie, M., "Transfer learning from deep features for remote sensing and poverty mapping" 2016
3 Irons, J. R., "The next Landsat satellite: The Landsat Data Continuity Mission" 122 : 11-21, 2012
4 Xie, Y., "Smoke plume detection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using MODIS" 28 (28): 2367-2374, 2007
5 Wang, Z., "Semantic segmentation and analysis on sensitive parameters of forest fire smoke using Smoke-Unet and Landsat-8 imagery" 14 (14): 45-, 2021
6 Ronneberger, O., "Medical Image Computing and Computer-Assisted Intervention – MICCAI 2015" Springer 234-241, 2015
7 Hughes, M.J., "High-quality cloud masking of Landsat 8 imagery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11 (11): 2591-, 2019
8 Long, J.,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2015
9 Li, X., "Forest fire smoke detection using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based on MODIS data" 7 (7): 4473-4498, 2015
10 Khan, S., "DeepSmoke: Deep learning model for smoke detection and segmentation in outdoor environments" 182 : 115125-, 2021
1 Wen, J., "Wildfire smoke plume segmentation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 imagery" 2021
2 Xie, M., "Transfer learning from deep features for remote sensing and poverty mapping" 2016
3 Irons, J. R., "The next Landsat satellite: The Landsat Data Continuity Mission" 122 : 11-21, 2012
4 Xie, Y., "Smoke plume detection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using MODIS" 28 (28): 2367-2374, 2007
5 Wang, Z., "Semantic segmentation and analysis on sensitive parameters of forest fire smoke using Smoke-Unet and Landsat-8 imagery" 14 (14): 45-, 2021
6 Ronneberger, O., "Medical Image Computing and Computer-Assisted Intervention – MICCAI 2015" Springer 234-241, 2015
7 Hughes, M.J., "High-quality cloud masking of Landsat 8 imagery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11 (11): 2591-, 2019
8 Long, J.,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2015
9 Li, X., "Forest fire smoke detection using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based on MODIS data" 7 (7): 4473-4498, 2015
10 Khan, S., "DeepSmoke: Deep learning model for smoke detection and segmentation in outdoor environments" 182 : 115125-, 2021
11 Wang, A. X., "Deep transfer learning for crop yield prediction with remote sensing data" 1-5, 2018
12 Yuan, F., "Deep smoke segmentation" 357 : 248-260, 2019
13 Mohajerani, S., "Cloud-Net: An endto-end cloud detection algorithm for Landsat 8 imagery" 2019
14 Mommert, M., "Characterization of industrial smoke plumes from remote sensing data" 2020
15 Li, X., "Automatic smoke detection in MODIS satellite data based on k-means clustering and Fisher linear discrimination" 80 (80): 971-982, 2014
16 Li, Z., "Automatic detection of fire smok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threshold approaches applied to AVHRR imagery" 39 (39): 1859-, 2001
습지대 변화 관측을 위한 ALOS-2 광대역 모드 적용 연구
시계열 토지피복도 제작을 위한 준감독학습 기반의 훈련자료 자동 추출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활용한 여름철 종관기상관측소의 기온과 바람 관측 환경 평가
RapidEye 영상정보의 지표반사도 생성을 위한 OTB Extension 개발과 정확도 검증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