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도국 교육정보화 정책의 동향: 우리나라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2008∼2018) = A Study on the Traits of ICT in Education Policies in Developing Countries: Focus on Priority Partner Countries(2008-201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8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trend and the main traits of ICT in education policies from developing countries. To do this, main trait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region, GNI, and IDI. The subject of analysis was from 24 priority partners of Korea and the period of subject is ten years(2008~2018). The major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only two countries have separate ICT in education policies. The rest were belonged to education policies or ICT policies. In the case of having separate ICT in education policy, they had more wide, extensive and sophisticated strategies. Second, content factor analysis showed that “vision and planing” and “ICT infrastructure” are high while “Teachers”, “Skills and Competencies”, “Learning resources”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are low in frequency analysis. Third, coverage and concreteness was wider and better in African countries than Asian, which is inverse result to their GNI and IDI ranking. Forth, in many case, the policies were not made with well-planned pre-analysis, so they look difficult to be realized. Moreover, consideration of “transformative change” which can happen with ICT in education was not considered in the policies.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trend and the main traits of ICT in education policies from developing countries. To do this, main trait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region, GNI, and IDI. The subject of analysis was from 24 priority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trend and the main traits of ICT in education policies from developing countries. To do this, main trait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region, GNI, and IDI. The subject of analysis was from 24 priority partners of Korea and the period of subject is ten years(2008~2018). The major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only two countries have separate ICT in education policies. The rest were belonged to education policies or ICT policies. In the case of having separate ICT in education policy, they had more wide, extensive and sophisticated strategies. Second, content factor analysis showed that “vision and planing” and “ICT infrastructure” are high while “Teachers”, “Skills and Competencies”, “Learning resources”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are low in frequency analysis. Third, coverage and concreteness was wider and better in African countries than Asian, which is inverse result to their GNI and IDI ranking. Forth, in many case, the policies were not made with well-planned pre-analysis, so they look difficult to be realized. Moreover, consideration of “transformative change” which can happen with ICT in education was not considered in the polic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도국 교육정보화 정책의 동향 및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도국 교육정보화 정책관련 국제개발협력사업에서의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중점협력국 24개국의 지난 10년간 정부 부처에서 발간된 교육 정보화 정책 관련 문서들을 대상으로 유형, 핵심내용요소, 지역별, 소득수준별, 정보화 수준별 특징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도국의 교육정보화 정책은 2개국을 제외하고는 교육정책 및 ICT 정책에 종속되어 있었다. 별도의 교육정보화 정책이 수립된 경우 정책의 방향이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이었다. 둘째, 내용 요소의 빈도 분석에서는 대부분 비전 및 계획하기, ICT 기기 및 인프라 구축 등이 빈도가 높았고, 교사연수 및 행정 역량 개발, 관리시스템, 모니터링 및 평가 등은 낮았다. 셋째, 아프리카 국가들의 정책의 범위와 구체성이 아시아 국가들보다 더 높았는데 이는 소득 및 정보화 순위와 반비례하는 결과였다. 중동/CIS 국가들은 직업 교육에서의 정보화에 주목하고 있었다. 넷째, 개도국의 여건에 대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현실적인 정책이 부족하여 제시된 정책의 내용이 비슷하게 전개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교육 정보화가 야기할 변혁적 변화가 고려되지 않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정보화 정책 관련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의 설립과 운영에 대한 요구가 대부분의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어, 이와 관련한 협력 사업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개도국의 교육정보화 정책가 및 행정가, 교사들의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개도국의 맥락을 고려한 교육정보화 사업 개발이 요구되며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개도국 교육정보화 정책의 동향 및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도국 교육정보화 정책관련 국제개발협력사업에서의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

      본 연구의 목적은 개도국 교육정보화 정책의 동향 및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도국 교육정보화 정책관련 국제개발협력사업에서의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중점협력국 24개국의 지난 10년간 정부 부처에서 발간된 교육 정보화 정책 관련 문서들을 대상으로 유형, 핵심내용요소, 지역별, 소득수준별, 정보화 수준별 특징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도국의 교육정보화 정책은 2개국을 제외하고는 교육정책 및 ICT 정책에 종속되어 있었다. 별도의 교육정보화 정책이 수립된 경우 정책의 방향이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이었다. 둘째, 내용 요소의 빈도 분석에서는 대부분 비전 및 계획하기, ICT 기기 및 인프라 구축 등이 빈도가 높았고, 교사연수 및 행정 역량 개발, 관리시스템, 모니터링 및 평가 등은 낮았다. 셋째, 아프리카 국가들의 정책의 범위와 구체성이 아시아 국가들보다 더 높았는데 이는 소득 및 정보화 순위와 반비례하는 결과였다. 중동/CIS 국가들은 직업 교육에서의 정보화에 주목하고 있었다. 넷째, 개도국의 여건에 대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현실적인 정책이 부족하여 제시된 정책의 내용이 비슷하게 전개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교육 정보화가 야기할 변혁적 변화가 고려되지 않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정보화 정책 관련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의 설립과 운영에 대한 요구가 대부분의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어, 이와 관련한 협력 사업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개도국의 교육정보화 정책가 및 행정가, 교사들의 인식 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개도국의 맥락을 고려한 교육정보화 사업 개발이 요구되며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성훈, "해외 교육정보화 정책의 동향" 5 (5): 20-24, 2007

      2 조인진, "해외 e-러닝 실태 조사 분석 연구: 초・중등교육중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3 배정민, "한국의 개발협력정책 발전모델 연구 : ICT4D의 국제비교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4 김영권, "한국의 e-러닝 국제컨설팅 실태분석 연구 : 개발도상국의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9

      5 이현아, "한국 교육정보화 과정에 나타난 민·관·산·학 상호작용 분석 : 개발도상국 국제교육협력컨설팅의 관점에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6 안미리, "학교 구성원의 ICT 활용교육에 대한 이해와 역할-초등학교 교사, 학생, 교장, 부장과 학부모 사례연구" 8 (8): 199-218, 2002

      7 김영환, "태국 교육정보화 동향 및 요구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 APEC e-러닝 연수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2006-2013년)" 교육공학연구소 8 (8): 19-41, 2014

      8 박성일, "중국의 기초교육정보화 현황과 특징"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89-212, 2006

      9 이현아, "아시아․태평양 지역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 사업 요구 분석"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7 (7): 173-196, 2011

      10 Esterly, W, "성장, 그 새빨간 거짓말" 모티브 북 2008

      1 안성훈, "해외 교육정보화 정책의 동향" 5 (5): 20-24, 2007

      2 조인진, "해외 e-러닝 실태 조사 분석 연구: 초・중등교육중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3 배정민, "한국의 개발협력정책 발전모델 연구 : ICT4D의 국제비교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4 김영권, "한국의 e-러닝 국제컨설팅 실태분석 연구 : 개발도상국의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9

      5 이현아, "한국 교육정보화 과정에 나타난 민·관·산·학 상호작용 분석 : 개발도상국 국제교육협력컨설팅의 관점에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6 안미리, "학교 구성원의 ICT 활용교육에 대한 이해와 역할-초등학교 교사, 학생, 교장, 부장과 학부모 사례연구" 8 (8): 199-218, 2002

      7 김영환, "태국 교육정보화 동향 및 요구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 APEC e-러닝 연수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2006-2013년)" 교육공학연구소 8 (8): 19-41, 2014

      8 박성일, "중국의 기초교육정보화 현황과 특징"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89-212, 2006

      9 이현아, "아시아․태평양 지역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 사업 요구 분석"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7 (7): 173-196, 2011

      10 Esterly, W, "성장, 그 새빨간 거짓말" 모티브 북 2008

      11 백욱인, "디지털이란 무엇인가?"

      12 이호규, "국제개발협력(ODA)이 국제정보격차 해소에 미치는 영향: ICT분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학원 2016

      13 권지영, "교육정책 집행과정 연구" 24 (24): 97-123, 2011

      14 민병엽,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를 위한 국제교육협력의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Holistic Systemic Change Model을 중심으로" 5 (5): 41-59, 2012

      15 Centre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Working Out Change: Systemic Innov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ECD 2009

      16 Kim, Y., "Understanding Korean Education, Vol. 2"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7

      17 UNESCO, "UNESCO's Toolkit and Programmes for ICT in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2018

      18 UNESCO, "Transforming Education: The power of ICT Policies" 2011

      19 Tyack, D, "Tinkering toward Utopi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20 Njoh, A. J.,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s) and development in Africa" 50 : 83-90, 2018

      21 OECD, "The Effectiveness of ICT in Schools: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2002

      22 Jones, R., "Technology, Innovation, and Educational Change: A Global Perspective"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163-194, 2003

      23 Kozma, R, "Technology, Innovation, and Educational Change: A Global Perspective"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03

      24 박화진, "Survey on Informatization level for developing Customized Contents enhancing ICT capability - focused on Life University in Cambodia"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7 (17): 471-477, 2016

      25 OECD, "Stimulating Digital Innovation for Growth and Inclusiveness: The Role of Policies for the Successful Diffusion of ICT" 2016

      26 Elmore, R., "School Reform from the Inside Out: Policy, Practice, and Performance" Harvard Education Press 2004

      27 World Bank, "SABER-ICT Framework Paper for Policy Analysis:Documenting National Educational Technology Policies Around the World and Their Evaluation Over Time" 2016

      28 Law, N., "Pedagogy and ICT Use in Schools around the World: Findings from the IEA SITES 2006 Study" Springer 2008

      29 Pohjola, M., "New Economy Handbook" Elsevier-Academic Press 77-100, 2003

      30 Kozma, R., "National policies that connect ict-based education reform to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1 (1): 117-156, 2005

      31 OECD, "Learning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2000

      32 UNESC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n Education in Sub-Saharan Africa" 2015

      33 UNESCO-UI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Education in Asia"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14

      34 UNCTAD, "Information Economy Report 2007∼2008-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The New Paradigm of ICT" UN 2008

      35 박옥춘, "ICT와 교육개혁-몇 가지 제안" 한국교원대학교 2002

      36 GeSCI, "ICTs in Education (ICT4E) Policies and Plans worldwide"

      37 Correa, J. M., "ICT policies in schools and their effect on pedagogical innovation in the Spain: the Amara Berri Basque School case study" 9 : 44-47, 2010

      38 UNESCO-UIS, "ICT in Educational Statistics: Shifting from Regional Reporting to Global Monitoring: Progress Made, Challenges Encountered, and the Way Forward" 2016

      39 Vu, K. M., "ICT diffusion and production in ASEAN countries: Patterns, performance, and policy directions" 41 : 962-977, 2017

      40 UNESCO-UIS, "Guide to measu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n education"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09

      41 Tiene, D, "Exploring Current Issues in Educational Technology" McGraw Hill 2001

      42 Centre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Beyond Textbooks: Digital Learning Resources as Systemic Innovation in the Nordic Countrie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9

      43 허희옥, "2017 이러닝 국제 컨설팅 보고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44 이상은, "(The)Role of Korea's ODA: bridging the digital divide in developing countries"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