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재정 운용 과정의 형평을 위한 추가 비용 산출 연구: 사회경제적수준의 격차를 고려하여 = A Study on Calculating Additional Costs for Equity in Educational Finance Oper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G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291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additional cost for equity in the Educational finance oper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level of the unit school. To this end, data provided by the Edu Data Service (EDSS) related to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rom 2016 to 2018 were analyzed,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oeconomic level of the unit school affects the education expenditure per student.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cost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additional cost, it was found that the socioeconomic lev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tual education cost per student. Second, to raise the average level of all schools to at least 90% compared to the school with the highest socioeconomic level, about 4.63 million won per student is required. This is an amount that requires an additional cost of 210,000 won compared to the average level of 2018, which was the standard for calculation. Thir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educational expenses is aimed at making up for the gap in socioeconomic level, so the scale of additional cost per student to make up for the gap in socioeconomic level is not larger than making up for the shortfall in income paid by beneficiaries. This can mean that the current scale of educational finance is insufficient to achieve equity in the educational finance operation proc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additional cost for equity in the Educational finance oper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level of the unit school. To this end, data provided by the Edu Data Service (EDSS) related to public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additional cost for equity in the Educational finance oper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level of the unit school. To this end, data provided by the Edu Data Service (EDSS) related to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rom 2016 to 2018 were analyzed,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oeconomic level of the unit school affects the education expenditure per student.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cost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additional cost, it was found that the socioeconomic lev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tual education cost per student. Second, to raise the average level of all schools to at least 90% compared to the school with the highest socioeconomic level, about 4.63 million won per student is required. This is an amount that requires an additional cost of 210,000 won compared to the average level of 2018, which was the standard for calculation. Thir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educational expenses is aimed at making up for the gap in socioeconomic level, so the scale of additional cost per student to make up for the gap in socioeconomic level is not larger than making up for the shortfall in income paid by beneficiaries. This can mean that the current scale of educational finance is insufficient to achieve equity in the educational finance operation proc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훈,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재정 배분 실태 분석: 유아 초·중·고지원 교육재정을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2019

      2 김학수,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교육재정 효율화"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2021

      3 이선호,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의 실태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101-126, 2006

      4 우명숙 ; 김지하, "학교자원과 학교 교육성과의 관계 분석: 학업성취도와 학교향상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139-162, 2013

      5 이선호, "학교교육에 대한 학부모 부담 경비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1 (21): 29-56, 2012

      6 정동욱 ; 이호준 ; 조성경 ; 이현국 ; 정승환, "학교 책무성 정책과 교육재정 지원의 적정성: 학력향상중점학교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35-54, 2013

      7 이현국 ; 정동욱, "초・중등학교 목적사업비 배분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1-28, 2016

      8 정재균, "초·중등학교 수익자 부담 경비 운영의 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1 (11): 10-288, 2002

      9 김병주, "초·중등교육의 학부모부담경비 적정화 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6 (16): 153-191, 2007

      10 송기창 ; 윤홍주, "초·중등 교육재정의 전망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31 (31): 79-107, 2022

      1 김재훈,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재정 배분 실태 분석: 유아 초·중·고지원 교육재정을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2019

      2 김학수,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교육재정 효율화"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2021

      3 이선호,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의 실태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101-126, 2006

      4 우명숙 ; 김지하, "학교자원과 학교 교육성과의 관계 분석: 학업성취도와 학교향상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139-162, 2013

      5 이선호, "학교교육에 대한 학부모 부담 경비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1 (21): 29-56, 2012

      6 정동욱 ; 이호준 ; 조성경 ; 이현국 ; 정승환, "학교 책무성 정책과 교육재정 지원의 적정성: 학력향상중점학교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35-54, 2013

      7 이현국 ; 정동욱, "초・중등학교 목적사업비 배분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1-28, 2016

      8 정재균, "초·중등학교 수익자 부담 경비 운영의 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1 (11): 10-288, 2002

      9 김병주, "초·중등교육의 학부모부담경비 적정화 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6 (16): 153-191, 2007

      10 송기창 ; 윤홍주, "초·중등 교육재정의 전망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31 (31): 79-107, 2022

      11 김진영, "지방교육재정의 안정과 효율화를 위한 정책 방향" 42 (42): 1-31, 2017

      12 송기창, "지방교육재정 중장기 전망과 운용방향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20

      13 윤홍주, "전문가판단모형 및 비용함수모형에 의한 초등학교 적정교육비 분석" 27 (27): 103-129, 2014

      14 김영철, "저출산과 학령인구 급감에 대한 대응 방안: 교육정책을 중심으로" 8 : 7-38, 2020

      15 공은배, "유·초·중·고등학교 표준교육비 산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16 윤정일, "신교육재정학" 학지사 2015

      17 이호준 ; 양민석 ; 이현국 ; 정동욱, "서울특별시 교육경비보조금 배분기준 및 수혜학교 특성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25-59, 2014

      18 김소형, "서울특별시 공립 중학교의 학교회계 수익자부담경비 운영실태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45-68, 2011

      19 엄문영 ; 오범호 ; 윤홍주, "비용함수 모형에 의한 국・공립 중학교 적정교육비 산출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113-138, 2013

      20 윤홍주 ; 김지연 ; 김민희, "미래 교육환경 변화를 반영한 지방교육재정 운영 전략 탐색" 한국자치행정학회 34 (34): 89-110, 2020

      21 윤홍주, "단위학교의 적정 교수학습비 결정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3 (13): 25-46, 2004

      22 우명숙, "단위학교의 재정운용 사례 분석: 불용액의 발생 원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203-226, 2011

      23 김민희 ; 권순재 ; 조아라, "단위학교 적정교육비 예측모형 탐색" 한국자치행정학회 32 (32): 79-104, 2018

      24 권재현 ; 백일우, "단위학교 적정교육비 분석을 통한 규모 및 운영의 적정화"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243-266, 2006

      25 김용남, "단위학교 재정 운영의 쟁점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6 (26): 119-145, 2017

      26 서정은, "다문화가정 학생 적정교육비 산출 연구" 서울대학교 2019

      27 양민석 ; 정동욱, "교장공모제 시행 학교와 학교장의 특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173-202, 2015

      28 Hoy, W. K., "교육행정: 이론, 연구,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13

      29 홍지영 ; 정동욱, "교육비용함수를 활용한 단위학교 적정 교육비의 산출 분석 - 서울시 국·공립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1 (21): 1-26, 2012

      30 백재환 ; 박정호, "공립초등학교 목적사업비 배분 영향요인 연구" 한국지방행정학회 16 (16): 101-119, 2019

      31 Fuhrman, S. H., "The New Accountability" University of Pennsylvania,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1999

      32 Odden, A. R., "School finance: A policy perspective" McGraw-Hill 2019

      33 Houck, E. A., "Resource and output equity as a mechanism for assessing educational opportunity in Korean middle school education" 38 (38): 18-51, 2012

      34 Tolbert, P. S., "Organizations: Structures, processes and outcomes" Routledge 2015

      35 Taylor, L. L., "Measuring educational adequacy in public schools" The Bush School of Government & Public Service, Texas A&M University 2005

      36 Iatarola, P., "Intradistrict equity of public education resources and performance" 22 (22): 69-78, 2003

      37 Bossert, S. T.,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341-352, 1988

      38 Downes, T. A., "Handbook of research in education finance and policy" Routledge 244-259, 2014

      39 Duncombe, W. D., "Financing an adequate education: A case study of New York. Developments in School Finance 2001-2002" U.S. Department of Education 129-153, 2003

      40 Duncombe, W., "Estimating the cost of meeting student performance standards in the St. Louis public schools" Syracuse University, Center for Policy Research 2007

      41 Augenblick, J., "Estimating the cost of an adequate education in Nevada" Augenblick, Palaich and Associates 2006

      42 Guthrie, J. W., "Equity and adequacy in education finance: Issues and perspectives" 209-259, 1999

      43 Garms, W. I., "Educational need and its application to state school finance" 304-317, 1970

      44 Imazeki, J., "Assessing the use of econometric analysis in estimating the costs of meeting state education accountability standards : Lessons from Texas" 80 (80): 96-125, 2005

      45 Spady, W. G., "5 : The Impact of School Resources on Students" 1 (1): 135-177, 1973

      46 서울특별시교육청, "2023학년도 학교회계 예산편성 기본지침"

      47 김용남, "2020년 유·초·중·고 특수학교 표준교육비 산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21

      48 송기창, "2017 교육재정백서" 한국교육개발원 2018

      49 김지하, "2015년유·초·중·고 특수학교 표준교육비 산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