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터넷 선교의 전략과 방법 = The Strategy and the Method of Internet Mi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184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시대에 인터넷 선교의 중요성을 알고, 인터넷을 통한 국내 선교, 해외 선교 방법과 인터넷 선교를 위한 교회의 준비 및 인터넷 선교의 구체적 전략과 자세한 방법을 통해 네티즌에게 복음을 전하고 인터넷 공간을 복음화 시키는 일에 목적이 있다.
      인터넷 선교의 전략과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의 진술과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 및 제한을 통하여 인터넷 선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인터넷 선교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에 대해서 진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인터넷 시대에 대한 이해와 인터넷 선교의 신학적 배경에 대하서 살펴보았고, 인터넷 선교가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왜 필요한지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인터넷 시대의 교회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국내 선교 방법과 해외 선교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인터넷 선교사 양성 훈련 과정 및 훈련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교회 인터넷 선교 전략 및 기관 인터넷 선교 전략을 살펴보았고, 인터넷 선교의 구체적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21세기 정보화 및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상황과 변화를 올바로 인식해야 한다. 인터넷을 세계선교와 복음 그리고 목회에 잘 활용하기만 한다면 한국과 세계복음화의 마지막 추수기에 결정적인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터넷 선교사 및 인터넷 선교 전문 사역자를 양성하여 인터넷 공간 속에서 선교 활동을 펼쳐 나가야 할 때이다. 마지막 시대에 마지막 주자로서 쓰임 받기 위해서는 선교 정보화 및 인터넷 선교에 전 역량을 집중하여 주님께서 주신 지상 대 명령인 네티즌 전도와 세계 복음화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가 인터넷 선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터넷 선교를 다 방면으로 펼쳐 나가서 인터넷 공간에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고, 인터넷 공간을 복음화 시키고, 네티즌들을 주님의 품으로 인도하는 역사가 이 시대 안에 속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시대에 인터넷 선교의 중요성을 알고, 인터넷을 통한 국내 선교, 해외 선교 방법과 인터넷 선교를 위한 교회의 준비 및 인터넷 선교의 구체적 전략과 자세한 방법을...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시대에 인터넷 선교의 중요성을 알고, 인터넷을 통한 국내 선교, 해외 선교 방법과 인터넷 선교를 위한 교회의 준비 및 인터넷 선교의 구체적 전략과 자세한 방법을 통해 네티즌에게 복음을 전하고 인터넷 공간을 복음화 시키는 일에 목적이 있다.
      인터넷 선교의 전략과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 각 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의 진술과 연구의 중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방법 및 제한을 통하여 인터넷 선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인터넷 선교를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에 대해서 진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인터넷 시대에 대한 이해와 인터넷 선교의 신학적 배경에 대하서 살펴보았고, 인터넷 선교가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왜 필요한지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인터넷 시대의 교회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국내 선교 방법과 해외 선교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인터넷 선교사 양성 훈련 과정 및 훈련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교회 인터넷 선교 전략 및 기관 인터넷 선교 전략을 살펴보았고, 인터넷 선교의 구체적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21세기 정보화 및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상황과 변화를 올바로 인식해야 한다. 인터넷을 세계선교와 복음 그리고 목회에 잘 활용하기만 한다면 한국과 세계복음화의 마지막 추수기에 결정적인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터넷 선교사 및 인터넷 선교 전문 사역자를 양성하여 인터넷 공간 속에서 선교 활동을 펼쳐 나가야 할 때이다. 마지막 시대에 마지막 주자로서 쓰임 받기 위해서는 선교 정보화 및 인터넷 선교에 전 역량을 집중하여 주님께서 주신 지상 대 명령인 네티즌 전도와 세계 복음화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한국 교회가 인터넷 선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터넷 선교를 다 방면으로 펼쳐 나가서 인터넷 공간에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고, 인터넷 공간을 복음화 시키고, 네티즌들을 주님의 품으로 인도하는 역사가 이 시대 안에 속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know the importance of internet mission in the internet ages and to preach the gospel to netizens through the methods of domestic and oversea missions in the internet, the preparation of the churches for the internet mission, and the concrete strategies and the detail methods of the internet mission, and to evangelize the internet, the cyber space.
      To present the strategy and the method of internet mission, the following researches were proceeded.
      In Chapter 1, the introduction, it was stated on the statement of the matter, the importance 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on the internet mission through the method and the restriction of the research, and the reason about the internet mission.
      In Chapter 2, I mentioned about the understanding about the internet ages and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internet mission, and the necessity of the internet mission for us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s, and the image of the church in the internet ages.
      In Chapter 3, I mentioned about the method of domestic and oversea mission in the net, and the internet missionary training process and programs. And I also mentioned the internet mission strategies of churches and agencies, and the concrete method of the internet mission in detail.
      In conclusion, we should correctly realize the new circumstances and the changes of the information and internet ages in 21st century. If we make the good use of the internet to the world mission, the gospel and the ministry, Internet will be capable of the decisive role in the last harvest time for the Korea and the world gospelization. Ant it's time to raise internet missionaries and pastors specialized in the internet mission and let them do the mission activities in the internet. As the last runners in the last days, to be used by God, we have to focus on the information-oriented mission and the internet mission, and we have to devote all our strength to evangelization for the netizens and the world gospelization, God's greatest command.
      I hope that God's work Korean church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mission, do internet mission works in various fields, construct God's space in the net, evangelize the internet space, and lead netizens to God will be accomplished quickly in this tim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know the importance of internet mission in the internet ages and to preach the gospel to netizens through the methods of domestic and oversea missions in the internet, the preparation of the churches for the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know the importance of internet mission in the internet ages and to preach the gospel to netizens through the methods of domestic and oversea missions in the internet, the preparation of the churches for the internet mission, and the concrete strategies and the detail methods of the internet mission, and to evangelize the internet, the cyber space.
      To present the strategy and the method of internet mission, the following researches were proceeded.
      In Chapter 1, the introduction, it was stated on the statement of the matter, the importance 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on the internet mission through the method and the restriction of the research, and the reason about the internet mission.
      In Chapter 2, I mentioned about the understanding about the internet ages and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internet mission, and the necessity of the internet mission for us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s, and the image of the church in the internet ages.
      In Chapter 3, I mentioned about the method of domestic and oversea mission in the net, and the internet missionary training process and programs. And I also mentioned the internet mission strategies of churches and agencies, and the concrete method of the internet mission in detail.
      In conclusion, we should correctly realize the new circumstances and the changes of the information and internet ages in 21st century. If we make the good use of the internet to the world mission, the gospel and the ministry, Internet will be capable of the decisive role in the last harvest time for the Korea and the world gospelization. Ant it's time to raise internet missionaries and pastors specialized in the internet mission and let them do the mission activities in the internet. As the last runners in the last days, to be used by God, we have to focus on the information-oriented mission and the internet mission, and we have to devote all our strength to evangelization for the netizens and the world gospelization, God's greatest command.
      I hope that God's work Korean church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mission, do internet mission works in various fields, construct God's space in the net, evangelize the internet space, and lead netizens to God will be accomplished quickly in this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감사의 글 = ⅰ
      • Ⅰ. 서론 = 1
      • A. 문제의 진술 = 1
      • B. 연구의 목적과 중요성 = 3
      • C. 연구의 방법 및 제한 = 4
      • 감사의 글 = ⅰ
      • Ⅰ. 서론 = 1
      • A. 문제의 진술 = 1
      • B. 연구의 목적과 중요성 = 3
      • C. 연구의 방법 및 제한 = 4
      • Ⅱ. 인터넷 선교 개관 = 6
      • A. 인터넷 시대에 대한 이해 = 6
      • 1. 인터넷의 특징 = 8
      • 2. 인터넷의 장점 및 단점 = 9
      • B. 인터넷 선교의 정의 = 13
      • C. 인터넷 선교의 신학적 배경 = 17
      • D. 인터넷 선교의 중요성 = 22
      • E. 인터넷 시대의 교회의 모습 = 30
      • 1. 사이버 교회 = 30
      • 2. 전자 네트워크 교회 = 34
      • 3. 평신도 중심의 봉사적 디지털 교회 = 34
      • Ⅲ. 인터넷 선교 전략 및 방법 = 36
      • A. 인터넷을 통한 선교 이론 = 36
      • B. 인터넷을 통한 선교 = 37
      • 1. 국내 선교 = 37
      • 2. 해외 선교 = 46
      • C. 인터넷 선교의 실제적 준비 = 53
      • D. 인터넷 선교 전략 = 58
      • 1. 교회 인터넷 선교 전략 = 63
      • 2. 기관 인터넷 선교 전략 = 71
      • E. 인터넷 선교의 구체적 방법 = 76
      • Ⅳ. 결론 = 98
      • A. 요약 = 98
      • B. 제언 = 99
      • 참고문헌 = 101
      • 국문초록 = 110
      • ABSTRACT =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