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생활리듬이 삶의 만족도와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ircadian Rhythm on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tic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9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ircadian rhythm on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tic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general, the three types of circadian rhythm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ircadian rhythm on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tic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general, the three types of circadian rhythm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the students with morning type of circadian rhythm had higher scores on life satisfaction than the students with the evening type. Also, the students with the morning type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ings positively which led to more good things happening to them. In comparison, the students with the evening type were more likely to think of the bad things which persistently influenced them negatively. And, the students with the evening type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the external factors(others or environment) for the causes of the bad things than the middle type stud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circadian rhythm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tic attitudes. Finally, we need to effectively modify educational environments to best suit the circadian rhythm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ducate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importance of circadian rhyth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생활리듬이 삶의 만족도와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주기 생활리듬점수를 기준으로 3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생활리듬점수가 전체 연구대상자의 20%에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생활리듬이 삶의 만족도와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주기 생활리듬점수를 기준으로 3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생활리듬점수가 전체 연구대상자의 20%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아침형 집단(37점 이상)으로, 하위 20%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저녁형 집단(26점 이하)으로, 그리고 중간 20%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중간형 집단(31-33점)으로 분류한 후 집단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낙관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침형 집단의 학생들은 저녁형 집단의 학생들보다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리듬의 유형에 따른 낙관적 태도에서는 나쁜 일에 대한 비관성과 좋은 일에 대한 낙관성, 나쁜 일에 대한 확산도와 개인화, 좋은 일에 대한 지속성과 개인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저녁형의 학생들은 아침형 학생들 보다 나쁜 일의 원인이 더 지속적이라는 태도를 보였고, 좋은 일에 대한 확산도에서는 아침형 집단이 저녁형 집단과 중간형 집단보다 좋은 일이 더 확산될 것이라는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침형 집단이 저녁형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삶의 만족도가 더 높고, 특히 좋은 일에 대해서는 보다 확산적인 태도를, 나쁜 일에 대해서는 보다 덜 지속적이고 일시적인 일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점과 아침형 집단이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이유, 그리고 제한점과 추후연구에서 밝혀야 할 내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일주기성 리듬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4 (4): 813-829, 2003

      2 "인생을 두배로 사는 아침형 인간" 한스미디어 2003

      3 "이혼 여성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성신여자대학교 1998

      4 "아침형 인간으로 변신하라" 명진출판사 2003

      5 "교대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http://www. yumc.or.kr 2002

      6 "각성과 수면주기" 2003

      7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an examination of hypothesized causal linkages" 33-49, 1994

      8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0-648,

      9 "Towards a predictive test of adjustment to shift work" 22 : 79-91, 1979

      10 "The influence of lifestyle and night-shift work on sleep problems among female hospital nurses in Japan" 48 (48): 595-603, 2001

      1 "일주기성 리듬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4 (4): 813-829, 2003

      2 "인생을 두배로 사는 아침형 인간" 한스미디어 2003

      3 "이혼 여성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성신여자대학교 1998

      4 "아침형 인간으로 변신하라" 명진출판사 2003

      5 "교대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http://www. yumc.or.kr 2002

      6 "각성과 수면주기" 2003

      7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an examination of hypothesized causal linkages" 33-49, 1994

      8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0-648,

      9 "Towards a predictive test of adjustment to shift work" 22 : 79-91, 1979

      10 "The influence of lifestyle and night-shift work on sleep problems among female hospital nurses in Japan" 48 (48): 595-603, 2001

      11 "The clock within" december : 1980-, 1980

      12 "The biology of hope" 1979

      13 "The Campodimele study: 24-hour blood pressure in rural life style subjects" 86 (86): 265-271, 1995

      14 "Sleep habits among adolescents" 121 (121): 331-333, 2001

      15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Coping Process" McGraw Hill 1966

      16 "Melanopsin(0pn4) requirment for normal light-induced circadian phase shifting" 2002

      17 Kerkhof,G,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human circadian system:A review" 20 : 83-112, 1985

      18 "Evaluation of thre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s with suggestions for an improved measure of morning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8-738, 1989

      19 "Circadian rhythms in general" 165-182, 1990

      20 Kawasaki, T, "Circadian rhythm of blood pressure and life style: a study of clinically healthy subjects living in rural and industrialized countries" 10 (10): 281-285, 1996

      21 "Circadian Rhythm과 심리적 적응" 3 (3): 129-140, 1998

      22 "Ambulatory blood pressure motoring for evalu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style,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risk" 22 (22): 226-231, 1995

      23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o determine morningness- eveningness in human circadian rhythms" 4 : 97-110, 1976

      24 "A diurnal type scale" 6 : 283-290,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