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범주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ategoriz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For Stroke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46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범주화 훈련이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12월부터 2014년 3월까지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에 따라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작업치료 중재 및 추가적으로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범주화 훈련을 실시한 실험군 15명,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작업치료 중재 및 추가적으로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인지치료만을 받는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어 주 2회, 30분씩 8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치료 전․후의 인지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CNT를 시행하였고, 자기효능감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적,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범주화 훈련을 시행한 집단이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인지치료를 시행한 집단에 비해 인지기능이 향상되었다(p< .05).
      둘째, 범주화 훈련을 시행한 집단이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인지치료를 시행한 집단에 비해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p< .05).
      셋째, 인지기능 중 언어성 기억과 시공간 기억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범주화 훈련은 전통적인 인지치료와 함께 중재시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으며, 임상에서 간편하고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를 좀 더 기능적이며 특정 상황과 관련성이 높은 과제들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의 사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범주화 훈련이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12월부터 2014년 3월까지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범주화 훈련이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12월부터 2014년 3월까지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에 따라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작업치료 중재 및 추가적으로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범주화 훈련을 실시한 실험군 15명,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작업치료 중재 및 추가적으로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인지치료만을 받는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어 주 2회, 30분씩 8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치료 전․후의 인지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CNT를 시행하였고, 자기효능감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적,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범주화 훈련을 시행한 집단이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인지치료를 시행한 집단에 비해 인지기능이 향상되었다(p< .05).
      둘째, 범주화 훈련을 시행한 집단이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전통적인 인지치료를 시행한 집단에 비해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p< .05).
      셋째, 인지기능 중 언어성 기억과 시공간 기억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범주화 훈련은 전통적인 인지치료와 함께 중재시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으며, 임상에서 간편하고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를 좀 더 기능적이며 특정 상황과 관련성이 높은 과제들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의 사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tegoriz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in patients with stroke. This study was conducted at K hospital located in Daegu from December 2013 to March 2014.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selected according to criteria to select the research targets. Fifte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categorization training intervention,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for increase cognitive function. Fifteen patients with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for increase cognitive function for 30 minutes per each session two times a week for total eight weeks. CNT were conducted to compare cogni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Self-efficacy scale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elf-efficac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troke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in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and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p< .05), and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increase compared to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s(p< .05).
      Second, the general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in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p< .05), furthermore general self-efficacy in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s(p< .05).
      Third, verbal learning, visual memory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bility to general self-efficacy(p< .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ategorization training increase cognitive function and improves the self-efficacy of stroke patients compared with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therefore, is expected to be useful in clinic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 to increase cognitive function with programs consist of more functional and highly related to specific situation task.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tegoriz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in patients with stroke. This study was conducted at K hospital located in Daegu from December 2013 to March 2014. Patients diagnosed with 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tegoriz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in patients with stroke. This study was conducted at K hospital located in Daegu from December 2013 to March 2014.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selected according to criteria to select the research targets. Fifte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categorization training intervention,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for increase cognitive function. Fifteen patients with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for increase cognitive function for 30 minutes per each session two times a week for total eight weeks. CNT were conducted to compare cogni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Self-efficacy scale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elf-efficac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troke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in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and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p< .05), and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increase compared to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s(p< .05).
      Second, the general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in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p< .05), furthermore general self-efficacy in categorization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groups(p< .05).
      Third, verbal learning, visual memory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bility to general self-efficacy(p< .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ategorization training increase cognitive function and improves the self-efficacy of stroke patients compared with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therefore, is expected to be useful in clinic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 to increase cognitive function with programs consist of more functional and highly related to specific situation tas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가설 6
      • 3. 용어의 정의 7
      • 1) 범주화(categorization)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가설 6
      • 3. 용어의 정의 7
      • 1) 범주화(categorization) 7
      • 2) 자기효능감(self-efficacy)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 8
      • 2.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9
      • 3.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10
      • 4. 범주화 훈련 12
      • Ⅲ. 연구 방법 13
      • 1. 연구 기간 및 대상 13
      • 1) 연구대상 선정 기준 13
      • 2) 연구대상 제외 기준 14
      • 2. 연구 도구 15
      • 1) 대상자 선별 검사 도구: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
      •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 MMSE-K) 15
      • 2) 전산화 신경인지 기능 평가 15
      •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15
      • 3) 자기효능감 척도 18
      • 3. 범주화 훈련 방법 19
      • 4. 연구 절차 21
      • 5. 자료 분석 22
      • Ⅳ. 연구 결과 24
      •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4
      • 2. 범주화 훈련과 전통적인 인지치료 중재에 따른 인지기능의 변화 비교 27
      • 1) 범주화 훈련과 전통적인 인지치료 중재에 따른 CNT 점수의 변화 비교 27
      • 3. 범주화 훈련과 전통적인 인지치료 중재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변화 비교 43
      • 4.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46
      • 1) 지속적인 주의력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46
      • 2) 선택적인 주의력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46
      • 3) 언어성 기억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47
      • 4) 시공간 기억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47
      • 5) 실행기능과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48
      • Ⅴ. 고찰 49
      • 1.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49
      • 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51
      • Ⅵ. 결론 54
      • 참고문헌 56
      • 영문초록 64
      • 부록 Ⅰ 연구 참여 동의서 66
      • 부록 Ⅱ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 67
      •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MMSE-K) 67
      • 부록 Ⅲ 전산화 신경인지 기능 평가 68
      •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68
      • 부록 Ⅳ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및 신뢰도 69
      • 부록 Ⅴ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 및 신뢰도 71
      • 부록 Ⅵ 그림카드 73
      • 부록 Ⅶ 범주화 훈련 단어목록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