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남 합천군의 관속식물 분포와 자원특성에 관한 연구 - 오도산, 황매산, 대암산, 무월봉을 중심으로 - =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Plant Resources Characteristics i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Province - Mt. Odo, Mt. Hwangmae, Mt. Daeam, and Muweol Peak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9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남도 합천군일대의 자원식물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사지역 내의 소산 관속식물은 82과 292속 427종 4아종 49변종 9품종으로 총 48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자원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식용자원식물이 187분류군, 섬유용 자원식물이 9분류군, 약용 자원식물이 137분류군, 관상용 자원식물이 52분류군, 초지 자원식물이 126분류군, 공업원료자원이 2분류군, 염료용 자원식물이 112분류군, 목재용 자원식물이 16분류군,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134분류군로 구분되었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 특산 관속식물이 총 18분류군,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이 33분류군, 희귀식물은 2분류군으로 각각 조사 되었고, 귀화식물은 44분류군으로서 전체분류군의 약 8.9%를 차지하였다. 한편 조사지역의 식생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나, 레저시설이 형성되거나, 중계소, 사찰 등으로 인한 임도와, 저지대의 많은 농경지로 인해, 귀화식물의 분포가 빠르게 확산될 우려가 크므로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남도 합천군일대의 자원식물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사지역 내의 소산 관속식물은 82과 292속 427종 4아종 49변종 9품종으로 총 489분류군...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남도 합천군일대의 자원식물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사지역 내의 소산 관속식물은 82과 292속 427종 4아종 49변종 9품종으로 총 48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자원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식용자원식물이 187분류군, 섬유용 자원식물이 9분류군, 약용 자원식물이 137분류군, 관상용 자원식물이 52분류군, 초지 자원식물이 126분류군, 공업원료자원이 2분류군, 염료용 자원식물이 112분류군, 목재용 자원식물이 16분류군,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134분류군로 구분되었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 특산 관속식물이 총 18분류군,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이 33분류군, 희귀식물은 2분류군으로 각각 조사 되었고, 귀화식물은 44분류군으로서 전체분류군의 약 8.9%를 차지하였다. 한편 조사지역의 식생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나, 레저시설이 형성되거나, 중계소, 사찰 등으로 인한 임도와, 저지대의 많은 농경지로 인해, 귀화식물의 분포가 빠르게 확산될 우려가 크므로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lora for resource plants in Hapcheon-gun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rch to October, 2009. Based on collected voucher specimens, the flora of this area consisted of 489 taxa in total; 82 families, 292 genera, 427 species, 4 subspecies, 49 varieties and 9 forms. The resources plants in the area were categorized by usage into 9 groups including an unknown group: 187 edible, 126 pasturing, 137 medicinal, 112 dyeing, 52 ornamental, 16 timber, 9 fiber, 2 industrial taxa and 134 unknown resource plants were record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ere 18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33 taxa of specific plants which wer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2 taxa of rare plants. Furthermore, 44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in this investigated area. The vegetation status of the investigated area was well conserved, but it is likely that the contaminated area could be rapidly increased and exacerbated by the climbers and development of forest roads. Therefore, the systems for conservation need to be prepar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orests, and there must be special rules to control the number of climbers and visitors.
      번역하기

      The flora for resource plants in Hapcheon-gun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rch to October, 2009. Based on collected voucher specimens, the flora of this area consisted of 489 taxa in total; 82 families, 292 genera, 427 species, 4 subspecies, 49 v...

      The flora for resource plants in Hapcheon-gun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rch to October, 2009. Based on collected voucher specimens, the flora of this area consisted of 489 taxa in total; 82 families, 292 genera, 427 species, 4 subspecies, 49 varieties and 9 forms. The resources plants in the area were categorized by usage into 9 groups including an unknown group: 187 edible, 126 pasturing, 137 medicinal, 112 dyeing, 52 ornamental, 16 timber, 9 fiber, 2 industrial taxa and 134 unknown resource plants were record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ere 18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33 taxa of specific plants which wer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2 taxa of rare plants. Furthermore, 44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in this investigated area. The vegetation status of the investigated area was well conserved, but it is likely that the contaminated area could be rapidly increased and exacerbated by the climbers and development of forest roads. Therefore, the systems for conservation need to be prepar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orests, and there must be special rules to control the number of climbers and visi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원기, "경기도 북부지역의 식물분포 특성" 한국식물분류학회 37 (37): 41-59, 2007

      2 박광우, "가야산국립공원일대의 식생 및 식물상 연구- 단지봉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물학회 23 (23): 1-20, 2005

      3 Kim, C.S., "Vegetative Regeneration in the Disturbed Wetland of Parksil-nup, Hapcheon. Juornal of Institute of Evironment Protection" 7 : 1-17, 1999

      4 Kim, J.W.,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University of Vienna 1992

      5 Lee, T.B.,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1 : 1-137, 1976

      6 Ministry of Environment, "Third Round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Guidelines"

      7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2007

      8 Paik, W.K., "Substance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and investigation of their distribution" 13 : 5-84, 1994

      9 Lee, W.T.,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8 : 103-107, 1978

      10 Lee, W.T., "Standard Illustration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1996

      1 백원기, "경기도 북부지역의 식물분포 특성" 한국식물분류학회 37 (37): 41-59, 2007

      2 박광우, "가야산국립공원일대의 식생 및 식물상 연구- 단지봉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물학회 23 (23): 1-20, 2005

      3 Kim, C.S., "Vegetative Regeneration in the Disturbed Wetland of Parksil-nup, Hapcheon. Juornal of Institute of Evironment Protection" 7 : 1-17, 1999

      4 Kim, J.W.,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University of Vienna 1992

      5 Lee, T.B.,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1 : 1-137, 1976

      6 Ministry of Environment, "Third Round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Guidelines"

      7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2007

      8 Paik, W.K., "Substance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and investigation of their distribution" 13 : 5-84, 1994

      9 Lee, W.T.,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8 : 103-107, 1978

      10 Lee, W.T., "Standard Illustration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1996

      11 Ministry of Environment, "Second Rround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2002

      12 Korea National Arboretum,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 Book 2008

      13 Lee, W.T.,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2

      14 Park, S.H.,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2009

      15 Kim, M.Y.,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2004

      16 "Hapcheon Province"

      17 Lee, Y.N.,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1996

      18 Oh, B.U.,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5

      19 Yim, Y.J.,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Ⅰ.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25 : 77-88, 1975

      20 Lee, T.B., "Coloured Flora of Korean Vols Ⅰ and Ⅱ" Hyangmunsa 2003

      2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2008

      22 Kim, Y.S., "A study on the vegetation in Kaya Mountain National Park" 3 : 16-27, 1989

      23 Lee, W.B., "A flora of Mt. Odosan (Hapcheon·Goryeong) and its neighboring areas" 6 (6): 123-150, 2001

      24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2007

      25 Chung, M.S, "A Floristic Study of Mt. Jagul" 9 : 169-177,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