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공렴의 日鮮雜歌 연구 -문화의 번역과 전이- = A Study on Hyeon Gongryeom’s Ilseon Japga(日鮮雜歌)–Cultural Translation and Trans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4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un Gongryeom’s writing 󰡔Ilseon Japga(日鮮雜歌)󰡕. Various works such as poetry and prose tales, such as Japanese waka, are included in 󰡔Ilseon Japga󰡕.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un Gongryeom’s writing 󰡔Ilseon Japga(日鮮雜歌)󰡕.
      Various works such as poetry and prose tales, such as Japanese waka, are included in 󰡔Ilseon Japga󰡕.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refers to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japga collection published in Japan at that time. The biggest purpose of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is to increase its popularity. Except for the explanation of Waka in the beginning, most of the 󰡔Ilseon Japga󰡕 uses bilingual notation consisting of Japanese and Korean. 󰡔Ilseon Japga󰡕 presents two examples of Korean translation divided into ‘literal translation’ and ‘paraphrase’.
      It is the first attempt in this book to divide a single Japanese sentence into a ‘literal translation’ and a ‘paraphrase’. The bilingual notation of 󰡔Ilseon Japga󰡕 is different from the cases he tried in the past. This shows that the writing style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type and level of readers. The commonality of the contents of Waka published in 󰡔Ilseon Japga󰡕 is that it is based on seasons such as spring and summer. The contents of these works express the spirit of Japan or praise the reign of the Emperor. These contents can be found not only in Waka but also in other genres such as such as other miscellaneous songs. 󰡔Ilseon Japga󰡕 shows the translation and transition of colonial culture. And it shows the writer’s methodological anguish related to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공렴의 이중언어 저술 󰡔일선잡가 부 재담(日鮮雜歌附才談)󰡕(이하 󰡔일선잡가󰡕)의 특질을 연구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논의한 것이다. 󰡔일선잡가󰡕에는 일본의 와카 �...

      본 논문은 현공렴의 이중언어 저술 󰡔일선잡가 부 재담(日鮮雜歌附才談)󰡕(이하 󰡔일선잡가󰡕)의 특질을 연구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논의한 것이다. 󰡔일선잡가󰡕에는 일본의 와카 등 시가뿐만 아니라 산문 재담 역시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일선잡가󰡕의 구성법은 당시 일본에서 간행된 잡가집의 구성법을 참고한 것이다. 이러한 󰡔일선잡가󰡕의 구성 방식의 가장 큰 목적과 효용성은 대중성을 높이는 일에 있었다. 󰡔일선잡가󰡕는 수록된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표기 양상을 보여주는데, 본문 서두의 와카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일본어와 조선어를 병기한 이중언어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선잡가󰡕는 조선어 번역문 표기에서 ‘직역’과 ‘의역’으로 나눈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하나의 일본어문을 이처럼 ‘직역’과 ‘의역’으로 구분하여 명시한것은 여기서 처음 시도된 것으로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최초의 사례이다. 󰡔일선잡가󰡕의 이중언어표기 방식은 그가 과거에 시도하던 사례들과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일선잡가󰡕의 다양한 표기 형태는 이중언어 표기 방식이 시대적 흐름 및 독자의 유형과 수준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일선잡가󰡕에 실린 와카는 내용 면에서 보면 봄과 여름 등 계절을 소재로 삼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소재의 공통성보다 더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이들 작품의 내용이 이른바 일본의 정신을 표현하거나 천황의 치세를 칭송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와카뿐만 아니라 기타 잡가 및 나니와부시등 여타 장르의 작품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공렴은 일본 정신을 표현하기 위해 이들 작품의 내용을 미묘하게 변화시키기도 했다. 󰡔일선잡가󰡕는 식민지 시기 문화의 번역과 전이 현상 및 그에 따른 저술가의 방법론적 고뇌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자료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鈴木宏子, "「古今和歌集」の創造力" NHK出版 2018

      2 박상현, "한국에서의 와카 번역사 연구-자국화와 타국화의 사이에서-" 동아시아일본학회 (57) : 43-63, 2016

      3 정재호, "한국속가전집(전 6권)" 도서출판 다운샘 2002

      4 현공렴, "精選日語通編全" 書籍及帽子製造所(日韓印刷株式會社) 1911

      5 国民文庫刊行会, "狂歌狂文集" 国民文庫刊行会 1912

      6 真鍋昌賢, "浪花節 流動する語り芸―演者と聴衆の近代" せりか書房 2017

      7 松澤俊二, "明治期日本の和歌と<政治>:高崎正風を中心にして" 45 (45): 2012

      8 현공렴, "日鮮滑稽話" 대창서원/보급서원 1915

      9 현공렴, "日鮮雜歌 附才談" 대창서원 1924

      10 현공렴, "日鮮語新小說 竹西樓" 日韓印刷株式會社 1911

      1 鈴木宏子, "「古今和歌集」の創造力" NHK出版 2018

      2 박상현, "한국에서의 와카 번역사 연구-자국화와 타국화의 사이에서-" 동아시아일본학회 (57) : 43-63, 2016

      3 정재호, "한국속가전집(전 6권)" 도서출판 다운샘 2002

      4 현공렴, "精選日語通編全" 書籍及帽子製造所(日韓印刷株式會社) 1911

      5 国民文庫刊行会, "狂歌狂文集" 国民文庫刊行会 1912

      6 真鍋昌賢, "浪花節 流動する語り芸―演者と聴衆の近代" せりか書房 2017

      7 松澤俊二, "明治期日本の和歌と<政治>:高崎正風を中心にして" 45 (45): 2012

      8 현공렴, "日鮮滑稽話" 대창서원/보급서원 1915

      9 현공렴, "日鮮雜歌 附才談" 대창서원 1924

      10 현공렴, "日鮮語新小說 竹西樓" 日韓印刷株式會社 1911

      11 현공렴, "日鮮語新小說 東閣寒梅" 文明社 1911

      12 松の家みさを, "日清滑稽流行歌大博覧会" 石橋南門堂 1895

      13 並松信久, "日本文化の自然観に関する試論: その系譜と共生思想" 26 : 2021

      14 田中裕, "新古今和歌集" 岩波書店 1992

      15 夢廼家主人, "戯芸一大奇書:戦争詠込" 早川熊治郎 1895

      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専売制の背景"

      17 財務省印刷局, "官報』 6164号, 6465号"

      18 海野圭介, "和歌の詠まれる場とかたち" 2007

      19 小島憲之, "古今和歌集(新日本古典文学大系 5)" 岩波書店 2017

      20 桑野桃華, "京山若丸京山恭為浪花節十八番" 三芳屋書店 1913

      21 노혜경, "『일선골계화(日鮮滑稽話)』연구 – 원전의 발굴 소개와 변용(變容)의 의미 탐구–" 동양학연구원 (61) : 59-75, 2015

      22 박지애, "20세기 전반기 잡가의 향유 방식과 변모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23 이지선, "1900년대~1910년대 경성 소재 일본인 극장의 일본 전통예술 공연 양상" 국립국악원 (31) : 145-190,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