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에 조선 표착민이 일본에 표착하면 국가 권력 사이의 외교권 속에서 형성된 송환체제에 의해서 규정되었다. 조선전기에는 일본 중세 국가의 국가 권력이 일원화되지 못하여 조선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17330
김강식 (한국해양대학교)
2022
Korean
landing ; repatriation ; residents ; Gyeongsang-province ; the late Joseon Dynasty ; 조선후기 ; 경상도 ; 일본 ; 표착 해역 ; 송환
KCI등재
학술저널
129-166(3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후기에 조선 표착민이 일본에 표착하면 국가 권력 사이의 외교권 속에서 형성된 송환체제에 의해서 규정되었다. 조선전기에는 일본 중세 국가의 국가 권력이 일원화되지 못하여 조선과...
조선후기에 조선 표착민이 일본에 표착하면 국가 권력 사이의 외교권 속에서 형성된 송환체제에 의해서 규정되었다. 조선전기에는 일본 중세 국가의 국가 권력이 일원화되지 못하여 조선과의 다원적인 체제가 작동하였지만, 조선후기에는 일본 근세 국가가 외교권을 독점함으로써 표착민 송환에서 단일체제가 작동하였다. 하지만 조선은 일본과의 교린체제로 유지함으로써 조선과 對馬島 사이의 조공적 관계를 유지하는 이중 구조를 계속 유지하였다. 이에 대마도의 양속성을 배제하고 표착민 송환을 말하는 것은 국가이념만을 강조하는 입장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입장에서 동북아시아 조일 해역에서 발생한 표착민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국가와 국가의 문제였지만, 동시에 국가와 지역의 문제였다. 그러나 전근대시기에 지역과 지역 사이의 직접적인 교섭보다는 국가를 통한 간접적인 절차와 교섭이 진행되었다. 이에 경상도 해안에서 표류하여 일본 해안에 표착한 조선의 경상도 표착민도 대마도와 부산이라는 지역을 통한 접촉과 교섭이 이루어지고 있었음에도 불구고, 시제로는 중앙 권력에 의해 해결될 수밖에 없었다.
조선후기에 조일 사이에서 표류민이 발생했던 표류 해역은 지리적・물리적 해역의 존재를 말해준다. 경상도 연안에서도 표류가 발생하는 원인은 연안의 돌풍이나 강풍이었는데, 조류나 기상이변을 주목할 수 있다. 조선후기에 경상도 연안에서 가장 많은 표류사고를 당한 울산인들의 40%가 나가토・이와미・치쿠젠에 표착했으며, 장기・경주・영해・영덕인들은 대마도보다도 나가토・이와미・치쿠젠에 많이 표착하였다. 조일 해역에서 발생했던 경상도 표류민은 조선후기의 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 어업 활동보다는 상업 활동을 하다가 표류당하는 경향이 높아갔다.
조선후기에 일본에 표착한 조선인의 송환 문제는 표착지였던 일본과 송환지 조선에서 두 차례 진행되었다. 일본에서 연안 표착민을 조선으로 송환하는 절차는 도쿠가와 바쿠후 주도로 행하였다. 일본의 혼슈나 큐슈에 표착했을 때는 나가사키로 보냈는데, 나가사키에서 쓰시마를 거쳐서 조선으로 송환되었다. 반면 쓰시마에 표착했을 때는 우선 후츄로 보내졌으며, 여기에서 와니우라나 사스나를 경유하여 동래로 송환되었다.
조선에서는 조선후기에 쓰시마에서 표차왜를 앞세워 조선인 표착민을 송환해 오면 접대는 경상도의 동래에서 진행되어 지역에서 많은 부담이 되었다. 구체적인 절차는 격군과 초탐장이 선박의 모양과 척수를 부산첨사에게 먼저 알리면, 부산진에서는 선박들을 초량왜관으로 인도하도록 한 후 구체적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동래부는 훈도와 별차가 가져온 서계와 노인을 예조에 보내어서 차왜 접대가 타당한 지의 여부를 검토한 후 접대하였다. 보통 茶禮, 下船宴(入船), 上船宴(出船)의 절차에 따라 연회를 모두 베풀어 주었는데, 鄕接慰官은 경상도의 수령이 맡아 진행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문수, "해항도시 문화교섭 여구 방법론" 도서출판 선인 2014
2 모모키 시로, "해역 아시아사 연구입문" 민속원 2012
3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중 근세 동아시아 해역세계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10
4 한일관계사학회, "조선후기 한일표착민연구" 국학자료원 2001
5 고동환, "조선후기 선상활동과 포구간 상풍유통의 양상-표류관계기록을 중심으로-" 14 : 1993
6 고동환, "조선후기 商船의 航行條件" 한국사연구회 (123) : 10-340, 2003
7 장혜련, "조선중기 제주유민 실태와 사회적 지위 변화" 부산경남사학회 (69) : 167-205, 2008
8 김강식, "조선시대 표해록 속의 표류민과 해역" 도서출판 선인 2018
9 김나영, "조선시대 제주인의 표류 발생 배경과 실태" 탐라문화연구원 (57) : 202-240, 2018
1 정문수, "해항도시 문화교섭 여구 방법론" 도서출판 선인 2014
2 모모키 시로, "해역 아시아사 연구입문" 민속원 2012
3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중 근세 동아시아 해역세계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10
4 한일관계사학회, "조선후기 한일표착민연구" 국학자료원 2001
5 고동환, "조선후기 선상활동과 포구간 상풍유통의 양상-표류관계기록을 중심으로-" 14 : 1993
6 고동환, "조선후기 商船의 航行條件" 한국사연구회 (123) : 10-340, 2003
7 장혜련, "조선중기 제주유민 실태와 사회적 지위 변화" 부산경남사학회 (69) : 167-205, 2008
8 김강식, "조선시대 표해록 속의 표류민과 해역" 도서출판 선인 2018
9 김나영, "조선시대 제주인의 표류 발생 배경과 실태" 탐라문화연구원 (57) : 202-240, 2018
10 김나영, "조선시대 濟州島 漂流․漂到 연구" 제주대 2017
11 정성일, "전라도와 일본-조선후기 해난사고 분석-" 경인문화사 2013
12 閔德基, "韓日間 漂流民에 관한 硏究" 12 : 2000
13 岸浩, "長門沿岸に漂着した朝鮮人の送還を巡る諸問題の檢討" 朝鮮學會 119 ·120 : 1986
14 三宅英利, "鎖國下における朝鮮官人の漂着" 北九州大學 文學部 20 : 1988
15 荒野泰典, "近世日本の漂流民送還体制と東アジア" 歷史科學協議會 400 : 1983
16 荒野泰典, "近世日本と東アジア" 東京大出版會 1998
17 池內敏, "近世日本と朝鮮漂流民" 臨川書店 1998
18 정성일, "漂流記錄을 통해서 본 朝鮮後期 漁民과 商人의 海上活動" 86 : 1996
19 鄭成一, "漂流記錄을 통해 본 朝鮮後期 漁民과 商人의 海上活動- ≪漂人領來謄錄≫과 ≪漂民被仰上帳≫을 중심으로-" 99 : 2002
20 李薰, "漂流兼帶制に對する一考察-1682年漂民順付(壬戌約條)交涉および運用を中心に" 九州大 5 : 1995
21 關周一, "東アジア海域の交流と對馬 博多" 歷史學硏究會 703 : 1997
22 木部和昭, "朝鮮漂流民の救助 送還にみる日朝兩國の接触-朝鮮通詞の問題と漂流民の騷擾事件を中心として-" 歷史人類學會 26 : 1993
23 李薰, "朝鮮後期 대마도의 漂流民送還과 對日관계" 26 : 1991
24 李薰, "朝鮮後期 漂流民과 韓日關係" 국학자료원 2000
25 高橋公明, "朝鮮外交秩序と東アジア海域の交流" 歷史學硏究會 573 : 1987
26 高橋公明, "幕藩制國家と異域 異國" 校倉書房 1989
27 정성일, "全羅道 住民의 日本列島 漂流記錄 分析과 데이터베이스화(1592~1909)" 한국사학회 (72) : 91-132, 2003
28 高橋公明, "中世東亞細亞海域에서의 海民과 交流-濟州民을 중심으로-" 8 : 1989
29 高橋公明, "中世東アジア海域における海民と交流-濟州島を中心として-" 名古屋大學文學部 33 : 1987
30 関周一, "中世日朝海域の硏究" 吉川弘文館 2002
31 김강식, "『표인영래등록』속의 제주도 표류민과 해역" 탐라문화연구원 (51) : 33-68, 2016
32 김강식, "『漂人領來謄錄』속의 경상도 표류민과 해역" 부산경남사학회 (103) : 35-75, 2017
33 朴眞美, "≪漂人領來謄錄≫의 綜合的 考察" 19 : 1996
34 이훈, "‘漂流’를 통해서 본 근대 한일관계" 한국사연구회 (123) : 9-308, 2003
35 池內敏, "18세기 일본 민중의 조선 인식" 국학연구원 84 : 1994
36 김갑주, "17C후반~18C전반의 사회현상의 일단-북해도 조선표인관계 기록을 중심으로-" 72 : 1996
해운회사의 내부마케팅이 종업원의 조직에 대한 신뢰와 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반까지 중・일 양국 간의 화폐 유통 - 일본과 명의 선전령(選錢令) 분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62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