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孟子의 政治思想에 대한 硏究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맹자가 활동하던 전국시대에 백성들의 삶은 힘들었고 사회는 매우 혼란하였다. 각 나라들은 영토를 확장하는 데에만 힘을 쏟아 급기야 천하를 차지하려는 시기였다. 이러한 욕심으로 끊임없이 전쟁은 이어졌다. 맹자는 이 모든 문제들이 군주가 내세우는 부국강병 정책에 있다고 보았다. 즉 군주들이 말하는 힘에 의한 정치, 즉 패도정치의 발생이 그 원인이라고 본 것이다.
      맹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군주가 도덕심을 기반으로 한 인정을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여기서 말하는 인정이 곧 왕도정치를 말하는 것이다. 군주가 도덕심을 기반으로 왕도정치를 시행할 수 있다고 보았다.
      왕도정치의 기본은 성선설에 있다. 백성의 불행과 고통을 차마 보아 넘길 수 없는 마음가짐으로 행하는 정치이다. 맹자는 사람이 누구나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성선설의 근거로 말한다. 누구나 선한 본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군주가 자신의 선한 본성을 정치적으로 발휘하고 이루어 나가면 그것이 바로 왕도정치가 되는 것이다. 백성들 또한 선한 본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군주가 왕도를 실천하면 백성들은 자연스럽게 마음속으로 군주에게 복종하게 된다.
      군주가 덕을 지니면 현명하고 덕을 갖춘 관리가 저절로 모여들고 그들이 왕도정치에 참여하면 왕도가 일반 백성들에게도 실천된다.
      인정은 왕도정치의 다른 이름이다. 즉 남에게 나쁜 일을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으로 하는 정치이다. 그러므로 인정을 행하는 군주는 백성의 불행과 고통을 보고 차마 보아 넘기지 못한다. 맹자는 인정을 행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천하를 얻느냐 못 얻느냐가 결정된다고 하였다.
      군주는 다스림을 받는 백성과 즐거움과 걱정을 함께 해야 한다는 말이다. 천하 사람들과 즐거움과 근심을 같이 해야 한다는 말에는 군주와 백성은 고락을 같이하는 운명공동체라고 하는 인식이 있고 이것이 바로 왕도정치 정신의 바탕인 것이다.
      번역하기

      맹자가 활동하던 전국시대에 백성들의 삶은 힘들었고 사회는 매우 혼란하였다. 각 나라들은 영토를 확장하는 데에만 힘을 쏟아 급기야 천하를 차지하려는 시기였다. 이러한 욕심으로 끊임...

      맹자가 활동하던 전국시대에 백성들의 삶은 힘들었고 사회는 매우 혼란하였다. 각 나라들은 영토를 확장하는 데에만 힘을 쏟아 급기야 천하를 차지하려는 시기였다. 이러한 욕심으로 끊임없이 전쟁은 이어졌다. 맹자는 이 모든 문제들이 군주가 내세우는 부국강병 정책에 있다고 보았다. 즉 군주들이 말하는 힘에 의한 정치, 즉 패도정치의 발생이 그 원인이라고 본 것이다.
      맹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군주가 도덕심을 기반으로 한 인정을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여기서 말하는 인정이 곧 왕도정치를 말하는 것이다. 군주가 도덕심을 기반으로 왕도정치를 시행할 수 있다고 보았다.
      왕도정치의 기본은 성선설에 있다. 백성의 불행과 고통을 차마 보아 넘길 수 없는 마음가짐으로 행하는 정치이다. 맹자는 사람이 누구나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성선설의 근거로 말한다. 누구나 선한 본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군주가 자신의 선한 본성을 정치적으로 발휘하고 이루어 나가면 그것이 바로 왕도정치가 되는 것이다. 백성들 또한 선한 본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군주가 왕도를 실천하면 백성들은 자연스럽게 마음속으로 군주에게 복종하게 된다.
      군주가 덕을 지니면 현명하고 덕을 갖춘 관리가 저절로 모여들고 그들이 왕도정치에 참여하면 왕도가 일반 백성들에게도 실천된다.
      인정은 왕도정치의 다른 이름이다. 즉 남에게 나쁜 일을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으로 하는 정치이다. 그러므로 인정을 행하는 군주는 백성의 불행과 고통을 보고 차마 보아 넘기지 못한다. 맹자는 인정을 행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천하를 얻느냐 못 얻느냐가 결정된다고 하였다.
      군주는 다스림을 받는 백성과 즐거움과 걱정을 함께 해야 한다는 말이다. 천하 사람들과 즐거움과 근심을 같이 해야 한다는 말에는 군주와 백성은 고락을 같이하는 운명공동체라고 하는 인식이 있고 이것이 바로 왕도정치 정신의 바탕인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Mencius era, the lives of the people were difficult and society was very confused. Each country sought to expand it’s territory so as to occupy all under the heavens. So wars were endless dues to such desires and motivations. Mencius understood that all these problems stemmed from the policy of strengthening military power by monarchs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In other words, politics was based on the power that the monarchs sought to maintain and thus military government arose.
      Mencius thought that to solve this problem, the monarch should seek to govern in a humane manner based on moral sentiments and principles. Humane governance refers to the governance based on the Royal Way. He saw that the monarch could implement the governance of the Royal Way based on moral ways of thinking.
      The core of the governance by Royal Way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humans beings are originally and basically good. It is a politics based on the notion that one should not convey or inflict unhappiness and suffering on others. Mencius says that everyone possesses the potential to behave well to others. Since everyone has a good nature, if monarchs practice the Royal Way politically, people will become obedient to the monarch naturally in their minds and hearts.
      If monarchs demonstrate virtues, wise and virtuous officials will gather by themselves, and if they participate in the governance of the Royal Way, the Royal Way will be practiced by the general people as well.
      Mencius said that if humane governance is carried out the trust and loyalty of all people under heaven can be obtained, and if it is not carried out such trust and loyalty cannot be obtained. It means that monarchs must share their joys and concerns with the people who are governed. In his words, there is an awareness that monarchs and the people form a community and share a common destiny and that pleasures and sorrows should be experienced together. This is in fact the spiritual basis of governance by the Royal Way.
      번역하기

      During the Mencius era, the lives of the people were difficult and society was very confused. Each country sought to expand it’s territory so as to occupy all under the heavens. So wars were endless dues to such desires and motivations. Mencius unde...

      During the Mencius era, the lives of the people were difficult and society was very confused. Each country sought to expand it’s territory so as to occupy all under the heavens. So wars were endless dues to such desires and motivations. Mencius understood that all these problems stemmed from the policy of strengthening military power by monarchs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In other words, politics was based on the power that the monarchs sought to maintain and thus military government arose.
      Mencius thought that to solve this problem, the monarch should seek to govern in a humane manner based on moral sentiments and principles. Humane governance refers to the governance based on the Royal Way. He saw that the monarch could implement the governance of the Royal Way based on moral ways of thinking.
      The core of the governance by Royal Way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humans beings are originally and basically good. It is a politics based on the notion that one should not convey or inflict unhappiness and suffering on others. Mencius says that everyone possesses the potential to behave well to others. Since everyone has a good nature, if monarchs practice the Royal Way politically, people will become obedient to the monarch naturally in their minds and hearts.
      If monarchs demonstrate virtues, wise and virtuous officials will gather by themselves, and if they participate in the governance of the Royal Way, the Royal Way will be practiced by the general people as well.
      Mencius said that if humane governance is carried out the trust and loyalty of all people under heaven can be obtained, and if it is not carried out such trust and loyalty cannot be obtained. It means that monarchs must share their joys and concerns with the people who are governed. In his words, there is an awareness that monarchs and the people form a community and share a common destiny and that pleasures and sorrows should be experienced together. This is in fact the spiritual basis of governance by the Royal 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 Ⅱ. 孟子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 Ⅲ. 孟子의 性善設
      • Ⅳ. 孟子의 王道政治
      • Ⅴ. 孝悌와 忠恕
      • Ⅰ. 序論
      • Ⅱ. 孟子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 Ⅲ. 孟子의 性善設
      • Ⅳ. 孟子의 王道政治
      • Ⅴ. 孝悌와 忠恕
      • Ⅵ. 結論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