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 대학생의 세월호 추모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s of a University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Memorial to the Sewol Ferry Victi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79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 university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memorial to the Sewol Ferry Victims. The Narrative Inquiry, which explores the individual’s experiences through stories, explored the stories of Yu Ha-neul in memorial to the Sewol Ferry victims and the changes afterwards. Although the Sewol Ferry tribute activity was difficult and demanding, Yu Ha-Neul was able to hold out for a long time as the people who were with him were good Yu Ha-neul experienc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during the Sewol ferry tribute. The changes that the Yu’s experienced include: First, Yu’s learned that the sincerity matterswhen you are wholehearted t in meeting people. Second, thanks to the people he met during Sewol Ferry tribute, Yu’s, who usually did not believe in people, was able to trust people. Third, Yu Ha-Neul, who did not take much care of his body and mind, knew he needed to care more for himself Fourth, Yu’s came to have a life goal to create a better society. Fifth, Yu’s began to feel afraid that someone close to him would leave. Sixth, as the Sewol Ferry tribute was extended, Yu Ha-Neul began to have wounds.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is study will extend beyond the understanding of Yu Ha-Neul who participated in the memorial to the Sewol Ferry v victims to the overall experience of those who help others. The researcher also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helping people who help ot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 university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memorial to the Sewol Ferry Victims. The Narrative Inquiry, which explores the individual’s experiences through stories, explored the storie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 university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memorial to the Sewol Ferry Victims. The Narrative Inquiry, which explores the individual’s experiences through stories, explored the stories of Yu Ha-neul in memorial to the Sewol Ferry victims and the changes afterwards. Although the Sewol Ferry tribute activity was difficult and demanding, Yu Ha-Neul was able to hold out for a long time as the people who were with him were good Yu Ha-neul experienc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during the Sewol ferry tribute. The changes that the Yu’s experienced include: First, Yu’s learned that the sincerity matterswhen you are wholehearted t in meeting people. Second, thanks to the people he met during Sewol Ferry tribute, Yu’s, who usually did not believe in people, was able to trust people. Third, Yu Ha-Neul, who did not take much care of his body and mind, knew he needed to care more for himself Fourth, Yu’s came to have a life goal to create a better society. Fifth, Yu’s began to feel afraid that someone close to him would leave. Sixth, as the Sewol Ferry tribute was extended, Yu Ha-Neul began to have wounds.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is study will extend beyond the understanding of Yu Ha-Neul who participated in the memorial to the Sewol Ferry v victims to the overall experience of those who help others. The researcher also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helping people who help ot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세월호 추모활동에 참여한 한 대학생의 활동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개인의 경험을 이야기를 통해 탐구하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참여자 유하늘의 세월호 추모활동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탐구하였다. 참여자 유하늘은 세월호 추모활동이 버겁고 힘들었지만 함께하는 사람들이 좋은 사람들이라 오랜 시간을 버텨올 수 있었다. 유하늘은 세월호 추모활동을 경험하면서 성장과 피해를 모두 경험하였다. 유하늘이 겪은 경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하늘은 사람을 만나는 데 진심을 다하면 그 진심이 통한다는 것을 배웠다. 둘째, 사람을 믿지 못했던 유하늘은 세월호 추모활동을 겪으면서 만난 사람들로 인해 사람을 믿을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자신의 몸과 마음을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유하늘은 자신을 좀 더 소중하게 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넷째, 유하늘은 좀 더 좋은 사회를 만들고 싶다는 삶의 목표가 생겼다. 다섯째, 유하늘은 자신과 가까운 사람이 떠나간다는 게 두려워졌다. 여섯째, 세월호 추모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유하늘은 새로운 마음의 상처들이 생겨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하늘 개인 경험에 대한 이해를 넘어 세월호 추모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의 총체적인 경험에 대한 이해로 확장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누군가를 돕는 사람을 돕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가 되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세월호 추모활동에 참여한 한 대학생의 활동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개인의 경험을 이야기를 통해 탐구하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참여자 유하늘의 세월호 추모...

      본 연구는 세월호 추모활동에 참여한 한 대학생의 활동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개인의 경험을 이야기를 통해 탐구하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참여자 유하늘의 세월호 추모활동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탐구하였다. 참여자 유하늘은 세월호 추모활동이 버겁고 힘들었지만 함께하는 사람들이 좋은 사람들이라 오랜 시간을 버텨올 수 있었다. 유하늘은 세월호 추모활동을 경험하면서 성장과 피해를 모두 경험하였다. 유하늘이 겪은 경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하늘은 사람을 만나는 데 진심을 다하면 그 진심이 통한다는 것을 배웠다. 둘째, 사람을 믿지 못했던 유하늘은 세월호 추모활동을 겪으면서 만난 사람들로 인해 사람을 믿을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자신의 몸과 마음을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유하늘은 자신을 좀 더 소중하게 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넷째, 유하늘은 좀 더 좋은 사회를 만들고 싶다는 삶의 목표가 생겼다. 다섯째, 유하늘은 자신과 가까운 사람이 떠나간다는 게 두려워졌다. 여섯째, 세월호 추모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유하늘은 새로운 마음의 상처들이 생겨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하늘 개인 경험에 대한 이해를 넘어 세월호 추모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의 총체적인 경험에 대한 이해로 확장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누군가를 돕는 사람을 돕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가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해정, "정치적 애도를 통한 삶의 재건: 세월호 참사의 시민 경험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8 (18): 181-220, 2018

      2 김종엽, "이해와 이데올로기 사이에서-세월호 참사에 대한 몇 가지 고찰" 비판사회학회 (104) : 81-111, 2014

      3 권석만,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서울] 2014

      4 권정민, "유아, 초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지능형 로봇 관련 연구 동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145-172, 2013

      5 김지현, "워킹맘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학령기 자녀 아동상담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질적탐구학회 6 (6): 135-178, 2020

      6 김수영, "세월호 참사 유가족과의 동고(同苦)경험에 관한 연구: “우리함께”의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1 (11): 95-129, 2017

      7 전지열,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애도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48, 2019

      8 이동훈,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내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심리정서, 신체, 인지, 행동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9 (29): 255-291, 2017

      9 김유진,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자조집단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667-699, 2018

      10 이동훈, "세월호 재난상담에 참여한 여성상담자의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20 (20): 369-400, 2015

      1 유해정, "정치적 애도를 통한 삶의 재건: 세월호 참사의 시민 경험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8 (18): 181-220, 2018

      2 김종엽, "이해와 이데올로기 사이에서-세월호 참사에 대한 몇 가지 고찰" 비판사회학회 (104) : 81-111, 2014

      3 권석만,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서울] 2014

      4 권정민, "유아, 초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지능형 로봇 관련 연구 동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145-172, 2013

      5 김지현, "워킹맘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학령기 자녀 아동상담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질적탐구학회 6 (6): 135-178, 2020

      6 김수영, "세월호 참사 유가족과의 동고(同苦)경험에 관한 연구: “우리함께”의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1 (11): 95-129, 2017

      7 전지열,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애도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48, 2019

      8 이동훈,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내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심리정서, 신체, 인지, 행동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9 (29): 255-291, 2017

      9 김유진,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자조집단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667-699, 2018

      10 이동훈, "세월호 재난상담에 참여한 여성상담자의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20 (20): 369-400, 2015

      11 김명희, "세월호 이후의 치유: 제프리 알렉산더의 ‘외상 과정’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19 : 11-53, 2015

      12 구승영, "세월호 사건을 겪은 학교에서 상담사로 살아내기" 서울대학교 2019

      13 고유식, "사회적 트라우마의 돌봄을 위한 「트라우마 상징」 연구" 한국목회상담학회 28 : 7-39, 2017

      14 김보경, "사회복지사의 재난 경험에 관한 연구 : 안산시 거주 사회복지사의 세월호 참사 경험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2019

      15 김홍중, "마음의 부서짐: 세월호 참사와 주권적 우울" 한국이론사회학회 (26) : 143-186, 2015

      16 한효정, "대학생의 세월호 참사 추모활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순천향대학교 2017

      17 홍영숙, "대학 편입학을 경험한 두 대학생이 살아낸 삶의 이야기 탐구: 편입학 경험에 이르기까지의 '교육 전환의 여정(Curricular Transition Journey)'을 통하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4 (4): 99-126, 2016

      18 김대현, "내러티브 탐구의 이론적 기반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11-134, 2006

      19 홍영숙,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3 (3): 5-21, 2015

      20 박민정,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학사 2007

      21 416 세월호 참사 시민기록위원회 작가기록단, "금요일엔 돌아오렴" 창비 2015

      22 노안영, "게슈탈트치료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3

      23 Clandinin, D. J., "International encydopedia of education" Elsevier 2010

      24 Mitton, J.,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negotiations of children’s and families’ lives in classroom curriculum making" University of Alberta 2008

      25 박영주, "5‧18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광주 트라우마센터의 심리적 및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정책연구원 (33) : 71-102, 2017

      26 정원옥, "4·16 이후, ‘애도의 정치’의 새로운 양상들" 283-299, 2016

      27 국민 안전처, "2014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 해양경비 안전본부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5-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Inquiry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Inquiry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