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가 세상을 인식하는 메카니즘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교육내용 및 방법이 달라진다. 최근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의 변화로 인해 기존 인식론의 틀이 허물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43004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7-104(1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아가 세상을 인식하는 메카니즘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교육내용 및 방법이 달라진다. 최근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의 변화로 인해 기존 인식론의 틀이 허물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
유아가 세상을 인식하는 메카니즘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교육내용 및 방법이 달라진다. 최근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의 변화로 인해 기존 인식론의 틀이 허물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담론에서의 인식론적 체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지배적인 담론으로부터 탈주하여 복잡성 이론을 통해 조명되고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인 상호객관주의적 인식론이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유아교육담론에서의 인식론은 절대적 진리가 있어서, 그것을 받아들이는 데 정확한 기준이 있다는 객관적 인식론, 인식하는 주체가 세계 내에서 통용되는 대상을 자기의 사유로 받아들인다는 상호주관적 인식론, 인식하는 주체와 객체의 구별을 해체하고 서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보는 상호 객관적 인식론으로 지평을 넓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복잡성 시대 등장한 상호객관주의 패러다임은 유아기 놀이와 교육의 방향성까지 제시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vary depending on how young children define the mechanisms for recognizing the world. Recently, changes i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AI have broken down the framework of existing epistemology. Therefore, this study...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vary depending on how young children define the mechanisms for recognizing the world. Recently, changes i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AI have broken down the framework of existing epistemology.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considered the epistemological syste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iscourse,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interobjective epistemology, a new paradigm that is shown through complexity theory, by escaping from the dominant discour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there is an absolute truth in the epistem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iscours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broaden epistemological horizon by examining the objective epistemology which has an exact acceptance criteria, intersubjective epistemology that the subject accepts the object in the common world as his or her own background, and the interobjective epistemology that deconstruct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cognizing subject and the object, and establishes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interobjectivity paradigm that emerged in the age of complexity would suggest the direction of play an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Derrida, J., "해체" 문예출판사 1996
2 정대현, "학습본능 숲에서 놀다" 이책사 2017
3 Cherryholmes, C. H., "탈구조주의 교육과정 탐구" 교육과학사 1998
4 이상은, "초복잡성 시대의 새로운 학력관에 대한 철학적 고찰 : 바넷(R. Barnett)의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51-68, 2019
5 Badiou, A., "철학을 위한 선언" 도서출판 길 2010
6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원 2016
7 정대현, "유아교육에서 놀이의 자리매김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247-266, 2020
8 박로사, "연결주의 학습이론에 관한 이론적 탐색과 평생학습에 주는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49-1272, 2021
9 심임섭, "복잡적응시스템으로서 학교의 존재론 및 인식론" 한국교육철학회 (55) : 53-78, 2015
10 최인령, "복잡성 패러다임으로 본 과학과 예술: 상상과 상식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문화학회 44 (44): 173-201, 2020
1 Derrida, J., "해체" 문예출판사 1996
2 정대현, "학습본능 숲에서 놀다" 이책사 2017
3 Cherryholmes, C. H., "탈구조주의 교육과정 탐구" 교육과학사 1998
4 이상은, "초복잡성 시대의 새로운 학력관에 대한 철학적 고찰 : 바넷(R. Barnett)의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51-68, 2019
5 Badiou, A., "철학을 위한 선언" 도서출판 길 2010
6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원 2016
7 정대현, "유아교육에서 놀이의 자리매김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247-266, 2020
8 박로사, "연결주의 학습이론에 관한 이론적 탐색과 평생학습에 주는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249-1272, 2021
9 심임섭, "복잡적응시스템으로서 학교의 존재론 및 인식론" 한국교육철학회 (55) : 53-78, 2015
10 최인령, "복잡성 패러다임으로 본 과학과 예술: 상상과 상식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문화학회 44 (44): 173-201, 2020
11 허영주, "복잡계이론의 교육학적 의미 : 교육연구의 보완적 패러다임으로서의 적용 가능성" 안암교육학회 17 (17): 5-31, 2011
12 신현석, "복잡계 이론과 교육행정학 : 함의 고찰과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201-238, 2019
13 Davis, B., "마음과 학습: 교육학의 복잡계적 접근" 교육과학사 2017
14 백욱인, "디지털 데이터, 정보, 지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5 김은영, "누리과정 개정 정책연구" 교육부, 충청남도교육청, 육아정책연구소 2019
16 Johnson, J. E., "놀이, 발달, 유아교육" 아카데미 프레스 2006
17 정대현, "UN SDG 4.2의 유아교육 적용을 위한 고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375-393, 2019
18 Pando, V. F., "Teaching trends in virtual education : An Interpretative approach" 6 (6): 485-505, 2018
19 Young, M. F. D., "Schooling, society and curriculum" Routledge 1-12, 2006
20 Clarà, M., "Learning online : massive open online courses(MOOCs), connectivism, and cultural psychology" 34 (34): 129-136, 2013
21 Mattar, J., "Constructivism and Connectivism in Education Technology : Active, Situated, Authentic, Experiential, and Anchored Learning" 21 (21): 1-16, 2018
22 Goldie, J. G. S., "Connectivism : a knowledge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38 (38): 1064-1069, 2016
23 Siemens, G., "Connectivism : Learning as network-creation" 10 (10): 1-28, 2005
24 Siemens, G., "Connectivism : A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2 (2): 1-8, 2005
25 Arthur, W. B., "Complexity, the Santa Fe approach, and non-equilibrium economics" 18 (18): 149-166, 2010
디지털 활용 교육 경험을 통한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탐색
상호작용 중심의 교사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영유아 교사들의 탐구중심 과학 활동의 이해와 실제
어린이집 초임원장의 운영관리 지원을 위한 GROW컨설팅 모형 개발 및 적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5 | 2.35 | 2.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