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정지, "현대 아트 주얼리의 발현과 의미 연구 -착용 예술 (Wearable Art)개념의 발달을 중심으로-" 한국조형디자인학회 12 (12): 7-21, 2009
2 전혜숙,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술" 아카넷 2015
3 김계옥, "웨어러블 아트로서 신체확장 표현연구" 홍익대학교 2015
4 우선미, "에두아르도 카츠의 바이오 아트 작품 분석 : 메타 포스트 휴머니즘적 접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5 전혜숙, "식물의 변형과 혼성을 이용한 바이오아트 연구" 한국미술이론학회 (15) : 137-165, 2013
6 Donna Haraway, "사이보그를 위한 선언문 : 1980년대에 있어서 과학, 테크놀러지, 그리고 사회주의 페머니즘" 문화과학사 1997
7 김계옥, "비물질적 표현으로서 장신구아트 - <제 2의 피부로서의 장신구>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3) : 45-56, 2016
8 전혜숙, "미술 속의 포스트휴먼 신체와 의학" 미술사학연구회 (37) : 117-154, 2011
9 전혜숙, "미디어의 측면에서 본 바이오아트" 현대미술사학회 (34) : 243-273, 2013
10 "https://nikkistott.carbonmade.com/projects/2033569"
1 김정지, "현대 아트 주얼리의 발현과 의미 연구 -착용 예술 (Wearable Art)개념의 발달을 중심으로-" 한국조형디자인학회 12 (12): 7-21, 2009
2 전혜숙,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술" 아카넷 2015
3 김계옥, "웨어러블 아트로서 신체확장 표현연구" 홍익대학교 2015
4 우선미, "에두아르도 카츠의 바이오 아트 작품 분석 : 메타 포스트 휴머니즘적 접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5 전혜숙, "식물의 변형과 혼성을 이용한 바이오아트 연구" 한국미술이론학회 (15) : 137-165, 2013
6 Donna Haraway, "사이보그를 위한 선언문 : 1980년대에 있어서 과학, 테크놀러지, 그리고 사회주의 페머니즘" 문화과학사 1997
7 김계옥, "비물질적 표현으로서 장신구아트 - <제 2의 피부로서의 장신구>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3) : 45-56, 2016
8 전혜숙, "미술 속의 포스트휴먼 신체와 의학" 미술사학연구회 (37) : 117-154, 2011
9 전혜숙, "미디어의 측면에서 본 바이오아트" 현대미술사학회 (34) : 243-273, 2013
10 "https://nikkistott.carbonmade.com/projects/2033569"
11 "https://en.wikipedia.org/wiki/Wearable_art"
12 "http://www.npg.org.uk/about/press/genomic-portrait.php"
13 "http://www.amycongdon.com/biological-atelier-ss-2082-extinct"
14 "http://nataiaudrey.co.uk/DESIGN-FICTIONS-Posthumanty-in-the-Age-of-Synthetics"
15 R. Barthes, "Camera Lucida" Fontana 1984
16 William myers, "Bio design" Thames &Hudson 2012
17 William myers, "Bio art" Thames &Hudson 2015
18 신승철, "BIO ART" 미진사 2016
19 Christopher Langton, "Artificial Life" California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