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해정, "정치적 애도를 통한 삶의 재건: 세월호 참사의 시민 경험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8 (18): 181-220, 2018
2 김종엽, "이해와 이데올로기 사이에서-세월호 참사에 대한 몇 가지 고찰" 비판사회학회 (104) : 81-111, 2014
3 권석만,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서울] 2014
4 권정민, "유아, 초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지능형 로봇 관련 연구 동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145-172, 2013
5 김지현, "워킹맘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학령기 자녀 아동상담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질적탐구학회 6 (6): 135-178, 2020
6 김수영, "세월호 참사 유가족과의 동고(同苦)경험에 관한 연구: “우리함께”의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1 (11): 95-129, 2017
7 전지열,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애도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48, 2019
8 이동훈,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내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심리정서, 신체, 인지, 행동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9 (29): 255-291, 2017
9 김유진,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자조집단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667-699, 2018
10 이동훈, "세월호 재난상담에 참여한 여성상담자의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20 (20): 369-400, 2015
1 유해정, "정치적 애도를 통한 삶의 재건: 세월호 참사의 시민 경험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8 (18): 181-220, 2018
2 김종엽, "이해와 이데올로기 사이에서-세월호 참사에 대한 몇 가지 고찰" 비판사회학회 (104) : 81-111, 2014
3 권석만,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서울] 2014
4 권정민, "유아, 초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지능형 로봇 관련 연구 동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145-172, 2013
5 김지현, "워킹맘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학령기 자녀 아동상담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질적탐구학회 6 (6): 135-178, 2020
6 김수영, "세월호 참사 유가족과의 동고(同苦)경험에 관한 연구: “우리함께”의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1 (11): 95-129, 2017
7 전지열,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애도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48, 2019
8 이동훈,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내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심리정서, 신체, 인지, 행동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9 (29): 255-291, 2017
9 김유진,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자조집단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667-699, 2018
10 이동훈, "세월호 재난상담에 참여한 여성상담자의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20 (20): 369-400, 2015
11 김명희, "세월호 이후의 치유: 제프리 알렉산더의 ‘외상 과정’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19 : 11-53, 2015
12 구승영, "세월호 사건을 겪은 학교에서 상담사로 살아내기" 서울대학교 2019
13 고유식, "사회적 트라우마의 돌봄을 위한 「트라우마 상징」 연구" 한국목회상담학회 28 : 7-39, 2017
14 김보경, "사회복지사의 재난 경험에 관한 연구 : 안산시 거주 사회복지사의 세월호 참사 경험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2019
15 김홍중, "마음의 부서짐: 세월호 참사와 주권적 우울" 한국이론사회학회 (26) : 143-186, 2015
16 한효정, "대학생의 세월호 참사 추모활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순천향대학교 2017
17 홍영숙, "대학 편입학을 경험한 두 대학생이 살아낸 삶의 이야기 탐구: 편입학 경험에 이르기까지의 '교육 전환의 여정(Curricular Transition Journey)'을 통하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4 (4): 99-126, 2016
18 김대현, "내러티브 탐구의 이론적 기반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11-134, 2006
19 홍영숙,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3 (3): 5-21, 2015
20 박민정,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학사 2007
21 416 세월호 참사 시민기록위원회 작가기록단, "금요일엔 돌아오렴" 창비 2015
22 노안영, "게슈탈트치료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3
23 Clandinin, D. J., "International encydopedia of education" Elsevier 2010
24 Mitton, J.,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negotiations of children’s and families’ lives in classroom curriculum making" University of Alberta 2008
25 박영주, "5‧18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광주 트라우마센터의 심리적 및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정책연구원 (33) : 71-102, 2017
26 정원옥, "4·16 이후, ‘애도의 정치’의 새로운 양상들" 283-299, 2016
27 국민 안전처, "2014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 해양경비 안전본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