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2022년까지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해 이루어진 연구의 동향 및 내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 총 37편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주제는 크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67543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3-298(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2022년까지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해 이루어진 연구의 동향 및 내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 총 37편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주제는 크게 ...
[목적] 본 연구는 2022년까지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해 이루어진 연구의 동향 및 내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 총 37편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주제는 크게 중앙특수교육지원운영에 대한 중요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내실화 관련 연구,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중 순회교육에 관련 연구,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중 진단 평가에 관련 연구, 특수교육대상자 중 장애영역에 관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법적근거, 역할 및 한계점 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결과] 최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을 넘어선 특수교육원 설립 및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주제에 따른 결과를 다섯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여서 제시하였다. [결론]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해 이루이진 연구의 동향 및 내용을 통하여 지속 늘어나고 있는 특수교육원애 대한 연구에 시사점응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이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으로 여러 시·도에서 진행되거나 진행예정인 특수교육원 운영 및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rends and contents of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up tp the year 2022. [Method] A total of 37 theses and academic research were analyzed. The research topics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studies on...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rends and contents of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up tp the year 2022. [Method] A total of 37 theses and academic research were analyzed. The research topics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centr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operation, research on itinerant education as a part of special education services, research on diagnostic assessment as a part of special education services, and studies categorized by disability areas among special education beneficiaries. [Result] The analysis included the legal basis, roles, and limitation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beyond the function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oper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일 ; 고혜정 ; 신재현 ; 김이내 ; 김붕년 ; 이기정,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현행 지침 시행과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3 (13): 253-283, 2012
2 김인숙,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수교육관련서비스에 대한 장애유아부모의 인식도와 요구도 조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박경란 ; 박미정,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실태 및 지원 요구 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9 (19): 1-22, 2018
4 홍은숙 ; 유장순 ; 박경옥,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로 및 직업교육과 평생교육에 대한 운영현황 및 지원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509-531, 2011
5 박경옥 ; 홍은숙 ; 오세철,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ㆍ평가 운영현황과 효율적 지원방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20, 2011
6 이은정 ; 신순자 ; 정윤우 ; 김봉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정서・행동장애 아동 교육 지원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 (20): 141-160, 2013
7 서효정 ; 강은영 ; 박윤정,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및 역할에 대한 실태 및 개선 요구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3 (23): 115-139, 2021
8 손영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9 최재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 방안 탐색:센터 전담교사와 학교현장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핵심집단면담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9 (9): 71-94, 2010
10 김성애 ; 이정현 ; 박현옥 ; 이병인,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1 김동일 ; 고혜정 ; 신재현 ; 김이내 ; 김붕년 ; 이기정,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현행 지침 시행과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3 (13): 253-283, 2012
2 김인숙,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수교육관련서비스에 대한 장애유아부모의 인식도와 요구도 조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박경란 ; 박미정,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실태 및 지원 요구 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9 (19): 1-22, 2018
4 홍은숙 ; 유장순 ; 박경옥,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로 및 직업교육과 평생교육에 대한 운영현황 및 지원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509-531, 2011
5 박경옥 ; 홍은숙 ; 오세철,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ㆍ평가 운영현황과 효율적 지원방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20, 2011
6 이은정 ; 신순자 ; 정윤우 ; 김봉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정서・행동장애 아동 교육 지원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 (20): 141-160, 2013
7 서효정 ; 강은영 ; 박윤정,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및 역할에 대한 실태 및 개선 요구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3 (23): 115-139, 2021
8 손영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9 최재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 방안 탐색:센터 전담교사와 학교현장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핵심집단면담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9 (9): 71-94, 2010
10 김성애 ; 이정현 ; 박현옥 ; 이병인,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11 김양주,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학부모의 만족도 및 역할기대 비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김양주,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학부모의 만족도 및 역할기대 비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3 이은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와 장애유아부모의 인식" 24 (24): 65-81, 2014
14 김정민 ; 임해주 ; 김경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321-338, 2014
15 오세철 ; 홍은숙 ; 박경옥, "특수교육지원센터 평가지표 타당화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277-299, 2010
16 박선정,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직무수행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17 박재영, "특수교육지원센터 통합교육 지원교사의 직무수행 경험과 요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18 조수민 ; 홍재영,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가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253-272, 2022
19 정진용, "특수교육지원센터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20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효율화를 위한 현장요구조사"
21 이재호,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 확대에 따른 광주특수교육원 설립방안연구" 광주광역시교육연구정보원 2023
22 박성우 ; 권택환,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전담인력 인식 조사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8 (28): 123-147, 2012
23 이종원, "특수교육지원센터 소속 치료사가 순회치료지원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개선방안: G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24 곽미향, "특수교육지원센터 소속 순회교사의 근무 인식과 지원요구: C도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25 최세민, "특수교육지원센터 서비스 질 결정 요인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1 (11): 91-108, 2012
26 여선옥, "특수교육지원센터 방학 중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및 지원센터 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27 안성우 ; 김정은 ; 박병도 ; 최상배,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원의 전문성과 처우에 대한 인식과 지원요구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165-196, 2014
28 김혜령,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의 직무수행활동에 대한 인식과 지원요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29 최진욱, "특수교육원 설립요인과 특수교육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23
30 조수민, "초임교사가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31 정은지 ; 최상배,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담당자가 경험하는 운영상의 어려움과 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133-155, 2019
32 이설희 ; 최진희 ; 조아라 ; 최재연 ; 박은혜,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가와 부모의 지원요구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55-83, 2019
33 강경숙 ; 육주혜 ; 박근호 ; 김호연 ; 정광조 ; 김태준, "중앙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특수교육관계자의 인식 및 운영방안 탐색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459-482, 2010
34 교육부, "제 3차 특수교육발전 종합계획(2018~2022)"
35 교육부, "제 3차 특수교육발전 종합계획(2008~2012)"
36 이상훈, "정서·행동장애학생의 교육지원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1-21, 2013
37 신순자, "정서·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지원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38 오창우, "시각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 실태와 활성화 방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39 박승희 ; 이정은 ; 최혜리 ; 윤성희, "서울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 절차의 문제와 개선방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29-61, 2015
40 정주희,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특수교육지원센터 진단 평가 실태 및 지원 요구"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2022
41 강은영 ; 박윤정 ; 서효정,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를 통해 살펴본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및 선정·배치 실태와 질적 제고 방안" 한국특수아동학회 22 (22): 215-246, 2020
42 강은영 ; 최나리 ; 강경숙 ; 김주영, "경기도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을 통해 살펴본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개선 방안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60 (60): 1-23, 2021
43 교육부, "2023년 특수교육통계"
44 교육부, "2022년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교육부 2022
가족이 참여한 장애학생 성인기 전환 중재 관련 문헌 연구
장애영아 개별화가족지원계획(IFSP)에 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 -서울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동향과 치료중재 효과크기 검증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