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능력중심사회에 기반한여성직업능력개발체계 분석 및 정책과제(Ⅱ) = Analysis and Policy Tasks of Vocational Capability Development System for Women to Enhance a Competency-Based Society(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76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Ⅰ. Research Objectives and Methods ○This paper is designed to analyze women’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ystems and to review related policy issues in connection with a competency-based society. In the process, it aims to study female y...

      Ⅰ. Research Objectives and Methods
      ○This paper is designed to analyze women’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ystems and to review related policy issues in connection with a competency-based society. In the process, it aims to study female youth’s achievements in career development, focusing on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policies for cultivating talents in a competency-based society. The main purposes hereof are to identify changes in women’s achievements in labor markets coming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into curricula for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and fluctuations in employment systems and culture, as well as the effects of related changes in universities and businesses on female youth’s achievements in career development. In connection therewith, new policy issues are also identified and reviewed.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such as the analysis of administrative DB, the survey of students, and the Delphi survey of professor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students, professors, and business staff, and on-site visits to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were used to look into the achievements of NCS-based curricula for junior colleges and of work-learning balance systems for four-year universities in labor markets and thereby to identify their policy implications.


      Ⅱ. In-Depth Analysi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Operation
      1.Competency-Based Curriculum Operation and Female Employment: Universities
      ○Universities are found to have participated in work-learning balance systems to promote their students’ employment. However, some universities in Seoul took part in the system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academic world and the business community by developing business-centered curricula for departments, rather than to boost employment rates.
      ○Many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work-learning balance systems due to professors’ recommendations, universities’ promotion activities, and so forth. They are deemed to have joined the program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ir employment is ensured after graduation, rather than due to the superiority thereof.
      ○Work-learning balance systems are also of help to businesses. Companies are shown to have taken part in the systems due to their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universities, the government’s subsidies, and labor supply. However, the degree to which NCS-based curricula are relevant to real jobs is found to have been very low. Students are shown to have failed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relevance of real business courses to NCS-based curricula.
      ○Interviews do not show whether businesses participating in work-learning balance systems have discriminated against female students in terms of employment. However, university employees who play a role in matching students to employers state that female students have had more difficulties in landing job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howing that companies still have a prejudice against women in employment.

      2. Competency-Based Curriculum Operation and Female Employment: Junior Colleges
      ○Most junior college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curricula due to their high degree of relevance to real jobs.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tended to increase because learning activities were based on practice to help students acquire certificates.
      ○Junior college students with various educational and vocational experiences gave their opinion that NCS-based jobs are what the business community requires and therefore should be mastered while those who had entered junior colleges immediately after graduating from academic high school showed their limitation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r level of jobs required by the N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능력중심사회에 기반한 여성직업능력개발체계 분석 및 정책과제의 2차년도 연구로서 청년여성들의 직업세계 이행성과를 능력중심사회에 필...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능력중심사회에 기반한 여성직업능력개발체계 분석 및 정책과제의 2차년도 연구로서 청년여성들의 직업세계 이행성과를 능력중심사회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의 정책을 중심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학 교육과정에서의 NCS의 도입과 함께 채용방식 및 문화의 변화 속에서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가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대학과 기업의 변화가 청년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에 어떻게 기능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정책과제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 전문대학에 전면 도입했던 NCS기반 교육과정의 운영과 4년제 대학에서 NCS기반 교육과정 도입과 함께 수행한 일·학습 병행제의 노동시장 성과를 살펴보기 위한 행정 DB 분석, 학생 대상의 설문조사, 교수 대상 델파이 조사, 학생·교수·기업 관계자 대상 초점집단면접, 그리고 대학 현장방문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Ⅱ. 청년여성의 직업능력개발체계 관련 현황
      1. 청년여성의 경제활동 변화와 문제
      ○ 우리나라 여성들의 경제활동은 과거와 비교해 보면 상당히 약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여전히 30대에서 상당히 많은 여성들이 노동시장에서 사라지는 이른바 M 커브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 전문대졸 이상 학력에서는 지속적으로 여성 실업률이 남성에 비해 증가하고 있어서, 경제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자 하는 청년여성들의 의지는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 2016년도 기준, 전문대졸과 대졸 남녀 간 취업 격차는 상당하여, 최소 5%p 정도의 취업 격차를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경우, 직종이 과거와 비교해서는 다양해지고 있으나 여전히 도소매업, 숙박·음식업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여성들은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 40% 정도가, 30인 미만의 사업장에 55.3%가 근로하고 있다. 소규모 사업장에 다수의 여성들이 근로한다는 것은 곧 남녀의 임금 격차로 이어지는 핵심 요인이 된다. 여성과 남성의 임금 격차는 여성이 남성 임금의 60%를 받는 것에서 좀처럼 변화하지 않고 있다.
      ○ 학력별 직업형태를 보면, 전문대학의 경우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무종사자의 비중은 감소하고 있다. 대신 4년제 일반대학에서 사무종사자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노동시장에서 4년제 일반대학과 전문대학 간의 갭이 크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해석과, 과거 전문대학 졸업자들이 취업하던 사무종사직에 4년제 일반대학생들이 진입하고 있다는 것으로도 간주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고학력 여성들의 노동시장 상황이 점점 더 열악해지고 있음을 방증하는 결과이다.

      2. 고등교육기관의 능력중심 교육과정 도입 정책 현황
      ○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여성들이 학교 졸업 이전에 취업에 필요한 다양한 스펙을 쌓는 것이 중요하며, 학교에서 직업세계 이행 과정을 최소한으로 하는 방법은 취업할 기업과 관련한 능력을 쌓아서 해당 기업에 취업하도록 하는 것이다. 대학 졸업자들의 취업상황을 살펴보면 더 이상 범용적 학문을 통해 자유로운 직업선택을 할 만큼 노동시장 여건이 좋지 않다.
      ○ 따라서 대학이 학생들의 취업을 위해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다양한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은 현재 대학들이 직면한 숙명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여전히 대학 교육과정과 산업계의 요구에는 상당한 괴리가 발생하고, 대학들은 범용적 지식을 가르치며 기업에 맞는 인재로 성장시키는 데 최소한의 노력을 하려고 한다.
      ○ 이런 현상들을 완화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취업기회를 보장하며 이에 맞는 능력개발을 위해 NCS를 교육과정에 도입하고자 노력한 부분은 일정한 흐름이었다고 판단된다.
      - 대학과정에서의 NCS 도입 정책은 산업계가 원하는 인재양성을 통해 교육과 노동시장과의 괴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전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전문대학에서는 SCK사업에 주요 지표 항목으로 포함함으로써 대학들이 교육과정 변화를 추진할 동력으로 삼았고, 2016년까지 전체 SCK 참여 대학 학과의 83%가 NCS를 교육과정에 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부 유보학과를 제외하고는 전문대학 대부분의 학과가 NCS를 교육과정에 도입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청년여성의 직업능력개발체계 관련 현황
      • Ⅲ. 능력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심층 분석
      • Ⅳ. 능력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청년의 태도 및 인식 분석
      • Ⅴ. 능력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의 태도 및 인식 분석
      • Ⅰ. 서 론
      • Ⅱ. 청년여성의 직업능력개발체계 관련 현황
      • Ⅲ. 능력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심층 분석
      • Ⅳ. 능력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청년의 태도 및 인식 분석
      • Ⅴ. 능력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의 태도 및 인식 분석
      • Ⅵ. 성인지적 능력중심 교육과정 운영 및 성과를 위한 정책과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