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설립 50주년을 맞이하여, 기관지라고 할 수 있는 한국학논총에 수록된 조선시대사 논문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설립 50주년을 맞이하여, 기관지라고 할 수 있는 한국학논총에 수록된 조선시대사 논문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
이 글은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설립 50주년을 맞이하여, 기관지라고 할 수 있는 한국학논총에 수록된 조선시대사 논문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학술지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학논총은 2008년 등재후보지, 2013년 등재지에 선정된 뒤 필자나 刊記가 변화하였다. 이는 한국학논총에 수록된 조선시대사 관련 논문에서 확인된다. 한국학논총에 수록된 조선시대사 논문(61호까지)은 143편으로, 전체 대비 약 22.5%에 해당된다. 143편 중 연구 대상 시기로 구분해 보면, 조선 전기가 39편이고, 조선 후기가 91편이며, 조선조 전시기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13편이다. 조선 후기와 관련한 연구 논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주제별로 보면, 정치 분야가 전체 대비 44.7%이고, 문화와 관련된 주제가 29.3%를 차지하며, 이어서 사회-경제-기타 순으로 확인된다. 주제별로 정치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다수인 것은 한국학논총을 간행하는 연구소, 그리고 연구소에 참여하는 주체의 학풍과도 관련된 것이 아닐까 판단된다. 향후 한국학논총의 논문 수록 분야를 한국학 전분야로 확대할 것과 연구소의 전문성이나 정체성을 확보해 가는 차원에서 특집 기획 논문의 수록 등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as written on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Kookmin University to identify trends in the articles o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published in the Korean Studies ...
This article was written on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Kookmin University to identify trends in the articles o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published in the Korean Studies Review. And we're looking to take this forward. The Korean Studies Review was selected as a KCI journal in 2008 and has since changed authors and publication periods. The number of articles o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up to issue 61) in the Korean Studies Review is 143, which is about 22.5% of the total. Of the 143 articles, 39 ar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91 ar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13 are from the entire Joseon Dynasty. It can be seen that the majority of research papers are related to the late Joseon Dynasty. By topic, politics accounts for 44.7% of the total, followed by culture-related topics at 29.3%, and then socio-economic and other. The large number of political studies by topic is related to the academic style of the institute that publishes the Korean Studies Review and the participants in the institute. In the future, the Korean Studies Review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articles in all fields of Korean Studies, and we propose to include specially commissioned articles to secure the expertise and identity of the Institute.
식민지사 비교연구의 회고와 전망 -식민지 조선과 식민지 대만의 비교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이후 거제 통영 海村의 별신굿 기획과 賞錢의 탄생 -게임이론으로 본 마을과 巫家 사이의 사회문화적 관계-
미군정기 경기도지역 4-H클럽 도입과 미국식 농사교도사업으로의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