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의 비판적 점검과 교육적 대안의 모색 = Critical Examination of 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and Search for Educational Altern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2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ign educational content that enables Korean learners to become the subject of cultural activities and form cultural identity through cultural education, starting from the awareness that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in Ko...

      This study aims to design educational content that enables Korean learners to become the subject of cultural activities and form cultural identity through cultural education, starting from the awareness that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remains static culture. To this end, it was proposed to reconceptualiz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 and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interculturalism. In addition, based on the critical consideration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procedures and tasks were designed to solve this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language education, it was proposed to change the viewpoint from the existing viewpoint, which was perceived as culture as a substance, to culture as a process and action. Next,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pointed out the problems of 1) educational content centered on cultural knowledge, and 2) educational design with insufficient medi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cultures. This is a view that views culture as a fixed entity, and has limitations in that the dynamism of culture is not reflec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ocedure of cultural education was presented in five steps for educational design according to interculturalism. And, two types of tasks were proposed using GRASPS so that they could be practiced education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의 재개념화와 관점의 전환 3.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의 설계 5. 결론
      • 1. 서론 2.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의 재개념화와 관점의 전환 3.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의 설계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근호, "한류 영상물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 역할극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352-361, 2008

      2 박영순, "한국어교육으로서의 문화 교육에 대하여" 이중언어학회 23 : 67-89, 2003

      3 권오경,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의 방향" 한국문학언어학회 (45) : 389-432, 2006

      4 오지혜, "한국어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1) : 551-588, 2010

      5 권오경,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내용 구축 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49-72, 2009

      6 최정순,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의 등가적 통합"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 (1): 63-81, 2004

      7 조항록,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279-306, 2005

      8 윤여탁, "한국어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7 (7): 163-181, 2011

      9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199-219, 2004

      10 한상미,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교육 방안: 의사소통 민족지학연구 방법론의 적용" 10 (10): 347-366, 1999

      1 김근호, "한류 영상물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 역할극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352-361, 2008

      2 박영순, "한국어교육으로서의 문화 교육에 대하여" 이중언어학회 23 : 67-89, 2003

      3 권오경,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의 방향" 한국문학언어학회 (45) : 389-432, 2006

      4 오지혜, "한국어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1) : 551-588, 2010

      5 권오경,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내용 구축 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49-72, 2009

      6 최정순,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의 등가적 통합"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 (1): 63-81, 2004

      7 조항록,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279-306, 2005

      8 윤여탁, "한국어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7 (7): 163-181, 2011

      9 조항록,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199-219, 2004

      10 한상미, "한국어 교육에서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교육 방안: 의사소통 민족지학연구 방법론의 적용" 10 (10): 347-366, 1999

      11 민현식,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3 (3): 137-180, 2006

      12 배현숙,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 현황 및 문제점" 이중언어학회 (21) : 177-198, 2002

      13 성기철,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111-135, 2001

      14 조현우,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고전문학 활용 방안 - 상호문화이해를 위한 ‘접점’ 찾기 -" 시학과언어학회 (28) : 163-191, 2014

      15 윤여탁,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2 (12): 1-22, 2015

      16 조항록, "초급 단계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화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 (11): 153-173, 2000

      17 정기섭,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상호문화역량" 한독교육학회 16 (16): 133-149, 2011

      18 라혜민, "중급 교재 내의 문화 교육 방안" 2001

      19 심혜령,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3" 마리북스 2019

      20 심혜령,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1" 마리북스 2019

      21 박영순, "제2언어 교육으로서의 문화 교육–한국어의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5 : 43-59, 1989

      22 강현석, "이해 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백워드 설계의 이론과 실천 : 교실혁명" 학지사 2017

      23 권오현, "의사소통중심 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 -한국의 학교 외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2 : 247-274, 2003

      24 양지선, "의사소통의 민족지학 방법론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 단편드라마 활용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53-176, 2011

      25 Bauman, Z., "유행의 시대: 유동하는현대 사회의 문화" 오월의 봄 2013

      26 장한업,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지침서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199-222, 2017

      27 Abdallah-Pretceille, M.,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 다문화 사회의 새로운 교육적 대안" 한울아카데미 2010

      28 윤여탁,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 한국문화사 2007

      29 Brown, H. D.,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 Pearson Education Korea 2001

      30 엄나영, "역할극을 활용한 무역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91-112, 2014

      31 김대행, "시와 언어문화" 역락 2018

      32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 5" 국립국어원 2021

      33 김영순, "상호문화학습의 실천적 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 (12): 1-27, 2016

      34 조연하,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춘향전 교수·학습 방안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연구소 26 (26): 1259-1279, 2020

      35 박인기,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국어교육학회 (15) : 2002

      36 최홍원, "문화적 문식성의 교육적 실현에 대한 방법적 회의" 국어교육연구소 (36) : 595-632, 2015

      37 윤여탁, "문화교육이란 무엇인가" 태학사 2013

      38 Moran, P. R., "문화교육" 경문사 2004

      39 Bennet, C. I.,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40 Van Peursen, C. A., "급변하는 흐름 속의 문화" 서광사 1994

      41 박정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3-122, 2012

      42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사전" 대교 1999

      43 김대행, "국문학과 문화" 월인 2001

      44 류수열, "고전시가 교육의 구도" 역락 2008

      45 김미진, "고전 텍스트와 한국어 문화 교육" 역락 2019

      46 권오현, "간문화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외국어교육"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14 : 5-51, 1996

      47 Mollenhauer, K., "가르치기 힘든 시대의 교육: 현대 교육학의 근본 문제에 대한 에세이" 삼우반 2005

      48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20-54호"

      49 교육부, "『한국어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7-131호"

      50 Wiggins, G., "Understandin by design"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5

      51 Hammerly, H, "Toward Cultural Competence, System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 Introduction to Languistics" Second Language Publications 1982

      52 Brooks, N., "The culture revolution" National Textbook Company 1975

      53 Rey, M., "The challenge of human rights education" London Cassell and council of Europe 1991

      54 Banks, J. A., "Teaching strategies for Ethnic Studies" Allyn&Bacon 1997

      55 Keast, J., "Religious diversity and intercultural education: A reflection book for schools" Council of Europe publishing 2007

      56 Smolicz, J. J., "Multiculturalism in Australia: rhetoric or reality?" 12 (12): 1985

      57 Kramsch, C., "Language and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58 Zeuner, U., "Landeskunde und interkulturelles Lemen in den verschiedenen Ausbildungsbereichen “Deutsch als Fremdspräche” an der Technischen Universitaten Dresden" 2 (2): 1997

      59 Hendon, U. S., "Introducing cultures in elementary college language class" 64 (64): 1980

      60 Gay, P., "Doing Cultural Studies-The Story of Walkman" SAGE Publications Ltd 1997

      61 Tomalin, B., "Cultural Awarenes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62 Cox, B., "Cox on cox: An English Curriculum for the 1990s" Hodders & Stoughton 1991

      63 Kramsch, C., "Context and culture in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64 Gagne, R., "Condition of learning and theory of instruc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