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대 소비자의 감각추구성향이 향수추구혜택과 향수추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236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감각추구성향이 향수추구혜택과 향수추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파급적인 효과와 패션 상품의 선호도가 높은 소비자 집단 등을 고려해서 20대 소비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성남,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창원 지역에 거주하는 253명의 2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9년 9-10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변량분석, Duncan-test,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각추구성향의 요인은 변화추구, 모험추구, 예술적 감각추구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향수추구혜택의 요인은 자기표현, 유행, 브랜드가치, 편안함, 경제성, 개성의 6개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향수추구이미지의 요인은 상쾌감, 자극성, 기품, 자연성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감각추구성향은 향수추구혜택과 향수추구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감각추구성향의 모험추구는 향수추구혜택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수업체의 마케팅 전략과 상품 개발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감각추구성향이 향수추구혜택과 향수추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파급적인 효과와 패션 상품의 선호도가 높은 소비자 집단 등을 고...

      본 연구는 감각추구성향이 향수추구혜택과 향수추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파급적인 효과와 패션 상품의 선호도가 높은 소비자 집단 등을 고려해서 20대 소비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성남,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창원 지역에 거주하는 253명의 2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9년 9-10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변량분석, Duncan-test,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각추구성향의 요인은 변화추구, 모험추구, 예술적 감각추구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향수추구혜택의 요인은 자기표현, 유행, 브랜드가치, 편안함, 경제성, 개성의 6개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향수추구이미지의 요인은 상쾌감, 자극성, 기품, 자연성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감각추구성향은 향수추구혜택과 향수추구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감각추구성향의 모험추구는 향수추구혜택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수업체의 마케팅 전략과 상품 개발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of sensation seeking tendencies of 20’s consumers on perfume pursuit benefits and perfume pursuit images. Those surveyed were selected as 20’s consumers, considering the ripple effect and a group of consumers with high preference for fashion product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19 for 253 consumers in their 20’s living in Seoul, Seongnam, Daejeon, Gwangju, Daegu, Busan, and Changwon. Data analysis was used by the SPSS program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Duncan-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actors of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ies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the pursuit of change, the pursuit of adventure, and the pursuit of artistic sensibility. The factors of perfume pursuit benefits consisted of six dimensions: self-expression, fashion, brand value, comfort, economy, and individuality; and the factors of perfume pursuit image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freshness, irritability, grace, and naturalness. Sensation seeking tendencies was shown to affect perfume pursuit benefits and perfume pursuit images partly, especially the pursuit of adventure of sensation seeking tendencies was a variable that had a marked impact on perfume pursuit benefits.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useful data i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and product developments for perfume compan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of sensation seeking tendencies of 20’s consumers on perfume pursuit benefits and perfume pursuit images. Those surveyed were selected as 20’s consumers, considering the ripple effect and a group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of sensation seeking tendencies of 20’s consumers on perfume pursuit benefits and perfume pursuit images. Those surveyed were selected as 20’s consumers, considering the ripple effect and a group of consumers with high preference for fashion product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19 for 253 consumers in their 20’s living in Seoul, Seongnam, Daejeon, Gwangju, Daegu, Busan, and Changwon. Data analysis was used by the SPSS program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Duncan-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actors of the sensation seeking tendencies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the pursuit of change, the pursuit of adventure, and the pursuit of artistic sensibility. The factors of perfume pursuit benefits consisted of six dimensions: self-expression, fashion, brand value, comfort, economy, and individuality; and the factors of perfume pursuit image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freshness, irritability, grace, and naturalness. Sensation seeking tendencies was shown to affect perfume pursuit benefits and perfume pursuit images partly, especially the pursuit of adventure of sensation seeking tendencies was a variable that had a marked impact on perfume pursuit benefits.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useful data i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and product developments for perfume compan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수, "중년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의복추구혜택과 의복선택기준: 한국과 미국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7) : 451-464, 2015

      2 고인곤, "우리나라 20대 소비자의 명품 및 명품모방품 소비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77-84, 2015

      3 최수경, "여성소비자의 선호의복이미지가 선호향수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473-480, 2012

      4 이경화, "여대생의 향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향수 사용도에 따른 소비자집단변 특성을 중심으로" 50 (50): 2000

      5 박현정, "여대생의 감각추구 및 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스타일 선호도" 한국의류산업학회 5 (5): 495-502, 2003

      6 김순아, "여고생의 니트웨어 구매 행동 분석 및 감각 추구 성향과의 관계" 복식문화학회 18 (18): 304-321, 2010

      7 강은미, "소비자의 내적 특성이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각추구성향, 의복탐색행동, 점포유형을 중심으로" 25 (25): 2001

      8 김용숙, "남성들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향수 구매 및 사용행동" 한국생활과학회 18 (18): 933-944, 2009

      9 "http://cosinkorea.mediaon.co.kr"

      10 변정선, "20대 여성의 감각추구성향과 의복태도가 상표다양성추구에 미치는 영향" 51 (51): 2001

      1 김지수, "중년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의복추구혜택과 의복선택기준: 한국과 미국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7) : 451-464, 2015

      2 고인곤, "우리나라 20대 소비자의 명품 및 명품모방품 소비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77-84, 2015

      3 최수경, "여성소비자의 선호의복이미지가 선호향수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473-480, 2012

      4 이경화, "여대생의 향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향수 사용도에 따른 소비자집단변 특성을 중심으로" 50 (50): 2000

      5 박현정, "여대생의 감각추구 및 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스타일 선호도" 한국의류산업학회 5 (5): 495-502, 2003

      6 김순아, "여고생의 니트웨어 구매 행동 분석 및 감각 추구 성향과의 관계" 복식문화학회 18 (18): 304-321, 2010

      7 강은미, "소비자의 내적 특성이 의복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각추구성향, 의복탐색행동, 점포유형을 중심으로" 25 (25): 2001

      8 김용숙, "남성들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향수 구매 및 사용행동" 한국생활과학회 18 (18): 933-944, 2009

      9 "http://cosinkorea.mediaon.co.kr"

      10 변정선, "20대 여성의 감각추구성향과 의복태도가 상표다양성추구에 미치는 영향" 51 (51):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